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신해통공 辛亥通共1791년(정조 15) 조선 후기의 문신 채제공(蔡濟恭)의 건의로 시행된 통공발매정책(通共發賣政策 : 시전상인들만의 특권 상행위를 비시전상인들에게도 허용한 정책). 내용 조선 후기에 육의전(六矣廛)을 제외한 일반시전이 소유하고 있던 금난전권(禁亂廛權 : 일반 시전상인들만의 상행위 활동을 배타적으로 제한한 권...
- 시대 :
- 조선
- 발생 :
- 1791년(정조 15)
- 성격 :
- 상업정책
- 유형 :
- 사건
- 분야 :
- 역사/조선시대사
- 관련 인물/단체 :
- 채제공
-
신해통공 민간의 상업 활동을 허용하다좌의정 채제공의 건의에 따라 시전의 금난전권을 폐지하는 조치가 내려졌다. 금난전권이란 난전, 즉 민간 상인을 금지할 수 있는 권리를 말한다. 그동안 국가의 허락을 받은 시전들은 상업 활동을 독점하고 민간인이 사사로이 물건을 사고파는 행위를 금지할 권리를 갖고 있었다. 조선 중기 이후 상업 경제가 발달하면서...
- 시대 :
- 1791년
- 국가/대륙 :
- 한국
-
정미통공 丁未通共보완하려는 세무 행정의 변화라고 볼 수 있으나, 점차 확장하는 서울 장안의 상공업 발전추세에 따른 불가피한 상공정책이었다. 정미통공은 1787년에 실시되었다. 이는 1791년의 신해통공과 1794년의 갑인통공보다 앞서 시도된 통공정책이었다. 이 때, 도시 야장(冶匠)과 잡철전(雜鐵廛)이 중방(中方) 철판매권을...
- 시대 :
- 조선
- 성격 :
- 경제정책
- 유형 :
- 제도
- 시행일 :
- 1787년(정조 11)
- 분야 :
- 역사/조선시대사
-
도고 도고(都庫), 都賈세금의 징수나 국역의 부담만 원활하다면 특권 상인이나 사상 어느 쪽의 상업 활동도 용인하던 정부도 더 이상 도고를 좌시할 수 없었다. 1791년(정조 15) 신해통공(辛亥通共)은 도고의 심각한 폐단을 인식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해 취해진 조치였다. 하지만 이때 핵심적으로 문제시되었던 도고는 시전들의 금난전권에...
- 시대 :
- 조선
- 유형 :
- 제도/법령·제도
- 분야 :
- 역사/조선시대사
-
갑인통공 甲寅通共과도하게 사용해 물가가 상승하는 등 부작용이 일어나자, 조정에서는 사상들의 건의를 받아들여 금난전권을 점차 완화시키다가 1787년에 정미통공, 1791년 신해통공에 이어 갑인통공령을 발표하였다. 이 같은 통공정책은 정부의 재정궁핍을 보완하기 위해 취해진 조치이기도 하지만, 점차 확장하는 서울의 상공업 발전...
- 시대 :
- 조선
- 성격 :
- 정책
- 유형 :
- 제도
- 시행일 :
- 1794년(정조 18)
- 분야 :
- 역사/조선시대사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다음페이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