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
보존 배 품종의 특성5년간 지역 적응성 검토 결과 당도가 높고 저장력이 강한 고품질 만생종 배로 우수성이 인정되어 1995년 선발 ・ 명명하였다. 나무자람새가 강하고 나무 형태는...높아 재배가 용이하다. 짧은 열매가지 형성이 잘되고 다수성이며 꽃이 활짝 피는 시기는 ‘만삼길’보다 3일 빠르다. 꽃가루가 많고 주요 재배 품종과...
-
감자, 우리나라 주요 재배 품종의 특성생산재배에서는 진딧물 방제를 충분히 하여야 한다. 또 남서는 더뎅이병에 약하므로 채소 뒷그루로 재배하고자 할 때에는 석회 비료를 주어 알카리성이 강해진...Atlantic) (1) 육성경위 대서는 1976년 미국에서 칩가공용으로 육성된 품종으로 우리나라에는 1982년 도입되어 부분적으로 칩가공 원료용 품종으로 이용되어...
-
감 재배, 주요 품종의 특성바람직하다. 또한 안정적인 결실량 확보를 위해서는 선사환 등의 수분수 품종을 5∼10%의 비율로 식재하는 것이 좋다. (3) 로망 가. 주요 특성 ‘로망’ 품종은 국립원예특작과학원 배연구소에서 1997년에 ‘로-19’에 ‘만어소’를 교배하여 2008년에 최종 선발한 품종으로서 과실특성이 우수하고 연차간 변이가 적어...
-
고구마, 주요 품종의 특성기재배 했을 때보다 다소 떨어진다<표 3-64>. 흑반병과 연부병에 대한 내병성 정도가 강한 편이나, 겉껍질이 손상되면 저장력이 다소 낮아지므로 주의가 필요...큐어링 처리를 하는 것이 좋다. 신율미는 전국에서 재배가 가능한 광지역성 품종이며 고구마 모양이 다소 긴 편이므로 수확할 때 절단되지 않도록 주의해야...
-
현재의 주요 재배 배 품종것이 좋다. (7) 추황배(秋黃배, Chuwhangbae) 1967년 ‘금촌추’에 ‘이십세기’를 교배하여 1983년 1차 선발, 1985년에 최종 선발 ・ 명명한 품종이다. 가. 주요 특성 ○ 나무 : 나무자람새가 비교적 강하고 나무의 형태는 반개장성이다. 단과지 형성 및 유지는 중 정도이며 액화아 형성이 잘 안 되기 때문에 여름철...
-
-
최신 육성 배 품종Nagiwho1) 1995년 ‘황금배’와 ‘이십세기’를 교배하여 2005년부터 7년 동안 지역 적응성 시험을 거쳐 저온요구도가 낮은 품종으로 2011년에 최종 선발 ・ 명명하였다. 가. 주요 특성 ○ 나무 및 결실성 : 나무자람새가 강하며 나무의 형태는 반개장성이고 단과지 형성 및 유지성이 좋다. 검은무늬병에 저항성이며...
-
사과재배, 주요 품종없다. 주요 재배품종과는 대부분 교배친화성이 높다. <재배상 유의할 점> 나무가 개장성이고 세력이 약해지기 쉬운 성질을 가지고 있으므로 적절히 단축 전정 실시하여야 한다. 유목기에 수관을 충분히 확대를 시킨 후 착과시키고, 조기에 적뢰, 적과를 하여 수세저하를 방지하여야 한다. 수세가 약화되면 동해(凍害) 및...
-
딸기, 일본에서 도입된 주요 품종전조재배 시에는 이보다 약간 빨라도 초세 유지에 큰 어려움이 없으나 ‘여봉’보다 2~3일 늦게 보온에 들어가는 편이 좋다. (2) 과실 특성 과실의 모양은 원추형, 과실의 색은 연한 적색이며 과피는 광택이 우수하다. 착색은 저온기에 우수하고 과실 밑 부분까지 착색이 잘 된다. 상품과의 평균 과중은 15g 정도로...
-
딸기, 우리나라에서 육성된 주요 품종있다. 주요 딸기 품종 구별 분자 표지와 탄저병 검정 기술 등을 일부 정립하였으나 분자 표지 개발 성과가 다소 미흡한 실정이다. 현재까지 농촌진흥청 등 국가 기관에서 육성된 딸기 품종은 총 20여 품종이다. 최근에는 농촌진흥청 딸기연구 사업단을 통하여 연구 협력 체계를 구축하여 역량을 집중한 결과 매년 1~2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