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온돌 구들, 溫突
    추운 겨울을 나기 위해 구들고래를 만들고 고래 위에 구들장을 놓아 아궁이를 통하여 받아들인 열을 구들장에 저장했다가 서서히 복사열을 방출하여 방바닥이 따뜻해지도록 고안된 난방구조. 온돌문화는 한국의 독창적인 주거문화로, 2018년 5월 2일 국가무형문화재 제135호로 지정되었다.|열기로 방 바닥에 놓인 돌판...
    문화재 지정 :
    2018.05.02
    문화재 :
    국가무형문화재 제135호
  • 온돌 한국만의 완전한 좌식 문화
    온돌의 과학다움은 기술적 측면에서는 복사열에 있다. 이것이 전부는 아니다. 이런 기술을 만들어낸 궁극적 목적은 다른 데에 있다. 온돌의 과학다움을 경험적 측면에서 보면 접촉을 장려하는 데 있다. 내 집을 등으로, 엉덩이로, 배로, 온 살갗으로 비벼대게 만든다. 이것은 한국다운 정의 문화를 반영한 건축 형식이다...
  • 구들 온돌
    고래를 설치하여 화기가 고래 위에 덮여 있는 구들장을 뜨겁게 덥혀 방바닥 전체를 난방하는 구조물. 온돌.|개설 구들은 불 때는 아궁이, 불길을 통과시켜 구들장을 덥히는 고래, 연기를 배출하는 굴뚝으로 구성된다. 아궁이에 지핀 불이 고래를 통과하면서 그 위에 깔린 구들장을 덥혀 난방하는 바닥 난방방식으로 화...
    유형 :
    개념용어
    분야 :
    생활/주생활
  • 우리 것은 소중한 것이여!-조상의 지혜, 온돌-
    매서운 바람에 따뜻함이 그리워지는 계절이다. 날씨가 쌀쌀할 때 뭐니뭐니 해도 따끈하게 데워진 방바닥만한 것이 없다. 몸이 나릇나릇 해질 때까지 뜨끈한 온돌방에 엉덩이를 지지다(?)보면 추위와 함께 가끔씩 세상 근심사까지도 모두 잊을 수 있을 것 같다는 생각이 들기도 한다. 흔히 나이 많은 어르신들은 온돌에 ...
    도서 과학향기 | 태그 과학 일반 , 건강
  • 구들 (동의어 온돌) 온돌
    열현상을 효과적으로 응용한 특색있는 시설로 우리나라에서 크게 발달한 난방시설.|온돌(溫突)이라고도 불린다. 우리나라의 전통적인 난방시설은 방바닥 전부를 구들로 하는 방식으로, 방바닥 전부가 열의 복사면이 되므로 장작불에 의한 난방으로는 매우 효과적인 것이었다. W. 비스만은 1948년의 연구논문에서 한국...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건축물
  • 온돌 Ondol, オンドル
    온돌(溫突/溫堗, 방구들, 장갱(長坑), 화갱(火坑), 난돌(暖突), 연돌(烟突)은 방 바닥을 따뜻하게 하는 한국의 전통적인 바닥난방시스템이다. 한옥의 아궁이에서 불을 피우고, 아궁이에서 생성된 열기를 머금은 뜨거운 연기가 방바닥에 깔린 구들장 밑을 지나면서 난방이 되고, 그 연기는 구들장 끝 굴뚝으로 빠져나가는...
    도서 위키백과
  • 온돌의 역사
    보인다. <구당서> 동이전(東夷傳) 고려조의 기록에 의하면 일반 서민주택에서는 장갱(長坑)이 건조되어 난방을 했다고 한다. 그러나 장갱은 조선시대의 온돌처럼 방 전체가 모두 구들로 된 것이 아니며 철기시대의 ㄱ자형 구들을 계승한 것으로 여겨진다. 이러한 예는 지안[輯安] 동대자 주거지에서 볼 수 있는데 특히...
  • 온돌과 우수한 난방 과학
    온돌이라는 세계적으로 우수한 난방이 있었다. 온돌은 열 보존과 열 전도 모두에서 매우 뛰어난 난방 방식이다. 복사와 대류의 원리를 잘 파악한 데에 그 비밀이 있다. 무엇보다도 온돌은 바닥에 깐 돌이 열기를 오래 붙잡아두기 때문에 열 보존에서 우수하다. 돌은 열 보존이 우수한 재료다. 온돌의 순 우리말인 '구들...
  • 방바닥과 등바닥, 온돌과 접촉 문화
    기능과 연관이 깊다는 또 다른 증거다. 햇빛이나 바람보다 좌식 문화와 접촉 문화와 더 직접적인 연관성을 갖는 것이 온돌이다. 좌식 문화는 온돌의 산물이다. 온돌의 효과를 가장 높여주는, 즉 온돌에 가장 잘 맞는 생활방식이 좌식이기 때문이다. 온돌은 보통 좌식 문화와 함께한다. 한반도에서 온돌을 언제부터 사용...
  • 온돌문화 溫突文化
    내용 온돌은 열원을 이용하여 바닥을 데우고, 다시 바닥의 열기로 방안의 공기를 데우는 대류의 원리를 이용한 난방 방식으로, 실내에서 신을 벗고 바닥에 앉거나 눕는 좌식의 주생활 문화를 형성한 주요 원인이다. 중국 북부 지역에도 일부 공간의 바닥을 데워 사용하는 캉[坑]이 있지만, 방바닥 전면을 데우는 온돌은...
    유형 :
    개념
    분야 :
    생활/주생활
  • 온돌의 구조
    온돌의 구조는 시대와 지역에 따라 차이가 있지만, 대체적으로 불을 때는 아궁이, 방 밑에 화기가 통하게 해 난방하는 구들고래, 연기를 빠지게 하는 굴뚝으로 구성되며, 유형은 화기를 통하게 하는 구들고래의 형식에 따라 나뉘어진다. 대표적인 구들고래의 유형에는 허튼고래·줄고래·선자고래 등이 있다. 허튼고래는...
  • 온돌야화 溫突夜話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어 모두 삭제했다고 하였다. 이로 미루어 보아 편저자는 당초 민속학적 설화 채집에 관해 매우 깊은 인식을 지니고 있었다고 생각된다. ‘온돌야화’라는 책명은 우리 민족의 구비문학 전승 장소를 암시하기도 한다. 유럽에서는 벽난로 앞에서, 일본에서는 이로리(圍爐裏)를 둘러싸고 이야기가...
    시대 :
    근대/일제강점기
    유형 :
    문헌
    분야 :
    문학/구비문학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4 5 6 7 8 9 10 다음페이지

멀티미디어14건

온돌
온돌
온돌
온돌
한국 최초의 온돌구조(몽촌토성 발굴)
하회마을 하동 고택
온돌의 구조
수원 서둔동 유적 / 온돌
백제 시대 온돌 유적
러시아 연해주 크라스키노 성 출토 온돌
영변 세죽리 유적 1호 집자리 온돌시설
『소문사설』에 실린 벽돌식 온돌의 설계도 「전항식(甎炕式)」, 풍조식
『소문사설』에 실린 벽돌식 온돌의 설계도 「전항식(甎炕式)」, 직돌식
온돌과 부엌으로 이루어진 토막민의 가옥(今和次郞, 『朝鮮半島の勞務者住宅を見る旅』, 1944년/1986년 복간)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