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기립경사검사 Tilt test정의 기립경사검사는 실신이나 실신에 가까운 어지러움의 원인이 자율신경계통에 있는지 재현을 통해 질환을 판정하기 위한 검사입니다. 정상인에 비하여 자율신경계의 반응이 항진되어 있으면 갑작스런 자세 변동이나 심장 약물에 대한 과도한 반응에 의해 일시적으로 저혈압, 심박동수 저하 및 이로 인한 뇌혈류량의 ...
- 관련 질환 :
- 심장신경성실신, 두통, 부정맥, 현훈, 구토
- 관련 인체 :
- 미주신경, 심장, 교감신경, 부교감신경, 혈관미주신경
- 관련 검사 :
- 심전도 검사, 운동 부하 심전도 검사
-
-
심전도기사결과를 정리하여 내과의사에게 회송한다. 검사방법에 따라 활동 중 심전도 감시기구인 홀터기록기(Holter Recording)를 환자에게 부착하거나 기립경사검사(수평상태의 기립경사 테이블에 환자를 눕히고 혈압과 심박동수를 측정한 후 검사 테이블을 세운 상태에서 혈압과 심박동수를 관찰), 운동부하심전도검사(러닝머신...
- 교육수준 :
- 12년 초과 ~ 14년 이하(전문대졸 정도)
- 숙련기간 :
- 3개월 초과 ~ 6개월 이하
- 작업강도 :
- 가벼운 작업
- 작업장소 :
- 실내
- 육체활동 :
- 시각
- 직무기능(자료) :
- 수집
- 직무기능(사람) :
- 말하기-신호
- 직무기능(사물) :
- 제어조작
- 고용직업분류 :
- [3061]임상병리사
- 표준직업분류 :
- [2451]임상병리사
- 자격/면허 :
- 임상병리사
- 표준산업분류 :
- [Q861]병원
- 조사연도 :
- 2017년
-
-
미주신경 Vagus nerve부작용이 발생하면 자극의 정도를 낮춥니다. 몸 안에 삽입한 자극기의 밧데리 수명은 자극 방법에 따라 다르지만 일반적으로 약 10년 정도입니다. ▶ 기립경사검사(Tilt test) 원인불명의 어지러움증이나 실신을 경험한 환자에게 주로 시행하는 검사로 미주신경성 실신을 진단하기 위한 검사입니다. 환자를 침대에...
- 관련 질환 :
- 심장신경성실신, 후두신경통, 장유착
- 관련 인체 :
- 뇌신경, 자율신경계, 부교감신경
- 관련 검사 :
- 기립경사검사, 미주신경절단술, 신경봉합술, 자기공명영상
-
심장신경성 실신 Neurocardiogenic syncope쓰러질 수 있습니다. 기침이나 재채기를 심하게 한 후에도 쓰러질 수 있습니다. 정확한 진단을 위해서는 환자가 경험한 실신을 검사실에서 재현하는 기립경사 검사를 시행해야 합니다. 치료 심장신경성 실신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실신을 일으킬 수 있는 유발 요인을 피하는 것입니다. 실신이 반복되는 환자는 본인이...
- 분류 :
- 순환기질환
- 발생 부위 :
- 전신
- 증상 :
- 서맥, 의식 변화, 자율신경장애
- 진료과 :
- 심장내과
- 관련 질환 :
- 부정맥, 대동맥 박리, 우울증, 대사 증후군, 급성 심근경색증, 저혈압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다음페이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