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소한 小寒
    동지와 대한 사이에 있는 24절기의 하나. 양력 1월 5일이나 6일 무렵이다. 태양의 황경이 285°이며, 밤이 가장 길었던 동지 후 서서히 낮의 길이가 길어지기 시작한다. 이름은 '작은 추위'라는 뜻이지만, 실제로 한국에서는 다음 절기인 대한보다 더 추운 날로 알려져 있어 "대한이 소한 집에 놀러 갔다가 얼어 죽었다"...
    유형 :
    개념용어
    분야 :
    생활/민속·인류
  • 소한 대한이 소한 집에 가서 얼어 죽었다!
    혹한에도 생명력을 잃지 않고 자란 보리, 양기가 성한 여름을 그리워하다 소한(小寒)은 24절기 가운데 스물셋째로 양력 1월 6~7일 무렵입니다. 소한은 양력으로 해가 바뀌고 처음 오는 절기지요. 절기상으로 보면 대한(大寒)이 가장 추운 때지만 실제는 소한이 1년 중 가장 추운데 절기의 기준이 중국 화북지방에 맞춰졌...
  • 햇볕과 한방차로 겨울나기, 소한
    소한(小寒)은 24절기 가운데 스물셋째로 한겨울 추위 가운데 혹독하기로 소문난 날입니다. 이 추운 겨울을 어떻게 나야 할까요? 《동의보감》에 보면 "겨울철 석 달은 물이 얼고 땅이 갈라지며 양(陽)이 움직이지 못한다. 일찍 잠자리에 들고 해가 뜬 뒤에 일어나야 한다"라고 권하고 있습니다. 많은 동물이 겨울에 겨울...
  • 소한 小寒
    1년을 24개로 구분한 24절기 가운데 스물세 번째 절기. 24절기|내용 동지와 대한 사이에 있으며 음력 12월, 양력 1월 5일경이다. 태양이 황경 285°의 위치에 있을 때이다. 절후의 이름으로 보아 대한 때가 가장 추운 것으로 되어 있으나 실은 우리 나라에서는 소한 때가 가장 춥다. ‘대한이 소한 집에 놀러 갔다가 ...
    유형 :
    개념용어
    분야 :
    생활/민속·인류
  • 소한 Xiaohan, 小寒
    태양 황경이 285도가 되는 때이다. 양력로는 1월 5일 내지 6일에 해당한다. 중국 화북 지방에서는 대한 다음으로 추운 때라 해서 이러한 이름이 붙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한국에서는 이 시기의 기상은 불규칙적이어서, 1년 중 가장 추운 경우도 있고, 겨울철로는 비교적 따뜻한 날씨를 나타내는 경우도 있다. '대한이 ...
    도서 위키백과
  • 소한 (공손연) 紹漢, 绍汉
    연호 소한(紹漢)은 중국 삼국 시대 동북방의 세력가인 공손연이 사용했던 사연호(私年號)이다. 237년부터 238년까지 짧은 기간 동안 사용되었다. 위나라가 공손연 세력을 완전히 멸할 뜻을 보이면서 공손연은 이전에 오나라가 봉했었던 연왕(燕王)을 자처하고 연호도 새롭게 제정했지만 사마의에게 토벌당하였다. 같은...
    도서 위키백과
  • 신수근 근중, 愼守勤
    1450년(세종 32년)에 영의정 신승선과 세종의 넷째아들 임영대군 이구의 딸인 중모현주 이씨의 아들로 태어났다. 본관은 거창(居昌), 자는 근중(勤仲), 호는 소한당(所閒堂)이다. 그의 부인 권씨는 세조의 심복이었던 권남의 여섯째딸로 예종 때 분사한 남이의 처제이다. 게다가 누이동생은 연산군의 왕비 신씨이고...
    출생 :
    1450(세종 32)
    사망 :
    1506(중종 1)
    국적 :
    조선, 한국
  • 소한인사연구 소련한족사, 在蘇韓人史硏究
    편찬/발간 경위 김승화는 역사학자로 활동하였는데, 1945년∼1956년에는 북한에 파견되어 근무하였다. 그 뒤 1960년에 카자흐공화국 학술원 산하 역사-고고학-인류학 연구원에서 캰드다트(kandidat) 학위를 받았고, 연구원의 선임연구위원을 맡았다. 흐루시초프가 집권하였던 시기에 소련 사회에는 ‘해빙기’라고 불릴...
    시대 :
    현대
    저작자 :
    김승화
    창작/발표시기 :
    1965년
    성격 :
    학술서
    유형 :
    문헌
    권수/책수 :
    1권
    간행/발행 :
    나우카(알마티)
    분야 :
    언론·출판/출판
  • 권람 정경(正卿), 權擥
    개설 본관은 안동(安東). 자는 정경(正卿), 호는 소한당(所閑堂). 검교정승 권희(權僖)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찬성사(贊成事) 권근(權近), 아버지는 우찬성 권제(權踶), 어머니는 판사재감사(判司宰監事) 이준(李儁)의 딸이다. 생애 및 활동사항 어려서부터 독서를 좋아해 학문이 넓었으며, 뜻이 크고 기책(奇策)이...
    시대 :
    조선
    출생 :
    1416년(태종 16)
    사망 :
    1465년(세조 11)
    경력 :
    길창군
    유형 :
    인물
    직업 :
    문신
    대표작 :
    소한당집
    성별 :
    분야 :
    역사/조선시대사
    본관 :
    안동(安東)
  • 권람 정경, 權擥
    계유정난을 주도하여 세조의 즉위에 공을 세웠다. 본관은 안동. 자는 정경, 호는 소한당. 할아버지는 찬성사를 지낸 문충공 근이고, 아버지는 우찬성 문경공 제이다. 남이의 장인이다. 1450년(문종 즉위) 향시와 회시 및 전시에 모두 장원으로 급제하여 사헌부감찰이 되었다. 이듬해 집현전교리로서 〈역대병요 歷代兵要...
    출생 :
    1416(태종 16)
    사망 :
    1465(세조 11)
    국적 :
    조선, 한국
  • 신수근 근중(勤仲), 愼守勤
    개설 본관은 거창(居昌). 자는 근중(勤仲)·경지(敬之). 호는 소한당(所閑堂). 신이충(愼以衷)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신전(愼詮)이고, 아버지는 영의정이자 거창부원군 신승선(愼承善)이다. 어머니는 임영대군(臨瀛大君)의 딸이다. 연산군의 처남이며, 중종의 장인이다. 생애 및 활동사항 1484년(성종 15) 음보(蔭補...
    시대 :
    조선
    출생 :
    1450년(세종 32)
    사망 :
    1506년(중종 1)
    경력 :
    이조판서, 우의정, 좌의정
    유형 :
    인물
    직업 :
    문신
    성별 :
    분야 :
    역사/조선시대사
    본관 :
    거창(居昌)
  • 절기 절후, 節氣
    부적을 벽이나 기둥에 거꾸로 붙여 놓기도 했다. 이날 날씨가 따뜻하면 다음해에 질병이 많고, 눈이 많이 오고 추우면 풍년이 들 것을 예상하기도 했다. (23) 소한:양력 1월 5일경, 음력 12월, 태양의 황경이 285°이며, 본격적으로 추워진다. 대한이 소한 집에 놀러 갔다가 얼어 죽었다는 옛 말이 있듯이 한국에서는...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4 5 6 7 다음페이지 없음

관련항목

멀티미디어1건

보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