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날 김치 중 가장 대표적인 김치이다. 여러 가지 김장김치 중에서도 각 가정마다 담가 먹는 가장 일반적인 김치라 하겠다. 재료 및 분량 배추 5통(10kg), 절임용 소금 1kg, 무 1~1½개(1~1.3kg), 갓 200g, 미나리 200g, 청각 100g, 쪽파 7뿌리, 생굴 150g, 생새우 150g, 배 1개, 고춧가루 1½~2컵, 따뜻한 물 2컵, 새...
배추김치는 배추로 담근 김치다. 고춧가루, 다진 마늘, 파, 젓갈 등을 넣고 버무린 속을 넣어 담근다. 배추김치가 맛있게 익으려면 젖산균이 시큼한 젖산을 만들어 배추를 서서히 익게 만들어야 한다. 젖산균 등의 세균과 효모균에서 생기는 젖산·알코올·에스터 등이 맛을 돋워 주는 것이다. 오늘날 배추김치의 형태는...
우리나라 가정에서 일상적으로 먹는 김치의 종류는 한정적이다. 봄에는 햇배추김치와 나박김치를, 여름철에는 열무김치, 오이소박이, 부추김치를 주로 먹는다. 가을에 먹는 배추김치와 깍두기, 총각김치는 일반 가정에서는 물론 어느 곳에서도 쉽게 볼 수 있는 김치이다. 겨울철에는 배추통김치, 갓김치, 파김치, 장김치...
썰거나 저며서 켜에다 섞은 '섞박지' 유형의 김치였다. 지금과 같은 배추통김치가 생긴 것은 배추가 개량·발달된 근대에 이르러서이며, 그 이전에 배추김치는 없었다. 김치는 계절과 지방에 따라 다음과 같이 나뉜다. 봄철에는 나박김치·햇배추김치·돗나물김치, 오이철에는 오이소박이·오이지, 여름철에는 열무김치...
맵지 않은 풋고추를 길이로 갈라 무채와 함께 버무린 소를 채워 담는 김치이다. 고추소박이의 소는 희게 만들기도 하고 고춧물을 들여 통김치 만들 때와 같이...생강 1/3톨, 멸치액젓 3큰술, 잣 1큰술, 설탕 2작은술, 소금물 조금, 배추 우거지 2~3장 만드는 법 1. 맵지 않은 풋고추를 골라 꼭지 부분을 1cm 정도 남기고...
전"으로도 부른다. 김치수제비: 김치를 넣어 끓인 수제비이다. 김치전골: 묵은김치(묵은지)와 돼지고기를 넣고 끓인 전골 김치제육볶음: 김치와 돼지고기를 넣고 볶은 요리 김치죽: 배추통김치를 물에 담가 우렸다가 잘게 썰어 넣고 쑨 죽이다. 김치찌개: 김치를 넣고 끓인 찌개이다. 김치찜은 김치를 매콤한 고춧가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