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
사과재배, 품종 갱신접수품종이 자라면 방해되는 가지를 서서히 잘라 나가다가 5년 전후에 갱신을 완료한다. 이 방법은 수량이 급격히 떨어지지 않는다는 이점이 있지만 접목한 가지의 유인을 게을리하면 수형이 흐트러질 우려가 있다. 현재의 주지의 방향에 구애받지 말고 나무 전체 수형을 고려하여 빈 공간으로 새로 접목한 가지가...
-
보존 배 품종의 특성재배가 용이한 품종이다. 〈재배상 유의점〉 • 배나무잎검은점병에 발현성으로 높이접 갱신 시 주의가 필요하다. • 단과지 형성이 용이하지만 ‘신고’에서처럼 강전정을 삼가고 솎음전정 위주로 하는 것이 좋다. • 일찍 철저하게 열매솎기를 하여 균일한 과실 생산을 유도해야 한다. 지나치게 큰 과실은 과일 모양이...
-
현재의 주요 재배 배 품종외관 품질을 저해시킬 수 있으므로 코르크화를 촉진시켜야 한다. ○ 배나무잎검은점병(괴저반점병)에 비발현성으로 이병된 배나무의 고접갱신 품종으로 이용될 수 있다. ○ 조생종 품종으로 수확 후 긴 생육 기간 동안 시비, 병해충 및 신초 관리를 철저히 하여 충실한 꽃눈 형성을 도모한다. 다. 금후 전망 우리나라...
-
-
배나무 병해충 방제고접갱신을 하거나 강전정한 경우에 심하게 생길 수 있다. 또한 수세가 떨어진 상태에서 긴 가지를 결실지로 이용한 경우에도 발생이 많을 수 있다. 라. 방제 ① 경종적 방법 ○ 배나무 묘목을 심을 때는 가뭄의 피해를 받지 않도록 물빠짐이 잘 되는 땅에 심도록 한다. ○ 상처 부위를 통해서 병원균이 침입하므로...
-
사과재배, 주요 품종분질화가 빨라지므로 숙기에 잘 관찰하여 수확기가 늦지 않도록 유의한다. 수세가 중 정도로 세력이 강하지 않으므로 M.9나 M.26 대목의 왜화재배에 적당한 품종이다. 오래 묵은 가지에 달린 과실은 작고, 착색이 불량하므로 3년 이상 된 열매 가지는 적절히 절단하여 새 가지로 갱신을 한다. 최근 외국에서 육성된 품종...
-
감 재배, 주요 품종의 특성과학원 배연구소에서 2008년 ‘로19’에 ‘태추’를 교배하여 육성한 품종으로 2016년에 최종 선발하였으며, 국내 육성품종의 조기 보급을 위하여 2017년에 전용실시할 예정이다. 숙기는 10월 중순인 중생종이고, 완전단감 계통으로 꼭지들림, 과정부 열과 및 오염과 등의 생리장해 발생이 적으며, 수꽃이 피지 않기...
-
-
연도별 배 재배 면적 및 생산량줄어드는 추세이다. 2016~2017년에 국내 육성 품종 보급 사업이 시행되면서 이른 추석에 ‘신고’를 대체할 수 있는 ‘신화’, ‘화산’, ‘한아름’ 등의 품종갱신 및 식재가 소폭 늘어나는 추세이다. 이뿐만 아니라 껍질째 먹는 배인 ‘조이스킨’, 당도가 높은 ‘창조’ 등 이른 추석용 품종이 도입되고 있다. 소비...
-
추식 구근, 프리지아 Freesia hybrida4배체 품종들이 발표됨에 따라 다소 인기를 회복하고 있다. 꽃 색이 다양하고 종자파종 후 7∼8개월이면 꽃이 피며 구근보다는 값이 싸다는 등의 장점도 있다. (가) 파종 및 육묘 종자를 벤레이트 티 200배액에 30분간 소독하고 14℃의 냉장고에 20일간 보관했다가 7월 하순∼8월 상순에 1cm 간격으로 파종하며 9월 중순...
-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다음페이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