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올베르스의 역설

다른 표기 언어 Olbers' paradox

요약 밤하늘이 어두운 이유에 대한 문제와 관련된 역설.

만약 우주의 끝이 없고 빛을 내는 별들이 균일하게 분포되어 있다면, 모든 시선은 결국 별의 표면에 닿게 된다. 따라서 이 주장은 관측 결과와는 달리 어두운 성간공간은 없으며 밤하늘은 어디에서나 밝아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 역설은 1823년 독일의 천문학자 하인리히 빌헬름 올베르스가 제안했으며, 이에 대한 발견은 대부분 그의 공로로 인정되었다.

그러나 이 문제는 이전의 연구자들도 생각했던 것이며, 그 기원은 요하네스 케플러까지 거슬러 올라간다. 케플러는 무한한 별들이 포함된 우주는 무한하다는 주장에 반대하여 1610년에 이 문제를 제안했다. 각 시대마다 다양한 해답들이 제시되었다. 만일 이 가정이 타당하다면 가장 단순한 답은 별이 빛을 내는 평균기간이 너무 짧아서 매우 먼 별의 빛은 아직 지구에 도달하지 못했다는 것이다. 팽창우주론에서도 이와 비슷하게 우주는 너무 넓어 매우 먼 지역의 빛이 지구에 도달하지 못했다고 주장한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우주

우주와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Daum백과] 올베르스의 역설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