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변광성 우주의 거리 측정자
    핵융합 반응에 쓰일 물질을 많이 소모해버린 별이 붉은색을 내며 부풀어 올랐다. 가까이 있는 별은 부풀어 오른 별의 물질을 끓어 당겨 질량을 키우고 있다. 물질을 얻은 별은 표면에서 폭발적인 핵융합 반응이 일어나고, 평상시의 수백만 배에 달하는 에너지가 방출되면서 갑자기 밤하늘에 밝게 존재를 드러낸다. 별을 ...
  • 변광성 變光星, variable star
    관측된 빛의 세기가 뚜렷하게 변하는 별.|밝기 변화는 주기적이거나 반규칙적 또는 완전히 불규칙적일 수 있다. 변광성은 밝기 변화의 기원과 특성에 따라 식(蝕)변광성·맥동변광성·폭발변광성으로 나뉜다. 식변광성을 지구에서 관측하면, 이중성 또는 쌍성계의 한 별이 다른 별들의 앞을 지날 때 이 별빛의 일부를 ...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우주
  • 변광성
    변광성은 진화의 일시적인 단계에 해당한다고 생각되며 질량에 따른 별의 진화에 대한 중요한 단서를 준다. 또한 어떤 변광성은 우리은하 밖의 먼 항성계까지의 거리를 재는 중요한 수단으로 사용된다. 맥동성에 속하는 세페이드 변광성, 거문고자리 RR형변광성, 왜성 세페이드(방패자리 δ별), 장주기변광성, 반규칙...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우주
  • (관련어 변광성) 항성, star
    내부에서 발생된 에너지를 복사하여 스스로 빛을 내는 가스 덩어리로 된 천체.|우주에는 수많은 별들이 있으며 육안으로 약 6,000개 정도가 보인다. 태양계에서 가장 가까운 별은 태양에서 약 4.3광년 떨어져 있는 켄타우르스자리 프록시마별이며, 가장 먼별은 수십억 광년 거리에 있는 외부은하계 안에 있다. 별은 태...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우주
  • 변광성 Variable star, 変光星
    변광성(變光星)은 광도가 변하는 별이다. 별 자체의 밝기가 변하는 종류와 식(蝕) 등의 이유로 겉보기 밝기가 변하는 종류가 있다. 세페이드 변광성은 그 밝기가 변광주기와 일정한 관계에 있기 때문에 중요하다. 변광주기를 관측하면 별의 밝기를 구할 수 있고, 이를 별의 겉보기 밝기와 비교하면 별까지의 거리를 구할...
    도서 위키백과
  • 별은 왜 반짝일까 (관련어 변광성)
    서쪽 하늘로 붉은 태양이 내려가고 어둠이 몰려오면 별빛이 우리를 유혹한다. 밤하늘의 별은 보석처럼 반짝인다. 우주에서 날아오는 별빛은 지구의 대기권을 통과하면서 대기의 요동으로 흔들리게 된다. 이렇게 흔들리는 별빛을 지상에서 보고 있으면 반짝이는 것처럼 보인다. 도심의 인공 불빛과 먼지 입자들은 별빛을 ...
  • 미라 (관련어 변광성) 고래자리의 이상한 별
    별은 태어나서 성장하고 죽어감에 따라 밝기가 달라진다. 이러한 과정은 수억 년에서 수십억 년이라는 긴 시간이 걸리기도 한다. 100년에 못 미치는 짧은 인생을 살아가는 인간이 별의 밝기 변화를 관측하기란 거의 불가능하다. 하지만 불과 며칠 또는 몇 백 일 사이에 밝기가 변하는 별들이 있는데, 이들이 바로 밤하늘...
  • Variable star 변광성, 変光星
    A variable star is a star whose brightness as seen from Earth (its apparent magnitude) fluctuates.This variation may be caused by a change in emitted light or by something partly blocking the light, so variable stars are classified as either: Intrinsic variables, whose luminosity actually changes...
  • 세페이드 변광성 Cepheid variable
    대부분의 분광형(分光形)이 최대광도에서 F형(온도가 태양보다 높음)이고, 최소광도에서는 G형(온도가 태양과 같은 분광형)이다. 델타 세페이가 이 변광성의 원형별인데 1784년 존 구드릭이 이 별이 변광한다는 것을 발견했으며, 1912년 하버드 천문대의 헨리에타 리비트는 앞에서 언급한 세페이드의 주기-광도 관계를...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우주
  • 천문학 우주 실험실, 변광성 삼총사를 찾아라
    실험방법 준비물 쌍안경 또는 소형 망원경 1. 12월 중순 저녁쯤에 서쪽 하늘에 나타나는 별자리를 찾아본다. 2. 성도에서 변광성인 알골, 미라, 케페우스자리 델타별의 위치를 확인한다. 3. 밝은 별 네 개로 된 페가수스자리 사각형을 길잡이 삼아 세 변광성의 위치를 찾는다. 4. 맨눈, 쌍안경, 망원경을 사용하여...
  • 은하의 거리를 알려주는 변광성 은하수 너머의 우주
    은하의 거리를 알아내는데 가장 결정적인 역할을 한 것이 케페이드 변광성이다. 1912년 리비트는 케페이드 변광성이 특별한 주기-광도 관계를 갖는다는 것을 발견했다. 이를 이용하면 케페이드 변광성이 있는 곳까지의 거리를 구할 수 있는데, 허블은 안드로메다 은하에서 찾아낸 케페이드 변광성의 주기를 구함으로써...
  • 세페이드 변광성이라고 불리는 표준 촉광은 누가 발견했는가?
    밝기 변화는 예측이 가능하며 톱니 모양의 패턴을 띠는 것이 확인되었다. 그리고 이와 똑같은 톱니 모양의 밝기 변화 패턴을 갖는 다른 변광성들이 확인되었다. 이 유형의 변광성들은 가장 먼저 발견된 별의 이름을 따서 세페이드 변광성(Cepheid variables)이라 부르게 되었다. 1913년 레빗과 덴마크의 천문학자 엔야르...
    도서 누구나 천문학 | 태그 우주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4 5 6 7 8 9 10 다음페이지

멀티미디어8건

변광성
케페이드 변광성
케페이드 변광성
케페우스자리 델타별의 광도 변화 곡선
세페이드 변광성(Cepheid variable)
변광성 삼총사를 찾아라
북쪽왕관자리 별들의 변광성 스펙트럼, 1877년
1923년 10월 허블이 발견한 안드로메다 은하의 케페이드 변광성(사진 위쪽의 VAR로 표시한 별, N은 신성을 의미)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