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시장 장시, 市場시장은 인적·물적·시간적·공간적 요소들이 유기적으로 합쳐져 교환의 기능을 중심으로 이루어진 장소를 가리키는 경제용어이다. 물화교역이 이루어지는 구체적인 장소를 뜻하는 시장과 가격형성 기능이 강조된 논리적 범주로서의 추상적 시장이 있다. 우리나라의 시장은 역사가 길지만 화폐경제의 미발달, 관영 위주...
- 유형 :
- 개념
- 분야 :
- 경제·산업/경제
-
-
-
-
시장 市長(지방자체단체인) 도 관할하의 시(市)의 최고책임자. 개설 시장은 시의 공무원을 통할하고 소관업무를 관장하며 시를 대표한다. 법령과 조례·규칙이 정하는 바에 의하여 그 임면, 교육훈련·복무·징계 등에 관한 사항을 처리할 수 있는 권한 등을 가지며, 주민의 일상생활과 관계되는 고유사무 및 중앙행정기관으로...
- 시대 :
- 현대
- 성격 :
- 행정
- 유형 :
- 제도
- 분야 :
- 정치·법제/법제·행정
-
시장 柴場관청의 땔감 채취를 위하여 특별히 지정된 삼림지역. 내용 고려시대에는 전시과제도(田柴科制度)를 실시할 때 공해전시제(公廨田柴制)를 만들어 장택(莊宅)·궁원(宮院)·백사(百司)·주현관역(州縣館驛)에 논밭과 시지(柴地)를 분급(分給)해 줌으로써 자체적으로 경비를 충당하도록 하였다. 993년(성종 12)에는 모든 ...
- 시대 :
- 고려
- 성격 :
- 토지, 삼림지
- 유형 :
- 제도
- 시행일 :
- 고려시대
- 분야 :
- 경제·산업/경제
-
시장 諡狀임금에게 시호(諡號)를 내리도록 건의할 때 생존시 행적을 적은 글. 내용 『경국대전』에는 종친(宗親) 및 문무관 실직 정2품 이상과 직위는 낮더라도 친공신(親功臣)에게 시호를 주도록 규정되어 있다. 그 밖에 대제학을 지낸 자는 종2품이라도 시호를 주었고, 유현(儒賢)이나 사절(死節)한 자로서 세상에 드러난 자...
- 시대 :
- 조선
- 성격 :
- 문서, 서식
- 유형 :
- 제도
- 분야 :
- 역사/조선시대사
-
시장시의 대표이며 최고책임자로서 시에 관한 소관업무를 총괄 관장하고, 소속 공무원을 지휘·감독한다. 수행직무 기초자치단체 및 광역자치단체인 지방자치단체의 장 또는 제주특별자치도의 행정시장으로서 행정사무를 총괄한다. 시의 공무원에 대한 임면, 교육훈련, 복무, 징계 등에 관한 사항을 처리할 수 있는 권한을...
- 교육수준 :
- 14년 초과 ~ 16년 이하(대졸 정도)
- 숙련기간 :
- 10년 초과
- 작업강도 :
- 아주 가벼운 작업
- 작업장소 :
- 실내
- 직무기능(자료) :
- 조정
- 직무기능(사람) :
- 협의
- 직무기능(사물) :
- 관련없음
- 고용직업분류 :
- [0111]의회의원·고위공무원 및 공공단체임원
- 표준직업분류 :
- [1110]의회 의원·고위 공무원 및 공공단체 임원
- 표준산업분류 :
- [O841]입법 및 일반 정부 행정
- 조사연도 :
- 2021년
-
시장 市場부산광역시에서 재화 및 서비스가 거래되고 가격이 결정되는 장소. [개설] 시장은 사람들이 자발적으로 모여서 재화 및 서비스의 소비와 교환을 행사하는 장소나 메커니즘으로 정의된다. 행정 당국의 감독을 받는 공적 시장과 달리 통제를 받지 않고 자율적으로 상거래 행위를 할 수 있는 사적 시장의 등장이 현재 시...
- 분야 :
- 정치·경제·사회
- 지역 :
- 부산광역시
출처 한국 향토문화 전자대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