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
온돌 한국만의 완전한 좌식 문화온돌의 과학다움은 기술적 측면에서는 복사열에 있다. 이것이 전부는 아니다. 이런 기술을 만들어낸 궁극적 목적은 다른 데에 있다. 온돌의 과학다움을 경험적 측면에서 보면 접촉을 장려하는 데 있다. 내 집을 등으로, 엉덩이로, 배로, 온 살갗으로 비벼대게 만든다. 이것은 한국다운 정의 문화를 반영한 건축 형식이다...
-
구들 온돌고래를 설치하여 화기가 고래 위에 덮여 있는 구들장을 뜨겁게 덥혀 방바닥 전체를 난방하는 구조물. 온돌. 개설 구들은 불 때는 아궁이, 불길을 통과시켜 구들장을 덥히는 고래, 연기를 배출하는 굴뚝으로 구성된다. 아궁이에 지핀 불이 고래를 통과하면서 그 위에 깔린 구들장을 덥혀 난방하는 바닥 난방방식으로 화...
- 유형 :
- 개념용어
- 분야 :
- 생활/주생활
-
우리 것은 소중한 것이여!-조상의 지혜, 온돌-매서운 바람에 따뜻함이 그리워지는 계절이다. 날씨가 쌀쌀할 때 뭐니뭐니 해도 따끈하게 데워진 방바닥만한 것이 없다. 몸이 나릇나릇 해질 때까지 뜨끈한 온돌방에 엉덩이를 지지다(?)보면 추위와 함께 가끔씩 세상 근심사까지도 모두 잊을 수 있을 것 같다는 생각이 들기도 한다. 흔히 나이 많은 어르신들은 온돌에 ...
-
-
온돌과 우수한 난방 과학온돌이라는 세계적으로 우수한 난방이 있었다. 온돌은 열 보존과 열 전도 모두에서 매우 뛰어난 난방 방식이다. 복사와 대류의 원리를 잘 파악한 데에 그 비밀이 있다. 무엇보다도 온돌은 바닥에 깐 돌이 열기를 오래 붙잡아두기 때문에 열 보존에서 우수하다. 돌은 열 보존이 우수한 재료다. 온돌의 순 우리말인 '구들...
-
방바닥과 등바닥, 온돌과 접촉 문화기능과 연관이 깊다는 또 다른 증거다. 햇빛이나 바람보다 좌식 문화와 접촉 문화와 더 직접적인 연관성을 갖는 것이 온돌이다. 좌식 문화는 온돌의 산물이다. 온돌의 효과를 가장 높여주는, 즉 온돌에 가장 잘 맞는 생활방식이 좌식이기 때문이다. 온돌은 보통 좌식 문화와 함께한다. 한반도에서 온돌을 언제부터 사용...
-
온돌문화 溫突文化내용 온돌은 열원을 이용하여 바닥을 데우고, 다시 바닥의 열기로 방안의 공기를 데우는 대류의 원리를 이용한 난방 방식으로, 실내에서 신을 벗고 바닥에 앉거나 눕는 좌식의 주생활 문화를 형성한 주요 원인이다. 중국 북부 지역에도 일부 공간의 바닥을 데워 사용하는 캉[坑]이 있지만, 방바닥 전면을 데우는 온돌은...
- 유형 :
- 개념
- 분야 :
- 생활/주생활
-
-
온돌야화 溫突夜話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어 모두 삭제했다고 하였다. 이로 미루어 보아 편저자는 당초 민속학적 설화 채집에 관해 매우 깊은 인식을 지니고 있었다고 생각된다. ‘온돌야화’라는 책명은 우리 민족의 구비문학 전승 장소를 암시하기도 한다. 유럽에서는 벽난로 앞에서, 일본에서는 이로리(圍爐裏)를 둘러싸고 이야기가...
- 시대 :
- 근대/일제강점기
- 유형 :
- 문헌
- 분야 :
- 문학/구비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