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신헤겔주의 Neo-Hegelianism
    1870~1920년 영국과 미국에서 특히 두드러졌던 관념론 철학.|때로는 헤겔로부터 영감을 얻은 같은 시기의 다른 철학, 예를 들면 베네데토 크로체의 철학이나 조반니 젠틸레의 철학을 가리킬 때도 쓴다. 영국의 신헤겔주의는 원래 새뮤얼 테일러 콜리지와 토머스 칼라일의 반대중적 작업을 자연스럽게 계승하면서 발전...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세계사
  • Absolute idealism 신헤겔주의
    Absolute idealism is an ontologically monistic philosophy attributed to G. W. F. Hegel. It is Hegel's account of how being is ultimately comprehensible as an all-inclusive whole. Hegel asserted that in order for the thinking subject (human reason or consciousness) to be able to know its object (t...
  • 절대 관념론 (관련어 신헤겔주의) Absolute idealism, 绝对唯心主义
    절대적 관념론 또는 신헤겔주의는 19세기 후반 이후, 헤겔 철학을 포함하는 독일철학의 영향을 받은 독일 이외의 현대철학을 편의상 총괄하는 말이다. 독일 관념론의 완성으로서의 헤겔의 절대적ㆍ체계적 철학 및 거기에 기초한 헤겔 학파는 헤겔 사후(1831) 자연과학의 발달과 헤겔 좌파에 의한 철저한 비판에 의해 논...
    도서 위키백과
  • 20세기 전반의 헤겔주의
    개요 이 시기에도 헤겔주의는 두 방향으로 전개되었다. 영국과 이탈리아의 신헤겔주의 영국에서는 헤겔의 논리학에 관한 뛰어난 저작들이 출간되었다. 버나드 보즌켓과 존 엘리스 맥태거트는 헤겔의 저작을 번역하고 주석을 달았다. 그러나 가장 대표적인 인물은 〈현실과 실재 Appearance and Reality〉(1893)의 저자인...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서양철학
  • 헤겔주의 Hegelianism
    헤겔주의가 복음적 정통이나 보수정책과 양립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헤겔의 간접적 제자들로 이루어진 좌파는 변증법을 '운동의 원리'라고 생각했고, 헤겔주의를 혁명적인 의미로 해석했다. 헤겔 중간파는 헤겔의 논리문제에 관심을 가지고 헤겔 체계의 발생과 의의를 연구하는 데 주력했다. 신헤겔주의 단계라고도...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서양철학
  • 보즌켓 Bernard Bosanquet
    신념을 보여준다. 다른 저서에서와 마찬가지로 보즌켓은 당시의 유물론을 싫어했으며, 실재한다고 여겨지는 모든 것이 정신적 절대자가 발현한 것이라는 신헤겔주의를 해독제로 즐겨 주장했다. 그의 윤리학과 사회철학, 특히 실천적 문제를 다룬 저서 〈윤리학에 관한 몇 가지 제안 Some Suggestions in Ethics〉(1918...
    출생 :
    1848. 6. 14, 잉글랜드 노섬벌랜드 애닉
    사망 :
    1923. 2. 8, 런던
    국적 :
    영국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철학가
  • 존 듀이 듀이, John Dewey
    들어갔다. 이곳에서 미시간대학교 초빙교수였던 조지 실베스터 모리스의 영향을 받았는데, 모리스는 19세기 독일의 철학자 헤겔의 사상을 부흥시킨 신헤겔주의의 대표적 인물이었다. 듀이는 우주의 정신적·유기적 본성을 강조하는 신헤겔주의에서 자신이 이제껏 희미하게 모색해왔던 것을 발견하고는 열성적으로 이...
    출생 :
    1859. 10. 20, 미국 버몬트 벌링턴
    사망 :
    1952. 6. 1, 뉴욕 시
    국적 :
    미국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철학가
  • 케어드 Edward Caird
    1866~93년 글래스고대학교 도덕철학교수를 지냈으며, 1893~1907년 옥스퍼드대학교 베일리얼 칼리지 학장으로 있다가 중풍에 걸려 사임했다. 헤겔주의 노선에 따라 독일관념론 철학을 해석한 영국의 철학자로서, 친구이자 옥스퍼드대학교 교수인 T. H. 그린과 함께 영국에서 신헤겔주의 운동을 처음 시작했다. 그린은...
    출생 :
    1835. 3. 23, 스코틀랜드 렌프루 그리녹
    사망 :
    1908. 11. 1, 옥스퍼드
    국적 :
    영국
  • 헤겔주의의 일반적 고찰
    따라서 헤겔 좌파 또는 청년 헤겔 학파는 헤겔주의를 혁명적인 의미로 해석했다. 헤겔 중간파는 특히 논리문제에 관심을 가지고 헤겔 체계를 그 발생과 의의의 측면에서 탐구하는 데 주력했다. 2단계는 헤겔주의가 다른 나라로 확산되고 중간파의 저작이 지배적인 역할을 한 시기이다. 신헤겔주의 단계로 불리기도 하는...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서양철학
  • 노년 헤겔주의 Right Hegelians, 老ヘーゲル派
    가는데 비해, 헤겔 우파는 철학의 입장을 계속 지켜 헤겔의 저작집의 간행, 헤겔 철학의 해설에 노력했다. 그리고 이는 헤겔 중앙파와 함께 헤겔 철학을 후세에, 특히 20세기의 신헤겔주의로 연결해 가는 것이 되었다. 헤겔주의 청년 헤겔주의 헤겔 중앙파 (혹은 단지 중앙파) 게오르크 빌헬름 프리드리히 헤겔 신헤겔주의
    도서 위키백과
  • 헤겔주의 Hegelianism, ヘーゲル学派
    되고 있었다. 광의에는, 헤겔 철학에 어떠한 형태로 영향 혹은 연구를 한 사람의 일로, 전술의 제1차의 그룹 외, 19세기 후반의 제2차, 20세기 전반의 제3차 (신헤겔주의), 그리고 제2차 세계대전 나중에 현재에 이르는 제4차 그룹이다. 또, 파벌을 고집하지 않고, 헤겔 철학을 전문으로 하고 있는 사람도 포함되기도...
    도서 위키백과
  • 역사적 우파 Historical Right
    역사적 우파란 19세기 하반기 이탈리아의 정파다. 자유주의 성향의 중도우파 제세력이 결집해서 형성되었다. 앵글로색슨식 개인주의적 자유주의자부터 신헤겔주의적 자유주의, 자유보수주의에 이르기까지 잡다한 이념적, 문화적, 계급적 배경을 가진 이질적인 사람들로 이루어져 있었다.웹 인용서적 인용 역사적 우파는...
    도서 위키백과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다음페이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