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별의 측정
    내부에서 발생된 에너지를 복사(輻射)하여 스스로 빛을 내는 가스 덩어리로 된 천체.|이름 대부분의 이름은 아랍어에서 유래했으며 독일의 J. 바이어는 겉보기 밝기에 따라 그리스 문자(α, β, γ ……)를, 영국의 플램스티드는 54개 별자리의 에 대한 숫자를 별자리 이름의 소유격 형태로 붙였다. 그뒤 더욱 어...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우주
  • 관측 가능한 별의 특성 측정
    별의 구조 모형을 만들고 별의 형성·진화 이론을 세운다. BC 2세기경 그리스의 천문학자이자 수학자인 히파르코스는 스스로 고안한 방법에서 별의 밝기를 등급(m)으로 측정했다. 현재 정의된 등급으로는 1등성이 6등성보다 100배 밝다. 인간의 눈으로는 6등급보다 어두운 은 볼 수 없으나 거대한 망원경에서 사용되는...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우주
  • 별의 거리측정
    거리측정의 가장 기본적인 방법은 삼각시차(→ 시차)로서, 연주시차를 측정하여 거리를 구하는데, 가까운 에만 사용할 수 있다(→ 시차). 은하성단은 운동성단을 기준으로 하여 주계열 맞추기를 이용하며, O, B형 과 초거성은 은하성단의 헤르츠스프룽-러셀(H-R)도와 통계시차를 기준으로 하여 분광시차를 이용한다...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우주
  • 항성, star
    우주에는 수많은 들이 있으며 육안으로 약 6,000개 정도가 보인다. 태양계에서 가장 가까운 은 태양에서 약 4.3광년 떨어져 있는 켄타우르스자리 프록시마이며, 가장 먼은 수십억 광년 거리에 있는 외부은하계 안에 있다. 은 태양처럼 홀로 존재하기도 하지만, 주로 쌍이나 여러 개의 로 구성된 다중성계...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우주
  • 천문학 우주 실험실, 별의 거리를 재는 연주시차
    태양을 사이에 둔 지구 공전 궤도의 두 지점에서 을 관측하게 된다. 관측하는 두 지점의 거리가 멀어질수록 같은 거리의 별이라도 시차가 그 만큼 커지며...아주 멀리 떨어져 있는 은 연주시차조차도 너무 작아서 거리를 정확히 측정할 수 없다. 연주시차를 이용해 잴 수 있는 별의 거리는 약 300광년 이내다. 백조...
  • 연주시차 年周視差, annual parallax
    있는 비교적 가까운 만 가능하다. 현대에 와서는 인공위성을 이용하여 별의 연주시차를 측정한다. 지상에서 하는 방법과 그 원리는 같지만 지구 대기의 영향이 없는 인공위성에서 측정할 경우 천체의 위치 측정에 대한 오차를 줄일 수 있기 때문이다. 100pc보다 멀리 있는 별의 거리 측정으로 세페이드 변광성(맥동...
  • 광도측정 光度測定法, photometry
    측정작업은 관측시간과 관측의 복잡함을 항상 잘 절충하는 것이다. 넓은 파장역의 측정은 몇 번으로 금방 할 수 있으나, 더 많은 색을 사용하여 등급을 측정할수록 그 에 대한 더 많은 성질을 밝힐 수 있다. 가장 간단한 측정별의 유효 온도를 재는 것이나 더 넓은 파장역에 대한 자료를 얻으면 거성(巨星)·왜성...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우주
  • 절대 등급 絶對等級, absolute magnitude
    전체표면에서 매 초당 방사되는 에너지의 총량)의 척도가 된다. 만약 관측자가 별의 겉보기 등급과 절대등급을 안다면 이로서 별의 거리를 측정할 수 있다. 또 별의 겉보기 밝기와 거리를 알면 별의 광도 또한 알 수 있다. 그러나 별의 광도는 자체에 물리적 특성에 의해서 결정되는 양이지 거리에 의존하지...
    도서 다음백과
  • 고유운동 proper motion
    태양을 향하거나 멀어지는 시선방향의 운동은 포함되지 않는다. 고유운동은 보통 초/년(″yr-1)으로 측정하며, 고유운동이 제일 큰 것으로 알려져 있는 것은 뱀주인자리에 있는 바너드 로서, 약 10″yr-1의 값을 보인다. 1718년에 영국의 천문학자 에드먼드 핼리가 알데바란·아크투루스·시리우스의 고유운동을 최초...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우주
  • 별의 일생
    않는다. 은 우리가 알지 못하는 거대한 에너지원을 가지고 있다. 이 에너지원은 거의 모든 물질에 존재하는 원자의 반응에 의한 것일 수밖에 없다. 언젠가는 인류가 이 에너지를 사용할 수 있는 날이 올 것이고 그렇게만 된다면 에너지는 아무리 써도 부족하지 않을 것이다. 태양은 그런 식으로 150억 년이나 열기를...
  • 연주 시차 年週視差, Stellar parallax
    지구공전궤도상의 두 지점에서 을 관측할 수 있다. 별의 위치에 대한 이러한 효과를 연주시차라고 하며, 지구와 태양에서 을 볼 때 배경에 대한 별의 위치 차이로 정의한다. 거리측정의 가장 기본적인 방법은 삼각시차로서, 연주시차를 측정하여 거리를 구할 수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은 너무 멀리 있어 연주시차...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우주
  • 까지의 거리를 처음으로 정확하게 측정한 사람은 누구인가?
    지나지 않았다. 베셀은 스물여섯 살 때 쾨니히스베르크 천문대장으로 지명되어 1846년 죽을 때까지 이 직책을 맡았다. 그는 재직 기간 동안 5만 개가 넘는 들의 위치를 기록한 목록을 만들었다. 또 태양계의 행성 운동으로 인한 섭동(작은 교란)을 연구하기 위해 복잡한 중첩 운동과 진동을 기술하는 데 도움이 되는...
    도서 누구나 천문학 | 태그 우주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4 5 6 7 8 9 10 다음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