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
관측 가능한 별의 특성 측정별의 구조 모형을 만들고 별의 형성·진화 이론을 세운다. BC 2세기경 그리스의 천문학자이자 수학자인 히파르코스는 스스로 고안한 방법에서 별의 밝기를 등급(m)으로 측정했다. 현재 정의된 등급으로는 1등성이 6등성보다 100배 밝다. 인간의 눈으로는 6등급보다 어두운 별은 볼 수 없으나 거대한 망원경에서 사용되는...
-
-
천문학 우주 실험실, 별의 거리를 재는 연주시차태양을 사이에 둔 지구 공전 궤도의 두 지점에서 별을 관측하게 된다. 관측하는 두 지점의 거리가 멀어질수록 같은 거리의 별이라도 시차가 그 만큼 커지며...아주 멀리 떨어져 있는 별은 연주시차조차도 너무 작아서 거리를 정확히 측정할 수 없다. 연주시차를 이용해 잴 수 있는 별의 거리는 약 300광년 이내다. 백조...
-
연주시차 年周視差, annual parallax있는 비교적 가까운 별만 가능하다. 현대에 와서는 인공위성을 이용하여 별의 연주시차를 측정한다. 지상에서 하는 방법과 그 원리는 같지만 지구 대기의 영향이 없는 인공위성에서 측정할 경우 천체의 위치 측정에 대한 오차를 줄일 수 있기 때문이다. 100pc보다 멀리 있는 별의 거리 측정으로 세페이드 변광성(맥동...
-
-
-
-
별까지의 거리를 처음으로 정확하게 측정한 사람은 누구인가?지나지 않았다. 베셀은 스물여섯 살 때 쾨니히스베르크 천문대장으로 지명되어 1846년 죽을 때까지 이 직책을 맡았다. 그는 재직 기간 동안 5만 개가 넘는 별들의 위치를 기록한 목록을 만들었다. 또 태양계의 행성 운동으로 인한 섭동(작은 교란)을 연구하기 위해 복잡한 중첩 운동과 진동을 기술하는 데 도움이 되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