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부하린 Nikolay Ivanovich Bukharin
    마르크스주의 경제이론에 정통했으며 제3인터내셔널의 중심인물이었다. 경제학을 공부하면서 공산주의 혁명가로 변신한 그는 1906년 사회민주노동당에 가입했고, 1908년 이후 모스크바 볼셰비키(사회민주노동당 다수파) 위원회에서 활동했다. 1911년 체포되어 백해 연안의 오네가로 추방되었으나 서유럽으로 탈출해 크라...
    출생 :
    1888. 10. 9(구력 9. 27), 러시아 모스크바
    사망 :
    1938. 3. 14, 모스크바
    국적 :
    러시아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정치가
  • 니콜라이 부하린 (관련어 부하린) Nikolai Bukharin, ニコライ・ブハーリン
    경제학자, 마르크스주의 사상가이며 혁명 이론의 저술가이다. 청년 망명객 시절 블라디미르 레닌, 레프 트로츠키등과 6년 간 가까이 지내며 활동하였고 1917년 2월 러시아 혁명 이후 모스크바로 귀국하며 볼셰비키 당 고위 인사가 되었으며 10월 혁명 이후 프라우다의 편집장이 되었다. 볼셰비키 당 내에서 좌파 공산주...
    도서 위키백과
  • 니콜라이 부하린 공산당원 여러분
    "부자 되세요." 누가 이 말을 처음 했을까. 광고 회사도 카드 회사도 아니다. 원조는 소련 공산당. 니콜라이 부하린(Nikolai I. Bukharin)이 1925년 4월 17일 모스크바 열성당원 회의에서 선보인 구호다. 부하린은 레닌이 '최고의 이론가'라고 손꼽았던 인물. 골수 빨갱이인 그가 과연 이런 말을 했을까. 그랬다. 식량난...
  • Nikolai Bukharin 니콜라이 부하린, ニコライ・ブハーリン
    Nikolai Ivanovich Bukharin (– 15 March 1938) was a Russian Bolshevik revolutionary, Soviet politician and prolific author on revolutionary theory. As a young man, he spent six years in exile, working closely with fellow exiles Lenin and Trotsky. After the revolution of February 1917, he returned...
  • 소련의 공산주의
    청산하고 급속한 공업화와 농업집산화를 추진했다. 신경제정책의 폐기가 순조롭기만 한 것은 아니었다. 수백만의 농민이 기근으로 사망했으며 니콜라이 부하린, 미하일 톰스키 등 당내 우파 세력들과는 마찰이 일어났다(→ 부하린). 이들은 NEP가 국내 경제안정에 미친 영향을 긍정적으로 평가하고 점진적인 공업화를...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서양철학
  • 숙청재판 肅淸裁判, purge trials
    처형되었다. 3번째 재판(1938. 3)에서 검찰은 지노비예프-트로츠키 공모에, 1920년대 후반에 유력했던 스탈린 반대파 우익 지도자들인 니콜라이 이바노비치 부하린과 알렉세이 이바노비치 리코프도 연루되었다고 주장했다. 야고다 역시 주요관료의 주치의였던 3명의 저명한 의사들과 함께 공모자의 한 사람으로 기소...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세계사
  • 역사적 유물론 유물사관, 歷史的唯物論
    철학 또는 여러 가지 사회과학·역사과학에 대한 인식론적인 기초부문으로 그 성격을 규정했다. 이에 대해 볼셰비키를 대표하는 역사적 유물론자로 알려진 부하린은 "역사적 유물론은 프롤레타리아적 사회학 그 자체"라고 규정하고 철학이라기보다는 오히려 사회과학의 차원에 속하는 이론이라고 주장했다. 레닌은 때로...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서양철학
  • 레닌의 유서 Lenin's Testament
    소련 정치체제의 개혁에 관한 몇 가지 지침과 스탈린·트로츠키·지노비예프·카메네프·부하린·피야타코프 등 6명의 당 지도자들에 대한 간략한 인물평가를 포함하고 있다(→ 스탈린, 트로츠키). 레닌이 뇌졸중으로 고통을 받고 있던 시기에 씌어졌으며 스탈린의 공산당 서기장직 축출권고로 끝을 맺는다. 레닌은 유서...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출판
  • 레닌의 후계자로서의 스탈린
    트로츠키는 이제 지노비예프와 레프 카메네프 및 스탈린의 삼두체제에 의해 축출되어 그늘 속에 가려졌다. 그리고 얼마 지나지 않아 스탈린은 니콜라이 부하린 및 알렉세이 리코프와 결탁하여 삼두체제의 동지였던 두 사람을 몰아냈다. 스탈린 서기장은 이제까지 세계혁명을 통해 얻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했던 지원을...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정치가
  • 트로츠키 Leon Trotsky
    스위스로 옮긴 뒤 파리로 갔으나 전쟁을 반대했기 때문에 프랑스와 스페인에서 추방당했다. 1917년 1월 뉴욕 시에 도착한 그는 볼셰비키 이론가 니콜라이 부하린을 만나 그와 함께 러시아어로 된 신문 〈노비 미르 Novy Mir〉를 발행했다. 1917년 혁명 트로츠키는 러시아 3월(구력 2월) 혁명을 자신이 예언한 영구혁명의...
    출생 :
    1879. 11. 7(구력 10. 26), 러시아 우크라이나 야노프카
    사망 :
    1940. 8. 20, 멕시코 시 근처 코요아칸
    국적 :
    러시아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정치가
  • 파블로프 Ivan Petrovich Pavlov
    기를 꺾고 영혼을 말살하며 타락시키는 당신의 그러한 행동 때문에 나는 러시아인으로 불리는 것이 수치스럽다"라고 항의했다. 그의 실험연구소는 N.I.부하린이 관리하는 정부 보조금을 지원받고 있었지만, 1920년대 후반 공산주의자에 대한 일종의 반대행동으로 그는 공산주의자 교육인민위원 부하린이 연구소에...
    출생 :
    1849. 9. 26(구력 9. 14), 러시아 랴잔
    사망 :
    1936. 2. 27, 상트페테르부르크
    국적 :
    러시아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과학자
  • 소련 공산당 蘇聯共産黨, Kommunisticheskaya Partiya Sovetsko..
    나서게 되었다. 스탈린 일파는 레온 트로츠키, 그리고리 지노비예프, 레프 카메네프와 같은 경쟁자들을 쉽사리 물리쳤다. 1920년대 후반 측근인 니콜라이 부하린을 중심으로 급속한 공업화와 집산화에 대한 반발이 일어났다. 스탈린은 1929년 부하린을 당 지도부에서 제거하고, 대숙청(1934~38)을 시작하여 당 내부에...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세계사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4 다음페이지 없음

멀티미디어1건

니콜라이 부하린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