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병역법 兵役法
    1970년 12월 31일 제정되었으며 이후 일부 개정되었다. 이 법은 총 14장으로 나누어진 전문 97조와 부칙으로 되어 있다. 한국은 병역의무에 관해 강제징집주의를 원칙으로 하고 지원병제도를 가미하고 있다. 병역법 제5조는 병역을 현역·예비역·보충역·제1국민역·제2국민역으로 나누고 있다. 현역이란 징집이나 지원...
    도서 다음백과 | 태그
  • 병역법 兵役法
    국민의 병역의무에 관한 사항을 규정한 법률.|내용 전체 14장 97조 및 부칙으로 되어 있다. 정부가 수립된 뒤 1949년 8월 6일 처음으로 <병역법>이 제정됨으로써 의무병역제도에 필요한 징병검사, 징집 및 소집 등 병무행정에 필요한 제도적 장치가 마련되었다. 그러나 제정된 지 1년도 못 되어 6·25전쟁의 발발로 ...
    시대 :
    현대
    성격 :
    법률
    유형 :
    제도
    시행일 :
    1949년 8월 6일
    분야 :
    정치·법제/법제·행정
  • 병역법
    출처 필요병역법(兵役法)은 국민의 병역 복무에 관한 규정이 명시된 법규이다. 헌법상의 국방의 의무나 병역의 의무에 관한 세부사항을 규정하고 있으며, 보통 징병제를 시행하는 국가와 징병제를 시행한 역사가 있던 국가의 일부에서 시행되고 있다. 징병제를 시행하는 국가의 병역법 규정에서는 국민 중에서 남성의 경...
    도서 위키백과
  • 국방의 의무 (관련어 병역법) 國防─義務
    헌법에 따라 모든 국민이 지는 국방에 관한 의무.|내용 헌법상 모든 국민은 법률이 정하는 바에 따라 국방의 의무를 지며, 누구든지 병역의무의 이행으로 불이익한 처우를 받지 않는다. 국토방위의 의무가 국민의 의무로서 헌법에 규정된 것은 프랑스혁명 이후의 일이다. 봉건시대에는 귀족계급만이 국토방위 의무와 ...
    시대 :
    현대
    유형 :
    개념용어
    분야 :
    정치·법제/법제·행정
  • 형법 총칙, 피해자의 승낙 생명도 생명 나름
    무릎 수술을 해달라고 한 경우에 아무리 피해자의 승낙(간청)에 의한 것이라고 하더라도 의사가 이를 받아들여 수술해준 경우에는 물론 위법성이 있다(병역법 제86조 참조). 결론 교통사고로 다리에 부상을 입은 축구 선수에 대해 오른쪽 다리를 절단한 의사의 수술 행위는 실은 피해자의 승낙 때문이 아니라 치료 행위...
  • 병역법 위반 등의 범죄처벌에 관한 특별조치법 兵役法違反等の犯罪処罰に関する特別..
    대한민국의 법령위키문헌 병역법 위반 등의 범죄처벌에 관한 특별조치법(兵役法違反等의 犯罪處罰에 관한 特別措置法)은 병역법 위반자에 대한 가중처벌을 목적으로 1973년에 제정된 대한민국의 법률로, 1983년 12월 31일 개정 병역법과 통합되면서 폐지되었다. 1973년 1월 30일 : 제정 1973년 3월 2일 : 시행 1982...
    도서 위키백과
  • 대체복무제도 代替服務制度
    대체복무제도는 군 복무 이외에 다른 방식으로 병역 의무를 이행할 수 있도록 하는 제도다. 헌법이 보장하는 양심의 자유를 이유로 현역 ・ 예비역 ・ 보충역 복무를 대신해 병역을 이행하려는 사람은 대체역 심사위원회에 대체역 편입을 신청할 수 있다. 신청이 접수되면 대체역 심사위원회 심의를 거쳐 대체역 편입...
  • 일본 제국 병역법 兵役法
    출처 필요 일본 제국 병역법은 일본의 남성에게 병역의 의무를 부과하던 일본 제국의 법률로, 1927년 4월 1일에 공포되어 같은 해 12월 1일에 시행되었다. 병역법 폐지 등에 관한 건(쇼와 20년(1945년) 칙령 제634호)에 의해 1945년 11월 17일에 폐지되었다. 1873년 1월 10일에 포고된 징병령에 계속되는 징병령(1889년...
    도서 위키백과
  • 중화민국 병역법
    중화민국 병역법은 중화민국 국민의 병역 복무에 관한 법규이다. 중화민국 정부가 중국 대륙에 있던 1933년에 12개의 조항으로 구성된 법으로 제정하였으며, 1943년 3월 15일, 1946년 10월 10일, 1951년 12월 29일, 1954년 8월 16일, 2000년 2월 2일에 전부 개정된 법률이 공포 및 시행이 되었다. 원칙적으로 해당 법에...
    도서 위키백과
  • 대한민국 병역법 兵役法 (大韓民国)
    대한민국 병역법(大韓民國 兵役法)은 대한민국 남성의 신체 건강에 관한 규정 및 그에따른 처벌에 관한 사항을 규정한 법이다. 형법 제 18조 니기미개씨발항 남성의 신체가 건강하면 3년이하의 징역에 처한다. 검사가 3년 구형하면 요즘엔 판사가 1년6개월 선고하는 추세다. 술, 담배, 운동부족, 바르지않은자세 유지...
    도서 위키백과
  • 병역 兵役
    역종은 현역과 호국병역의 2종이었다. 복무기간은 현역이나 호국병역 다같이 2년이었으나 호국병역은 출퇴근 복무였다. 그 뒤 1949년 8월 6일 최초의 「병역법」이 공포되었다. 이로써 징병제를 원칙으로 하면서 보충적으로 지원제를 병용하는 병역제도가 실시되었다. 그러나 이 법은 이듬해인 1950년 2월 1일 시행령...
    시대 :
    현대
    유형 :
    제도
    분야 :
    정치·법제/국방
  • 양심적 병역거부 양심에 따른 병역 거부, 良心的兵役拒否
    정치적 양심에 근거한 병역거부에까지 확대해서 인정해왔다. 한국에서 양심적 병역거부는 인정되지 않는다. 양심적 병역거부는 바로 처벌로 이어진다. 병역법에 ‘병역거부’ 개념은 없어 병역거부가 ‘입영거부’ 행위로 나타나면 ‘병역기피’와 동일한 것으로 간주돼 병역법 제88조(병역기피의 죄)로 처벌되고, 입영...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4 5 6 7 8 9 10 다음페이지

멀티미디어1건

병역법(兵役法)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