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올베르스 (Heinrich) Wilhelm (Matthäus) Olbers
    독일의 천문학자·의사.|5개의 혜성과 2개의 소행성 팔라스와 베스타를 발견했으며, '올베르스의 역설'을 제안한 것으로 잘 알려져 있다. 1779년 새로운 혜성의 궤도 계산법을 고안했다. 2년 뒤에는 브레멘에서 병원을 개업했는데, 자기집 위층을 천문대로 사용하기 위해 장비를 갖추고 매일밤 많은 시간을 천문학에 ...
    출생 :
    1758. 10. 11, 독일 브레멘 근처 아르베르겐
    사망 :
    1840. 3. 2, 브레멘
    국적 :
    독일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과학자
  • 올베르스의 역설 Olbers' paradox
    관측 결과와는 달리 어두운 성간공간은 없으며 밤하늘은 어디에서나 밝아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 역설은 1823년 독일의 천문학자 하인리히 빌헬름 올베르스가 제안했으며, 이에 대한 발견은 대부분 그의 공로로 인정되었다. 그러나 이 문제는 이전의 연구자들도 생각했던 것이며, 그 기원은 요하네스 케플러까지...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우주
  • 하인리히 올베르스는 혜성의 궤도를 계산하는 데 어떻게 기여했나?
    피에르 시몽 라플라스는 이를 계산하기 위한 일련의 방정식을 내놓았지만 너무 복잡하고 어려웠다. 1797년에 독일의 천문학자이자 물리학자인 하인리히 올베르스는 라플라스의 방법보다 더 정확하고 사용하기 쉬운 혜성 궤도 계산 방법을 발표해 당대의 선구적인 천문학자라는 명성을 얻었다. 올베르스는 널리 존경받는...
    도서 누구나 천문학 | 태그 우주
  • 우주의 기원 및 진화
    제시했다. 그는 별들이 무한히 많다면 하늘은 별로 채워져 있어서 밤에도 어둡지 않아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러한 지적은 19세기에 독일의 하인리히 빌헬름 올베르스가 이 문제를 다룰 때까지 역설(逆說)로서 널리 알려지지 못했고, 다음에 논의하게 될 이 역설의 해결에 대한 이해는 대폭발 이론을 기다려야 했다...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우주
  • 올베르스의 역설 Olbers's paradox, オルバースのパラドックス
    올베르스의 역설이란 1823년 독일의 천문학자인 하인리히 올베르스에 의해 주장된 것으로, 이것은 그동안 가지고 있던 어두운 밤하늘이 무한하고 정적인 우주라는 점이 모순된다는 것을 보여준다. 이 역설은 우주가 정적이지 않다는 빅뱅 이론과 같은 우주론을 지지하는 증거 중 하나이다. 이 "역설"은 때때로 "어두운...
    도서 위키백과
  • 하인리히 올베르스 Heinrich Wilhelm Matthias Olbers..
    과학자 정보 하인리히 빌헬름 올베르스(Heinrich Wilhelm Matthäus Olbers, 1758년 10월 11일 ~ 1840년 3월 2일)는 독일의 천문학자이자 물리학자이며 의사다. 괴팅겐에서 의사가 되기 위해 공부하였으며, 1780년 졸업한 이후에 브레멘에서 개업을 했다. 그러나 천문학에 관심을 보였던 그는 1802년 소행성 2 팔라스를...
    도서 위키백과
  • Olbers' paradox 올베르스의 역설, オルバースのパラドックス
    In astrophysics and physical cosmology, Olbers' paradox, named after the German astronomer Heinrich Wilhelm Olbers (1758–1840) and also called the "dark night sky paradox", is the argument that the darkness of the night sky conflicts with the assumption of an infinite and eternal static universe...
  • Heinrich Wilhelm Matthias Olbers 하인리히 올베르스, ハインリヒ..
    Heinrich Wilhelm Matthias Olbers (; October 11, 1758 – March 2, 1840) was a German physician and astronomer. Life and career Olbers was born in Arbergen, today part of Bremen, and studied to be a physician at Göttingen (1777–80). While he was at Göttingen, he studied mathematics with Abraham...
  • 베셀 Friedrich Wilhelm Bessel
    접하게 된 동기가 되었다. 밤에 공부를 하면서, 1607년의 핼리 혜성 관측자료를 이용해 1804년에 그 궤도를 계산한 논문을 썼다. 이것을 올베르스에게 보냈으며, 올베르스는 감명을 받아 이 논문을 〈월간통신 Monatliche Correspondenz〉(1804)에 실리게 했고 베셀에게 일찍이 달 관측자로 유명한 J.H. 슈뢰터의...
    출생 :
    1784. 7. 22, 브란덴부르크 민덴
    사망 :
    1846. 3. 17, 프로이센 쾨니히스베르크
    국적 :
    독일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과학자
  • 끝없이 뻗어나가는 대수 기하학 대수 기하학의 발전
    유클리드 기하학은 자연 세계에는 드문 평탄한 면을 다룬다. 만델브로트는 별들이 프랙탈하게 산재되어 있는 우주 모형을 제시했다. 이 모형은 빅뱅 없이도 올베르스의 패러독스를 해결할 수 있을 것이다. 그렇다고 해서 빅뱅을 배제시키는 것은 아니다(올베르스의 역설은 만약 끝없는 우주에 별들이 균일하게 분포하고...
  • 별까지의 거리를 처음으로 정확하게 측정한 사람은 누구인가?
    천문학자인 프리드리히 빌헬름 베셀(Friedrich Wilhelm Bessel, 1784~1846)이 핼리혜성의 궤도를 재계산하여 그 결과를 하인리히 올베르스[Heinrich Olbers, 1758~1840(올베르스의 역설로 유명한 천문학자)]에게 보냈을 때 그의 나이는 스무 살에 지나지 않았다. 베셀은 스물여섯 살 때 쾨니히스베르크 천문대장으로...
    도서 누구나 천문학 | 태그 우주
  • 팔라스 Pallas
    소행성 중에서 2번째로 발견되었다. 독일의 천문학자이자 물리학자인 빌헬름 올베르스가 가장 큰 소행성인 세레스를 발견한(1801) 데 이어 1802년에 발견한 것이다. 이름은 그리스의 지혜의 여신인 팔라스 아테나에서 유래했다. 이 소행성의 지름은 608㎞이며, 황도에 대한 궤도 경사각은 35° 정도로 다소 크지만 궤도...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우주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다음페이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