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불문법 不文法, jus non scriptum
    성문법 이외의 법으로서 문장으로 표현되지 않으며, 일정한 법 제정기관에 의한 소정의 절차를 거치지 않고 형성된 법. (독). ungeschriebenes Recht.|비제정법이라고도 한다. 가령 불문법의 내용이 문서에 기재되어 있더라도(예컨대 판례집) 적법한 입법기관에 의하여 제정되어 있지 않는 한 성문법으로 되는 것은 아...
    도서 다음백과 | 태그
  • 불문법 不文法
    제정 절차를 거치지 않고, 문장의 형식을 취하지 않는 법 법규범의 존재 형식이 제정되지 않은법체계에 의하는 것을 말하며, 비제 정법이라고도 한다. 성문법에 대응하는 것으로 관습법이나 판례법, 조리 등이 이에 속하며 영미법계에서는 주된 법원(法源)으로 되어있으나, 대륙법계에서는 보충적 법원으로 보는 것이 일...
  • 불문법 Oral law, 不文法
    불문법(不文法, '비제정법'이라고도 한다. 즉 성문법(일정한 법 제정 절차를 거쳐 문서의 형식으로 만들어진 법)에 대비되는 개념이다. 영미법계에서 주된 법원(法源)으로 인정받지만, 대륙법계에서는 일반적으로 보충적 법원으로 간주된다. 고등학교 정치와법 교과서는 140쪽에서 불문법의 예시로 관습법과 판례법을 나...
    도서 위키백과
  • Oral law 불문법, 不文法
    An oral law is a code of conduct in use in a given culture, religion or community application, by which a body of rules of human behaviour is transmitted by oral tradition and effectively respected, or the single rule that is orally transmitted.Many cultures have an oral law, while most contempor...
  • 성문법 제정법, 成文法
    어떠한 정책적인 목적에 따라서 입법을 하는 경우에 편리하다는 장점을 갖고 있다. 오늘날 문명국가는 원칙적으로 성문법을 법의 연원으로 하고, 예외적으로 불문법을 병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또한 영국이나 미국과 같은 불문법주의 국가들도 점차 성문법을 법원으로 하는 경향이 있다. 한국은 성문법주의 국가로서...
    도서 다음백과 | 태그
  • 법의분류 法-分類
    주도했느냐에 따라 분류할 수 있다. 크게는 권한 있는 국가 기관에 의해 일정한 절차와 형식을 거쳐 문서로 제정된 성문법과 문서로 제정되어 있지 않은 불문법으로 나뉜다. 성문법에는 헌법, 법률, 명령, 조례, 규칙이 있는데, 상위법과 하위법이 충돌할 때는 상위법을 우선하여 적용하는 상위법 우선의 원칙이 적용...
    도서 다음백과 | 태그
  • 관습법 慣習法
    말하는 내면화는 우리나라 법학자들이 말하는 법적 확신과 표현상의 차이는 있지만 대체로 친화성이 있는 개념으로 생각된다. 주의할 것은 관습법과 불문법과의 관계이다. 관습법은 문자화되지 않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관습법을 불문법과 동일시하는 경우가 있지만 문자화되었다고 해서 관습법이 아닌 것은 아니다...
    도서 다음백과 | 태그
  • 카지미에슈 3세 Kazimierz III
    때문에 '대왕'으로 불린다. 그는 기민한 외교수완을 발휘해 러시아 서부와 독일 동부 지역의 땅을 폴란드에 병합했다. 국내에서는 정부를 통합하고, 불문법을 성문화했으며, 새로 생긴 도시에 마크데부르크 법에 따른 자치권을 부여했고, 폴란드 최초의 대학을 세웠다(피아스트 왕조). 카지미에슈는 거의 2세기 동안...
    출생 :
    1310. 4. 30, 폴란드 쿠야비아
    사망 :
    1370. 11. 5
    국적 :
    폴란드
    도서 다음백과 | 태그
  • 교육법 敎育法
    목적, 제도에 관한 기본적인 사항을 규정한 교육과 관련된 법규 모두를 의미한다. 교육법의 존재 형식은 성문법을 원칙으로 하되 성문법이 미비한 경우 불문법도 가능하다. 성문법의 형식으로는 헌법, 법률, 령, 조례와 규칙 등 자치 법규, 국제조약 및 국제법 등이 있다. 불문법으로는 관습법이나 판례 등이 있다. 좁은...
    시대 :
    현대
    유형 :
    개념용어
    분야 :
    교육/교육
  • 관습법 慣習法
    내용 특정한 형식은 갖추지 않았으나 실질적 행위규범으로서 판례법이나 헌법적 습률과 더불어 전형적인 불문법이다. 법의 형식적 발달이 불문법에서 성문법으로 진화되었듯이 성문법이 발달되기 전에는 대부분 관습법의 형태로 규율되었으나 시대의 진전에 따라 점차 그 영역이 좁혀졌다. 그러나 성문법이 모든 사회...
    성격 :
    법제
    유형 :
    제도
    분야 :
    정치·법제/법제·행정
  • 아다트 adat
    출생에서 사망까지 모든 개인적 행동을 지배하는 전통적인 불문법이다. 15세기 이전까지 2종류의 말레이 아다트 법이 발달했다. 첫째, 아다트 페르파테(Adat Perpateh)는 수마트라와 네게리셈빌란에 살던 미낭카바우인들이 점령지역에서 모계혈통 사회를 이루면서 발달한 것이다. 둘째, 아다트 테멩공(Adat Temenggong...
    도서 다음백과 | 태그
  • 다이시 Albert Venn Dicey
    헌법학 개론 Lectures Introductory to the Study of the Law of the Constitution〉(1885)은 영국 헌법의 일부로 간주될 정도의 명저로, 여러 성문법과 불문법을 결합한 것이다. 그는 이 책에 영국은 물론 미국의 입헌제에 대한 온갖 지식을 쏟아부었다. 다이시는 옥스퍼드대학에서 법학을 강의했고(1882~1909), 런던의...
    출생 :
    1835. 2. 4, 영국 레스터셔 루터워스 근처
    사망 :
    1922. 4. 7, 옥스퍼드
    국적 :
    영국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법률가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4 다음페이지 없음

관련항목

멀티미디어1건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