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부교감신경 Parasympathetic nerve정의 자율신경계 중 하나로 위급한 상황에 대비하여 미리 에너지를 비축하는 신경계입니다. 위치 중뇌와 연수, 제2천추에서 제4천추에 이르는 척수에서 나오며, 전체적인 내장기관, 대부분의 혈관, 심근, 평활근, 선(gland), 골반 장기와 연결되어 이를 조절합니다. 구조 부교감신경의 신경섬유는 중추신경계 중 뇌간과 ...
- 관련 질환 :
- 저혈압, 외상에 의한 척수 손상, 아토피성 피부염, 천식, 알레르기 비염
- 관련 인체 :
- 자율신경계, 교감신경
- 관련 검사 :
- 기립경사검사, 심전도 검사
-
무조건반사 ∙ 조건반사 (관련어 부교감신경) 無條件反射, autonomic reflex인간 행동의 95%는 의식되지 않습니다. 행동의 대부분은 무의식적으로 습관화된 반응이지요. 무의식적 반응은 대부분 습관화된 조건반사운동입니다. 반사는 무조건반사와 조건반사로 구분됩니다. 무조건반사란 먹이를 줄 때 개가 침을 흘리는 것처럼 그 자극 자체만으로 생리적으로 일으키는 반응이지요. 이 경우는, 학...
-
뇌와 신경, 자율신경 기능 (관련어 부교감신경) 자동으로 장기의 기능을 지배하는자율신경에는 교감신경과 부교감신경이 있으며 서로 상반되는 기능을 하면서 각종 장기나 기관의 기능을 조절한다. 장기나 기관의 기능 조절 자율신경이란 대뇌로부터 명령을 받지 않고 스스로 각종 장기나 기관의 기능을 조절하는 신경이다. 심장 등의 장기가 본인 의사로 조절되지 않고 자동으로 움직이는 것은 자율...
- 참고 :
- 교감신경의 명령 전달은 신경전달물질인 아세틸콜린과 노르아드레날린이 하고, 부교감신경은 아세틸콜린이 한다.
-
부교감 신경 副交感神經, Parasympathetic Nerve교감 신경과 함께 자율 신경을 구성하는 원심 신경으로서 호흡 ・ 소화 ・ 순환 등을 지배하며, 흥분하면 말단에서 아세틸콜린을 분비하고 심장에는 제어 작용을 하며 위장에는 촉진 작용을 한다.
- 분야 :
- 방호
-
장이 편안하면 뇌가 건강해진다휴식과 소화에 관여하는 부교감 신경이 있다. 용어가 어려워서 그렇지 내용은 쉽다. 부교감 신경은 휴식 시 활성화되는데 주로 음식을 먹고, 배설하고, 잠들 때 영향을 미친다(이 장에서는 부교감 신경을 이해하기 쉽도록 휴식 신경으로 부르기로 한다). 그런데 현대인들은 늘 빡빡하게 계획을 세워 시간에 쫓겨 다니기...
-
-
부끄러울 때 얼굴이 빨개지는 이유부끄럽거나 당황하면 얼굴이 빨개지는 이유는 무엇일까. 이는 우리 몸의 자율신경계인 교감신경과 부교감신경이 신속히 반응해서 생긴 결과다. 부끄러운 상황에 처하면 우선 교감신경이 반응하며 아드레날린을 분비한다. 아드레날린은 심장박동을 증가시켜 혈류량을 늘린다. 늘어난 혈액은 머리 쪽으로 집중 공급된다...
-
동공확장제의 원리는 무엇일까?녹내장 같은 망막질환을 검진할 때 동공을 넓히려면 동공괄약근을 이완시켜야 한다. 교감신경은 동공을 확장하고, 부교감신경은 동공을 축소한다. 동공확장제는 동공괄약근의 부교감신경에 붙어 신경이 내린 명령을 차단하기 때문에 교감신경만 작용해 동공이 확장한다. 이 약을 처리하면 몇시간 동안 눈의 초점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