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당쟁의 소용돌이 속에서 탕평을 실천하다, 채제공 번암(樊巖), 蔡濟恭
    조선 전기에 문화의 꽃을 피운 왕으로 세종을 꼽는다면 조선 후기에는 영조와 정조를 꼽는다. 영·정조 시대는 조선의 르네상스 시대라고 불릴 정도로 학문과 과학, 문화가 눈부시게 발전한 시기이다. 조선은 양반의 나라였다. 모든 권력이 왕에게 집중되어 있었으나 왕 홀로 정치를 수행할 수 없었다. 양반 관료들에게 ...
    도서 재상열전 | 태그 한국사 , 조선
  • 채제공 蔡濟恭
    조선 후기의 문신. 청남(淸南) 계열의 지도자로 사도세자의 신원 등을 상소했고, 정조의 탕평책을 추진한 핵심 인물이다. 사족 우위 및 적서의 구별을 엄격히 함으로써 사회 안정을 꾀하고자 했다. 대상인의 특권을 폐지하고 소상인의 활동 자유를 늘리는 조치인 신해통공을 주도하는 등 제도의 운영을 통해 사회적 갈등...
    출생 :
    1720년
    사망 :
    1799년
  • 채제공 백규(伯規), 蔡濟恭
    조선후기 강화유수, 우의정, 영의정 등을 역임한 문신.|개설 본관은 평강(平康). 자는 백규(伯規), 호는 번암(樊巖)·번옹(樊翁). 효종 때 이조판서·대제학을 지낸 채유후(蔡裕後)의 방계 5대손이며, 채시상(蔡時祥)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채성윤(蔡成胤)이고, 아버지는 지중추부사 채응일(蔡膺一)이다. 어머니는 ...
    시대 :
    조선
    출생 :
    1720년(숙종 46)
    사망 :
    1799년(정조 23) 1월 18일
    경력 :
    규장각제학·예문관제학·한성판윤·강화유수, 우의정, 영의정
    유형 :
    인물
    직업 :
    문신
    대표작 :
    번암집 59권
    성별 :
    분야 :
    역사/조선시대사
    본관 :
    평강(平康)
  • 채제공 조선 후기의 문신
    조선 후기 어지러운 국정을 개선하기 위해 노력한 문신. 본관은 평강, 자는 백규, 호는 번암, 번옹으로 오광운과 강박에게서 학문을 배웠으며, 국정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제도의 개혁보다는 운영의 개선을 강조했다. 따라서 중간수탈과 부가세를 없애고 부정부패하는 관리들의 폐를 제거함으로써 국가재정의 충실을 기하...
    출생 :
    1720(숙종 46)
    사망 :
    1799(정조 23)
    국적 :
    조선, 한국
    종교 :
    유교(성리학)
    본관 :
    평강(平康, 지금의 강원도 평강군)
  • 채제공 Chae Je-gong, 蔡濟恭
    공직자 정보 채제공(蔡濟恭, 1720년 5월 12일(음력 4월 6일) ~ 1799년 2월 22일(음력 1월 18일))은 조선 후기의 문신, 정치인이다. 영조 후반 시대와 정조 시대 남인의 영수로 정조의 최측근 인사 중의 한사람이며, 정약용, 이가환 등의 정치적 후견자였다. 강박과 오광운의 문인이며 사도세자를 가르친 스승이자 세자궁...
    도서 위키백과
  • 채제공 蔡濟恭
    채제공(1782∼1799). 문신. 자는 백규(伯規), 호는 번암(樊巖), 본관은 평강(平康), 지중추부사(知中樞府事) 응일(膺一)의 아들. 1743년(英祖 19년) 정시문과 병과(庭試文科丙科)에 급제, 승문원(承文院)에 등용되었고, 이어 수찬(修撰) · 교리(校理)를 거쳐 1753년 호서 암행어사(湖西暗行御史)가 되어 균역(均役), 염...
  • 채제공 선생 영정 蔡濟恭 先生 影幀
    신체의 양쪽 옆 부분은 중앙 부분보다 더욱 어둡게 명암을 넣어 몸이 뒤쪽으로 돌아가며 넘어가는 미묘한 모습까지 매우 시각적으로 표현했다. 내용 및 현황 채제공의 영정은 현재 4본이 알려져 있다. 나주(羅州)미천서원(眉川書院) 소장의 흑단령본(黑團領本)은 분실되어 지금은 사진만이 전한다. 1791년이명기(李命基...
    시대 :
    조선 후기
    유형 :
    작품
    분야 :
    예술·체육/회화
  • 蔡濟恭 先生 墓
    개설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역북동에 위치한다. 1973년 7월 10일에 경기도 기념물로 지정되었다. 내용 채제공(蔡濟恭, 1720~1799)의 본관은 평강(平康), 호는 번암(樊巖)이다. 1743년(영조 19) 문과에 급제하고 여러 관직을 거치면서 수많은 분야에서 눈에 띄게 활동하였다. 특히 정조 때에는 홀로 정승에 임명되는 독상...
    유형 :
    유적
    분야 :
    역사/조선시대사
  • 채제공 선생 뇌문비 시호비(諡號碑), 蔡濟恭 先生 誄文碑
    내용 1978년 경기도 유형문화재(현, 유형문화유산)로 지정되었다. 채제공의 사후에 정조가 비문을 친히 지어 세운 비므로 어제뇌문(御製誄文)이라 제액(題額)되었다. 일명 시호비(諡號碑)라고 부른다. 시호를 의미하는 뇌(誄)자는 “죽은 사람의 행적을 찬양하면서 애도의 뜻을 표하는 것(哀死而述其行)”이라는 뜻을...
    시대 :
    조선 후기
    유형 :
    유적
    분야 :
    예술·체육/서예
  • 채제공 반사문 蔡濟恭 頒賜文
    유물설명 정조(正祖, 1752-1800)가 1796년 3월 초파일에 채제공(蔡濟恭, 1720-1799)의 생일을 축하하는 뜻에서 찬품(饌品)을 내린다는 내용의 문서이다.
    분류 :
    유물 > 고문서
    크기 :
    가로: 22.9cmcm, 세로: 31.8cmcm
    재질 :
    종이에 먹
  • 채제공 하선장 蔡濟恭 下膳狀
    유물설명 1796년 3월 초파일에 좌의정(左議政)이었던 채제공(蔡濟恭, 1720-1799)에게 대홍어(大洪魚) 한 마리를 내린다는 내용의 하선장(下膳狀)이다.
    분류 :
    유물 > 고문서
    크기 :
    가로: 30cmcm, 세로: 30cmcm
    재질 :
    종이에 먹
  • 채제공 초상 일괄
    문화재 정보 채제공 초상 일괄(蔡濟恭 肖像 一括)은 조선 후기의 문신으로 사도세자의 신원 등 자기 정파의 주장을 충실히 지키면서 정조의 탕평책을 추진한 핵심적 인물인 채제공의 초상화이다. 2006년 12월 29일 대한민국의 보물 제1477호로 지정되었다.문화재청고시제2006-112호, 《국가지정문화재(보물) 지정...
    도서 위키백과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4 5 6 7 8 9 10 다음페이지

멀티미디어36건

채제공
채제공
채제공
채제공 초상
채제공 글씨
채제공 신도비
채제공 사당
채제공 선생 묘
채제공(蔡濟恭)
용인 채제공선생 뇌문비
수원 화성의 건축 보고서
국조보감
탕평비각
번암집
번암집
국포집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