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예부 禮部
    고려시대 상서6부(尙書六部)의 하나.|예의·제향(祭享)·조회(朝會)·학교·교빙(交聘)·과거(科擧)에 관한 일을 담당했다. 건국 초기에 예관(禮官)으로 설치되었으며, 속사로 사조(祠曹)를 두었다. 995년(성종 14)에 예관을 상서예부(尙書禮部)로 개칭하면서 사조는 상서사부(尙書祠部)로 고쳤다. 1011년(현종 2)에는...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고려
  • 예부 禮部
    고려시대 상서육부(尙書六部) 중 예의·제향·조회(朝會)·교빙·학교·과거 등의 정사(政事)를 관장했던 중앙관청.|변천과 현황 국초에는 예관(禮官)이라 했으며, 어사·시랑·낭중·원외랑(員外郎)을 두었고 속사(屬司)로서 사조(祠曹)가 따로 설치되어 있었다. 995년(성종 14)에 예관을 상서예부(尙書禮部)로, 사조...
    시대 :
    고려
    성격 :
    관청
    유형 :
    제도
    시행일 :
    995년(성종 14)
    분야 :
    역사/고려시대사
  • 예부 禮部
    신라시대의 관청.|교육·외교·의례 등에 관한 일을 담당한 것으로 보인다. 〈삼국사기〉에 의하면 586년(진평왕 8)에 설치된 듯 보이며 같은 해에 영 2명을 두었는데 관등은 태대각간부터 대아찬까지였다. 경은 648년(진덕여왕 2)에 두었는데 정원은 2명이었다. 675년(문무왕 15)에 1명을 더 두었으며, 관등은 금벌찬...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신라
  • 예부 禮部
    발해시대 6부의 하나.|발해는 중국 당나라의 제도를 본떠 중앙정치 조직인 3성 6부를 설치했으나, 그 운영에 있어서는 자신들의 독자적인 필요에 의해 움직였다. 3성 가운데 정당성 아래 서정을 분장하는 기구로 6부를 두었는데, 그 가운데 하나가 예부였다. 예부는 당나라 6부 가운데 형부에 해당하므로 형정에 관한 ...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발해
  • 예부 禮部
    신라시대의 관서.|내용 교육과 외교 및 의례(儀禮)에 관한 사무를 맡던 관서로, 586년(진평왕 8)에 설치되었다. 소속관원으로는 장관인 영(令 : 大阿飡∼太大角干) 2인, 차관인 경(卿 : 阿飡 이하) 3인, 3등관인 대사(大舍 : 舍知∼奈麻) 2인, 4등관인 사지(舍知 : 舍知∼大舍) 1인, 5등관인 사(史 : 造位∼大舍) 11인...
    시대 :
    고대/삼국
    성격 :
    관청
    유형 :
    제도
    시행일 :
    586년(진평왕 8)
    분야 :
    역사/고대사
  • 예부 禮部
    남북국시대 발해의 관서.|내용 예부경(禮部卿)을 장으로 하여 형법(刑法) · 문금(門禁) · 부세독촉(賦稅督促)을 담당하던 관서로서 정당성(政堂省)의 우육사(右六司)의 하나이다. 발해의 정당성은 당나라의 상서성(尙書省)을 본뜬 관청으로서 행정을 집행하였다. 예부는 당나라의 형부(刑部)에 해당한다. 참고문헌
    시대 :
    고대/남북국/발해
    유형 :
    제도
    분야 :
    역사/고대사
  • 건례문 국왕봉사관료군, 建禮門
    신라시대 궁궐 12문 가운데 하나로서 정남(正南)에 위치한 문.|개설 건례문은 궁궐의 문이기도 하지만, 신라 하대에는 ‘건례선문(建禮仙門)’이라 하여 국왕에게 봉사하는 관료군을 말하는 용어로 사용된 것으로도 보인다. 내용 신라 하대 최치원(崔致遠)이 찬술한 『숭복사비(崇福寺碑)』에 의하면 원성왕릉의 조영...
    시대 :
    고대/삼국
    성격 :
    궁궐/궁궐문
    유형 :
    유물
    제작시기 :
    신라시대
    분야 :
    역사/고대사
  • 예조 (동의어 예부) 禮曹
    예악·제사·연향·조빙·학교·과거에 관한 일을 관장했다. 고려의 경우 이와 비슷한 임무를 예부가 담당했다. 고려시대 원나라 간섭기에는 예부가 없어지기도 했다. 조선초 태종 때는 6조의 기능이 강화되어 정2품 판서가 관장하면서 소속 관부들이 대거 늘어났다. 〈경국대전〉에 따르면 예조는 정2품 아문으로서 예...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고려
  • 예부 Ministry of Rites, 礼部
    다른 뜻 예부(禮部)는 육부의 한 부서로 예의 및 음악과 제사 및 연회와 외교, 교육과 과거에 대한 사항을 담당하던 부서이다. 부서 장관은 예부상서이다. 중국에서는 당나라 시기부터 신해혁명 시기까지 존재하였으며, 한반도에서는 고려시대에 설치되어 조선시대 무렵에 예조로 교체되었다. 사의서 : 선왕(先王)과 선...
    도서 위키백과
  • 예부 (신라)
    다른 뜻 예부(禮部)는, 신라의 중앙 관부 중 하나이다. 교육과 의례에 관한 업무를 담당하였던 관부이다. 토막글
    도서 위키백과
  • 국학 태학감(太學監), 國學
    개설 682년(신문왕 2)에 설치하였다. 당시에는 국학이라 했다가 경덕왕 때 태학감(太學監)이라 했고, 혜공왕 때 다시 국학으로 고쳐 불렀다. 예부(禮部)에 속하였다. 연원 및 변천 국학에는 경(卿)·박사(博士)·조교(助敎)·대사(大舍)·사(史) 등이 있었다. 이 가운데 651년(진덕여왕 5)에 서무직에 해당하는 대사가...
    시대 :
    고대/남북국
    성격 :
    교육제도, 교육기관
    유형 :
    제도
    시행일 :
    682년(신문왕 2)
    분야 :
    역사/고대사
  • 민며느리 예부(豫婦)
    내용 한자로 예부(豫婦)라고 한다. 동옥저(東沃沮)와 고구려, 조선시대에 이러한 혼인관습이 있었다고 한다. 고구려와 동옥저에서는 여자의 나이가 10세쯤 되면 남의 민며느리로 주었는데, 이것은 주로 가난 때문이었다. 시가(媤家)에서는 민며느리가 성인이 되면 돈과 비단을 지참시켜 일단 친정으로 돌려보내고 나서...
    유형 :
    개념용어
    분야 :
    사회/가족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4 5 6 7 8 9 10 다음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