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1924년 1월 레닌이 죽은 후 스탈린은 고인이 된 지도자를 준비잔틴식으로 우상화했다. 레닌주의의 대제사장이 된 스탈린은 이듬해 차리친 시를 스탈린그라드(지금의 볼고그라드)로 개칭함으로써 자신의 우상화도 함께 추진했다.
한때 레닌의 법정추정 상속인이었던 그의 최대의 라이벌 트로츠키는 이제 지노비예프와 레프 카메네프 및 스탈린의 삼두체제에 의해 축출되어 그늘 속에 가려졌다. 그리고 얼마 지나지 않아 스탈린은 니콜라이 부하린 및 알렉세이 리코프와 결탁하여 삼두체제의 동지였던 두 사람을 몰아냈다.
스탈린 서기장은 이제까지 세계혁명을 통해 얻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했던 지원을 기다릴 것 없이 소련 단독으로 생명력 있는 정치체제를 확립할 수 있다는 확고한 신념하에 '일국사회주의' 정책을 주창했으며, 이 정책은 스탈린이 영향력있는 중간 관료로 끌어올리고 있던 강경파 당료들에게 인기가 있었다. 부하린과 리코프도 지노비예프와 카메네프의 뒤를 이어 숙청되었는데, 당 내의 말단직으로 좌천되었다가 결국 처형됨으로써 스탈린의 가장 강력한 정적들은 모두 제거되었다. 스탈린은 트로츠키를 1929년에 소련에서 추방하고, 이어 1940년에 그를 멕시코에서 암살하게 했다.
1928년에 스탈린은 레닌의 준자본주의적인 신경제정책을 버리고 무모한 국영산업화 정책을 채택하여 일련의 5개년 계획을 추진했다. 이것은 사실상 새로운 러시아 혁명이었으나, 그 영향은 1917년 혁명의 여파보다 더 파괴적이었다. 독재자의 철퇴를 가장 호되게 맞은 것은 농민층으로, 농촌의 약 2,500만 세대가 2, 3년 이내에 집단농장이나 국영농장에서 집단 생활을 하도록 강요당했다. 이에 필사적으로 저항한 농민들은 군대와 정치경찰로부터 공격을 받았다.
쿨라크로 불린 비협조적인 농민들은 무더기로 체포되어 추방·총살되거나 급속도로 팽창하고 있던 스탈린식 집단수용소에 흡수되어 극심한 악조건 속에서 강제노동을 했다. 집단농장화는 우크라이나 지방에 대기근을 일으키기도 했다. 하지만 스탈린은 기근 지역에 급송해야 할 식량을 계속 수출했다. 그 몇 년 동안에 그의 정책으로 인해 희생된 농민의 수가 약 1,000만 명에 달할 것으로 추산된다.
저돌적인 산업화는 약간의 효과는 있었다고 하나 엄청난 실패를 수반했으며, 스탈린은 이에 산업 관리인들을 규탄하고 계속 여론재판에 회부하는 방식으로 대응했다. 피고들은 겁에 질려 허위자백을 함으로써 서기장의 정책으로 야기된 재앙을 대신 짊어지는 희생양의 역할을 했다. 그렇지만 스탈린은 후진국을 급속도로 산업화하는 데는 성공했으며, 그것은 아돌프 히틀러나 H. G. 웰스, 조지 버나드 쇼와 같은 유명 작가들을 포함한 당대의 열광적인 외국인 목격자들에 의해 널리 인정되었다.
스탈린의 정책을 완화하려고 헛된 노력을 한 사람들 가운데는 그의 2번째 아내인 나데주다 알릴루예바가 있었다. 그녀는 1919년에 스탈린과 결혼하여 1남1녀를 낳고 1932년에 자살했다. 아들 바실리는 아버지의 힘으로 소련 공군의 고위 장교가 되었는데 후에 알코올 중독으로 죽었다. 스탈린은 딸 스베틀라나에게 애정과 분노가 뒤섞인 복잡한 감정을 갖고 있었는데 그녀는 스탈린이 죽은 후 국외로 이주하여 스탈린의 감추어진 사생활을 밝히는 회고록을 집필했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정치가와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백과사전 본문 인쇄하기 레이어
[Daum백과] 레닌의 후계자로서의 스탈린 – 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