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
병역법 兵役法국민의 병역의무에 관한 사항을 규정한 법률. 내용 전체 14장 97조 및 부칙으로 되어 있다. 정부가 수립된 뒤 1949년 8월 6일 처음으로 <병역법>이 제정됨으로써 의무병역제도에 필요한 징병검사, 징집 및 소집 등 병무행정에 필요한 제도적 장치가 마련되었다. 그러나 제정된 지 1년도 못 되어 6·25전쟁의 발발로 ...
- 시대 :
- 현대
- 성격 :
- 법률
- 유형 :
- 제도
- 시행일 :
- 1949년 8월 6일
- 분야 :
- 정치·법제/법제·행정
-
국방의 의무 (관련어 병역법) 國防─義務헌법에 따라 모든 국민이 지는 국방에 관한 의무. 내용 헌법상 모든 국민은 법률이 정하는 바에 따라 국방의 의무를 지며, 누구든지 병역의무의 이행으로 불이익한 처우를 받지 않는다. 국토방위의 의무가 국민의 의무로서 헌법에 규정된 것은 프랑스혁명 이후의 일이다. 봉건시대에는 귀족계급만이 국토방위 의무와 ...
- 시대 :
- 현대
- 유형 :
- 개념용어
- 분야 :
- 정치·법제/법제·행정
-
형법 총칙, 피해자의 승낙 생명도 생명 나름무릎 수술을 해달라고 한 경우에 아무리 피해자의 승낙(간청)에 의한 것이라고 하더라도 의사가 이를 받아들여 수술해준 경우에는 물론 위법성이 있다(병역법 제86조 참조). 결론 교통사고로 다리에 부상을 입은 축구 선수에 대해 오른쪽 다리를 절단한 의사의 수술 행위는 실은 피해자의 승낙 때문이 아니라 치료 행위...
-
병역법 위반 등의 범죄처벌에 관한 특별조치법 兵役法違反等の犯罪処罰に関する特別..대한민국의 법령위키문헌 병역법 위반 등의 범죄처벌에 관한 특별조치법(兵役法違反等의 犯罪處罰에 관한 特別措置法)은 병역법 위반자에 대한 가중처벌을 목적으로 1973년에 제정된 대한민국의 법률로, 1983년 12월 31일 개정 병역법과 통합되면서 폐지되었다. 1973년 1월 30일 : 제정 1973년 3월 2일 : 시행 1982...도서 위키백과
-
병역 兵役역종은 현역과 호국병역의 2종이었다. 복무기간은 현역이나 호국병역 다같이 2년이었으나 호국병역은 출퇴근 복무였다. 그 뒤 1949년 8월 6일 최초의 「병역법」이 공포되었다. 이로써 징병제를 원칙으로 하면서 보충적으로 지원제를 병용하는 병역제도가 실시되었다. 그러나 이 법은 이듬해인 1950년 2월 1일 시행령...
- 시대 :
- 현대
- 유형 :
- 제도
- 분야 :
- 정치·법제/국방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