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기립경사검사 Tilt test
    정의 기립경사검사는 실신이나 실신에 가까운 어지러움의 원인이 자율신경계통에 있는지 재현을 통해 질환을 판정하기 위한 검사입니다. 정상인에 비하여 자율신경계의 반응이 항진되어 있으면 갑작스런 자세 변동이나 심장 약물에 대한 과도한 반응에 의해 일시적으로 저혈압, 심박동수 저하 및 이로 인한 뇌혈류량의 ...
    관련 질환 :
    심장신경성실신, 두통, 부정맥, 현훈, 구토
    관련 인체 :
    미주신경, 심장, 교감신경, 부교감신경, 혈관미주신경
    관련 검사 :
    심전도 검사, 운동 부하 심전도 검사
  • 고혈압성 심장병 hypertensive heart disease
    검사(홀트), 스트레스 심초음파검사, 관상동맥 CT 조영술 등을 시행할 수 있습니다. 부정맥을 진단하기 위해 기본적인 심전도검사 이외에 24시간 심전도검사, 전기전도검사, 기립경사검사 등을 시행할 수 있습니다. 고혈압이 어린 나이에 일찍 발생하고 전해질 이상과 초기부터 심한 합병증이 있는 경우에는, 고혈압을...
  • 심전도기사
    결과를 정리하여 내과의사에게 회송한다. 검사방법에 따라 활동 중 심전도 감시기구인 홀터기록기(Holter Recording)를 환자에게 부착하거나 기립경사검사(수평상태의 기립경사 테이블에 환자를 눕히고 혈압과 심박동수를 측정한 후 검사 테이블을 세운 상태에서 혈압과 심박동수를 관찰), 운동부하심전도검사(러닝머신...
    교육수준 :
    12년 초과 ~ 14년 이하(전문대졸 정도)
    숙련기간 :
    3개월 초과 ~ 6개월 이하
    작업강도 :
    가벼운 작업
    작업장소 :
    실내
    육체활동 :
    시각
    직무기능(자료) :
    수집
    직무기능(사람) :
    말하기-신호
    직무기능(사물) :
    제어조작
    고용직업분류 :
    [3061]임상병리사
    표준직업분류 :
    [2451]임상병리사
    자격/면허 :
    임상병리사
    표준산업분류 :
    [Q861]병원
    조사연도 :
    2017년
    도서 한국직업사전 | 태그 직업
  • 실신 失神, syncope
    합니다. 실신의 원인이 심장 문제는 아닌 것으로 추정되지만 실신이 자주 일어나거나 위험한 일에 종사하거나 운동선수처럼 심장의 부담이 큰 경우에는 기립경사 검사를 실시해 미주신경성 실신인지를 확인합니다. 출혈에 의한 실신이 아닌 경우 일반적인 혈액검사는 큰 도움이 안 되고 실신의 원인으로 뇌질환이 의심...
  • 미주신경 Vagus nerve
    부작용이 발생하면 자극의 정도를 낮춥니다. 몸 안에 삽입한 자극기의 밧데리 수명은 자극 방법에 따라 다르지만 일반적으로 약 10년 정도입니다. ▶ 기립경사검사(Tilt test) 원인불명의 어지러움증이나 실신을 경험한 환자에게 주로 시행하는 검사로 미주신경성 실신을 진단하기 위한 검사입니다. 환자를 침대에...
    관련 질환 :
    심장신경성실신, 후두신경통, 장유착
    관련 인체 :
    뇌신경, 자율신경계, 부교감신경
    관련 검사 :
    기립경사검사, 미주신경절단술, 신경봉합술, 자기공명영상
    도서 인체백과 | 태그 건강 , 인체
  • 심장신경성 실신 Neurocardiogenic syncope
    쓰러질 수 있습니다. 기침이나 재채기를 심하게 한 후에도 쓰러질 수 있습니다. 정확한 진단을 위해서는 환자가 경험한 실신을 검사실에서 재현하는 기립경사 검사를 시행해야 합니다. 치료 심장신경성 실신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실신을 일으킬 수 있는 유발 요인을 피하는 것입니다. 실신이 반복되는 환자는 본인이...
    분류 :
    순환기질환
    발생 부위 :
    전신
    증상 :
    서맥, 의식 변화, 자율신경장애
    진료과 :
    심장내과
    관련 질환 :
    부정맥, 대동맥 박리, 우울증, 대사 증후군, 급성 심근경색증, 저혈압
    도서 질병백과 | 태그 질병
  • 미주신경성 실신 Reflex syncope, 反射性失神
    이상이나, 어떤 심각한 질환을 동반하지는 않는 것 같다. 단지, 의식을 잃고 쓰러질 수 있고, 그 과정에서 다칠 수 있기 때문에 주의가 필요하다. 기립경사 유발검사가 진단에 도움이 되기는 하지만, 내시경이나 CT처럼 정확하게 알 수 있는 진단법은 아니므로, 전문의와의 상담 및 진찰과정이 중요하고, 실신을 유발할...
    도서 위키백과
  • 메디코아
    MODE 2 - 신경과 MODE 3 - 순환기내과 MODE 4 - 내분비내과 - 보험급여 (나-728 순환기 기능검사 ANS Function) 급여항목 E-7281 가. 기립경사 테이블검사 - 주요검사 자세 변화를 통한 자율신경 부하검사(면역력의 지표) 심혈관 돌연사 조기 예측 검사 기립성 빈맥 증후군(POTS) 검사 기립성 저혈압, 실신, 어지럼증...
    도서 위키백과
  • 실신 Syncope (medicine), 失神
    병력, 기립 활력소를 이용한 신체 검사, 12리드 ECG를 포함한 실신 정밀 검사를 권장한다. ECG는 비정상적인 심장 박동, 심장 근육으로의 혈류 불량, 긴 QT 증후군 및 브루가다 증후군과 같은 기타 전기적 문제를 감지하는 데 유용하다. 심장 관련 원인 역시 전구증상의 병력이 거의 없는 경우가 많다. 사건 후 낮은...
    도서 위키백과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다음페이지 없음

멀티미디어1건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