항목

  • 이항복 자상(子常), 李恒福
    이항복은 조선시대 이조판서, 예문관 대제학, 병조판서, 우의정, 좌의정, 영의정 등을 역임한 문신이다. 1556년(명종 11)에 태어나 1618년(광해군 10)에 사망했다. 1583년(선조 16) 사가독서를 했고, 이이의 추천으로 홍문관과 예문관의 청요직을 두루 거쳤다. 1589년 정여립 모반사건을 처리한 공로로 평난공신 3등에 ...
    유형 :
    인물/전통 인물
    분야 :
    역사/조선시대사
  • 이항복 조선 중기의 문신
    임진왜란 때 병조판서를 지내면서 많은 공적을 세운 조선의 문신. 본관은 경주, 자는 자상, 호는 필운·백사·동강으로 1583년 대제학 이이의 천거로 이덕형과 함께 사가독서를 했으며, 그 뒤 정자·저작·박사·봉교·수찬·이조좌랑 등을 역임했다. 1592년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도승지로 선조를 의주까지 호위해 오성...
    출생 :
    1556(명종 11)
    사망 :
    1618(광해군 10)
    국적 :
    조선, 한국
    종교 :
    유교(성리학)
    본관 :
    경주(慶州)
    시호 :
    문충(文忠)
    자 :
    자상(子常)
    호 :
    백사(白沙), 필운(弼雲), 청화진인(靑華眞人), 동강(東岡), 소운(素雲)
  • 지혜와 기개로 국란을 극복하다, 이항복 백사(白沙), 李恒福
    조선 시대 기지와 해학의 대명사처럼 여겨지는 오성 이항복. 그는 선조와 광해군 시대의 혼란하고 어려운 상황을 호방한 기개와 지혜로 헤쳐나간 명재상이었다. 본관은 경주(慶州), 일명 오성 대감(鰲城大監)이라 불렸으며 자는 자상(子常), 호는 백사(白沙)이다. 아버지는 형조 판서와 우참찬을 지낸 이몽량(李夢亮)이...
    도서 재상열전 | 태그 한국사 , 조선
  • 이항복 자상, 李恒福
    16세기 후반부터 17세기 전반까지의 조선 사회는 변혁의 시기였다. 왕조 초기의 정치적 혼란을 마무리 지은 훈구파들이 노쇠해지자 비판 세력으로 등장한 사림파가 중종반정 이후 국왕의 후원을 받으며 국가 통치에 성리학 이념 구현에 박차를 가함으로써 신구 정치세력 간에 힘겨루기가 시작되었다. 그 과정에서 돌출한...
  • 이항복 집터에서
    필운대는 백사(白沙) 이항복(李恒福)의 집이 있던 곳으로 유명하다. 배화여자대학교 정문을 들어서서 학생회관 뒤편 식당 부근 어두컴컴한 담 위에 금방이라도 쓰러질 듯 위태한 모습을 한 바위에는 '弼雲臺(필운대)'라는 글자가 선명하다. 서울문화재자료 제9호로도 지정된 이 문화재는 몇 차례 폭우와 장마를 거치고 ...
    관련 장소 :
    인왕산
  • 이항복 李恒福
    양반 정보 이항복(李恒福, 1556년 11월 16일~1618년 7월 4일(음력 5월 13일))은 조선 승정원(대통령비서실) 동부승지(국토교통부) 겸 당상관(국장급 공무원) 등을 거쳐 조선 의정부 영의정(국무총리) 직책을 지낸 조선 중기의 문신·정치가·시인·작가이다. 주로 잘 알려져있는 오성과 한음 대감 중 '오성'이다. 본관은...
    도서 위키백과
  • 이항복 (기업인) Simon Hang-bock Rhee
    인물 정보 이항복(1954년 10월 28일~)는 대한민국의 기업인이다. 건원엔지니어링의 부사장이며, 세계스카우트 이사회 의장을 역임했다. 웹 인용
    도서 위키백과
  • 이항복이 은둔한 도심 한복판의 백사실
    인조반정을 일으킨 반정 세력이 민심을 수습하기 위해 남긴 첫마디는 "김류가 백사 이항복을 찾아뵈오니 그대가 종묘사직을 지키라. 나는 그대를 믿고 떠난다"는 말이었다. 반정 세력들이 죽은 이항복을 들먹인 것은 덕망 높고 백성들에게 깊이 신뢰받던 그의 후광을 얻고자 함이었다. 이항복이 오랫동안 백성들 마음속...
    관련 장소 :
    북악산
  • 강진 구곡사 소장 익재 이재현 상과 백사 이항복 康津 龜谷詞 所藏 益齋 ..
    내용 1995년 전라남도 유형문화재(현, 유형문화유산)로 지정되었다. 익재(益齋) 이재현입상(李齊賢立像)은 1870년 도화서 화원 조중묵(趙重默)이 그린 것이다. 선묘(線描 : 선으로만 그림)가 강한 전통적인 방식으로 표현되어 있다. 자세히 보면 얼굴에 아주 가는 선묘로 거듭 그리는 훈염법이 보이고 옷주름도 보다...
    유형 :
    작품
    분야 :
    예술·체육/회화
  • 이항복 선생 묘 李恒福 先生 墓
    개설 경기도 포천시 가산면 금현리에 위치한다. 1975년 9월 5일에 경기도 기념물로 지정되었다. 내용 이항복(李恒福, 1556~1618)의 본관은 경주(慶州), 호는 백사(白沙)이다. 한음 이덕형(李德馨)과 두터운 교분으로 세상에 잘 알려져 있다. 1580년(선조 13) 문과에 급제했으며, 정여립(鄭汝立) 사건을 잘 다스려...
    유형 :
    유적
    분야 :
    역사/조선시대사
  • 이항복선생묘
    조선 중기의 정승인 이항복(1556∼1618) 선생의 묘지이다. 고려 후기의 대학자 이제현의 후손이며, 특히 죽마고우인 이덕형과의 지기와 재치에 얽힌 많은 얘기로 세상에 널리 알려진 인물이다. 선조 13년 (1580)에 문과에 급제하여 정여립 모반사건을 다스린 공으로 평난공신의 호를 받았다. 1592년 임진왜란 때에는...
    위치 :
    경기도 포천시 가산면 금현리 1082-11
    문화재 지정 :
    [이항복선생묘] 경기도 기념물 제24호(1975.09.05 지정)
  • 이항복초상 李恒福肖像
    내용 비단바탕에 채색. 세로 35㎝, 가로 59.5㎝. 서울대학교박물관 소장. 이항복초상은 17세기 전반 초상화법의 특징을 보여준다. 신채(神彩)가 뛰어나며 기품 있는 가작으로, 사모의 높이가 퍽 낮고 안면처리에서는 얼굴색을 살색으로 시채한 뒤 갈색선으로 윤곽을 잡았으나 선염기는 거의 나타나 있지 않다. 골상에서...
    시대 :
    조선
    창작/발표시기 :
    조선 중기
    성격 :
    화가
    유형 :
    작품
    크기 :
    세로 35㎝, 가로 59.5㎝
    재질 :
    비단
    분야 :
    예술·체육/회화
    소장/전승 :
    서울특별시 관악구 신림동 56-1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4 5 6 7 8 9 10 다음페이지

멀티미디어29건

이항복
이항복
이항복 영정
백사 이항복 집터
이항복과 이덕형
포천 이항복 신도비 정면
포천 이항복선생 묘
포천 이항복 선생 사당 전경
백사집 / 차월사연관서회운
사례훈몽 / 관례
포천 화산서원
사례훈몽 / 관례
노사영언
화산서원
노사영언
백사집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