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부교감신경 Parasympathetic nerve
    정의 자율신경계 중 하나로 위급한 상황에 대비하여 미리 에너지를 비축하는 신경계입니다. 위치 중뇌와 연수, 제2천추에서 제4천추에 이르는 척수에서 나오며, 전체적인 내장기관, 대부분의 혈관, 심근, 평활근, 선(gland), 골반 장기와 연결되어 이를 조절합니다. 구조 부교감신경신경섬유는 중추신경계 중 뇌간과 ...
    관련 질환 :
    저혈압, 외상에 의한 척수 손상, 아토피성 피부염, 천식, 알레르기 비염
    관련 인체 :
    자율신경계, 교감신경
    관련 검사 :
    기립경사검사, 심전도 검사
    도서 인체백과 | 태그 신경계 , 건강 , 인체
  • 부교감신경 副交感神經, parasympathetic nerve
    부교감신경계에서 각각의 원심성 말초신경섬유나 섬유속. 해부학적으로 독립된 계를 구성하지 않고 뇌척수신경에 섞여 분포한다는 점에서 교감신경과 다르지만, 불수의성(不隨意性)이고 절전섬유(節前纖維)와 절후섬유로 되어 있다는 점은 같다. 절전섬유세포의 소재는 교감신경과 반대로 중뇌, 연수, 척수의 3부분으로 ...
  • 무조건반사 ∙ 조건반사 (관련어 부교감신경) 無條件反射, autonomic reflex
    인간 행동의 95%는 의식되지 않습니다. 행동의 대부분은 무의식적으로 습관화된 반응이지요. 무의식적 반응은 대부분 습관화된 조건반사운동입니다. 반사는 무조건반사와 조건반사로 구분됩니다. 무조건반사란 먹이를 줄 때 개가 침을 흘리는 것처럼 그 자극 자체만으로 생리적으로 일으키는 반응이지요. 이 경우는, 학...
  • 뇌와 신경, 자율신경 기능 (관련어 부교감신경) 자동으로 장기의 기능을 지배하는
    자율신경에는 교감신경과 부교감신경이 있으며 서로 상반되는 기능을 하면서 각종 장기나 기관의 기능을 조절한다.|장기나 기관의 기능 조절 자율신경이란 대뇌로부터 명령을 받지 않고 스스로 각종 장기나 기관의 기능을 조절하는 신경이다. 심장 등의 장기가 본인 의사로 조절되지 않고 자동으로 움직이는 것은 자율...
    참고 :
    교감신경의 명령 전달은 신경전달물질인 아세틸콜린과 노르아드레날린이 하고, 부교감신경은 아세틸콜린이 한다.
  • 부교감 신경 副交感神經, Parasympathetic Nerve
    교감 신경과 함께 자율 신경을 구성하는 원심 신경으로서 호흡 ・ 소화 ・ 순환 등을 지배하며, 흥분하면 말단에서 아세틸콜린을 분비하고 심장에는 제어 작용을 하며 위장에는 촉진 작용을 한다.
    분야 :
    방호
  • 부교감신경계 (관련어 부교감신경) Parasympathetic nervous sys..
    부교감신경계는 교감신경계와 함께 자율신경계를 이루는 원심성 말초신경계이다. 부교감신경계통 또는 부교감신경이라고도 한다. 부교감 신경은 교감 신경과는 길항작용의 관계에 있다. 부교감 신경이 흥분하면 맥박 감소, 혈압 감소, 소화 촉진 등 몸이 편안한 상태가 된다. 중추는 뇌줄기나 척수의 천골 부위에 존재하...
    도서 위키백과
  • 장이 편안하면 뇌가 건강해진다
    휴식과 소화에 관여하는 부교감 신경이 있다. 용어가 어려워서 그렇지 내용은 쉽다. 부교감 신경은 휴식 시 활성화되는데 주로 음식을 먹고, 배설하고, 잠들 때 영향을 미친다(이 장에서는 부교감 신경을 이해하기 쉽도록 휴식 신경으로 부르기로 한다). 그런데 현대인들은 늘 빡빡하게 계획을 세워 시간에 쫓겨 다니기...
    도서 착한 밥상 | 태그 음식 , 건강
  • 자율신경계 독립적으로 움직이는 자율신경계
    있지요. 이 사슬을 교감신경간(sympathetic trunk, 교감신경줄기)이라고 합니다. 척주 양 옆에 있죠. 이 부분에 교감신경원의 세포체가 모여 있습니다. 부교감신경의 신경절은 주로 표적기관 가까이에 있어요. 교감신경기둥에 출력된 신경섬유는 내장, 피부, 혈관을 조절하지요. 창자의 근육은 횡주근(돌림근)과 종주근...
  • 부끄러울 때 얼굴이 빨개지는 이유
    부끄럽거나 당황하면 얼굴이 빨개지는 이유는 무엇일까. 이는 우리 몸의 자율신경계인 교감신경과 부교감신경이 신속히 반응해서 생긴 결과다. 부끄러운 상황에 처하면 우선 교감신경이 반응하며 아드레날린을 분비한다. 아드레날린은 심장박동을 증가시켜 혈류량을 늘린다. 늘어난 혈액은 머리 쪽으로 집중 공급된다...
    도서 과학향기 | 태그 증상 , 신경계
  • 동공확장제의 원리는 무엇일까?
    녹내장 같은 망막질환을 검진할 때 동공을 넓히려면 동공괄약근을 이완시켜야 한다. 교감신경은 동공을 확장하고, 부교감신경은 동공을 축소한다. 동공확장제는 동공괄약근의 부교감신경에 붙어 신경이 내린 명령을 차단하기 때문에 교감신경만 작용해 동공이 확장한다. 이 약을 처리하면 몇시간 동안 눈의 초점을...
    도서 과학향기 | 태그 과학 일반
  • 자율신경계 autonomic nervous system
    신경계가 자극을 받으면 심장박동률이 증가하고 근육으로 흐르는 혈액량이 증가하는 반면, 피부로 흐르는 혈액량이 감소함으로써 생물체는 긴장상태에 대비하게 된다. 부교감신경계의 신경섬유는 뇌신경 특히 미주신경과 척수요신경으로서, 자극을 받으면 소화액의 분비가 증가하고 심장박동은 감소된다.→ 신경과 신경계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신경계
  • 부교감신경 흥분제 Parasympathomimetic drug
    부교감신경 흥분제(副交感神經興奮劑, llang)는 부교감 신경을 자극하였을 때와 같은 효과를 보이는 약제 또는 물질이다. 심호흡은 간단하면서도 인위적으로 부교감신경계를 활성화하고 나아가 자율신경계의 항상성을 유지하는 매우 유용한 방법으로 언급된다. 교감신경 흥분제 자율신경실조증
    도서 위키백과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4 5 6 7 8 9 10 다음페이지

멀티미디어5건

교감신경과 부교감신경
부교감 신경의 예
창자에 분포하는 부교감신경, 내장교감신경, 내장감각신경
창자에 분포하는 부교감신경, 내장교감신경, 내장감각신경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