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박상호 朴商昊, Park Sang-ho
    박상호는 1931년 인천에서 출생하여 서울로 이주한 후 경동고등학교를 졸업하고 연세대학교에 입학하였다. 그는 영화계에 입문하기 전, 극단 ‘신협’에 입단하여 연극계와 먼저 인연을 맺었다. 1955년 신상옥 감독의 ‘신필름’에 입사하면서 영화계에 입문하게 되었다. 신상옥 감독의 <젊은 그들>(1955)에서 조감독 생...
    출생 :
    1931년 인천
    사망 :
    2006년
    수상 :
    1965년 아시아영화제 비극영화 작품상, 대종상 우수 문화영화상(<비무장지대>)
    데뷔 :
    1956년 <해정>
  • 박상호
    1931년 9월 24일 ~ 2006년 4월 3일)는 대한민국의 영화 감독이다. 경기도 강화 출생이다. 연세대학교 상과를 졸업하고, 1956년 《해정(海情)》으로 데뷔하였다. 1958년 《장미는 슬프다》, 《낭만열차(浪漫列車)》, 1960년 《모상(母像)》, 1962년 《산색시》, 1963년 《또순이》, 《선술집 처녀》, 1966년 《비무장지대...
    도서 위키백과
  • 강범구 康範九, Gang Beom-gu
    한국전쟁 시기 부산으로 피난을 떠났다. 강범구는 부산에서 1953년에 개최된 제3회 전국대학연극경연대회에서 국민대 연극부의 연극 <순동이>(유치진 작, 박상호 연출)에 참여하기도 하였다. 그리고 한국전쟁이 끝난 뒤 다시 서울로 돌아가 국민대학교 경제학과에 입학하여 연극부에서 활동했다. 강범구가 영화계에 입문...
    출생 :
    1924년 7월 15일 황해도 벽성군
    데뷔 :
    1962년 <북극성>
  • 전우열 全右烈, William w Jun
    대학교를 졸업했다. 전우열이 영화계에 입문하게 된 계기는 한형모 감독의 가정교사로 들어가면서였다. 그는 한형모 감독의 문하생으로 있다가 이봉래, 박상호, 이강천, 감독 밑에서 조감독을 했다. 이후에 정창화 감독 아래에서 조감독으로 있으면서 정창화 감독에게 영화연출 수업을 받았다. 작품 세계 전우열에 대한...
    출생 :
    1940년 경상북도 영천
    수상 :
    1968년 대종상 신인 감독상을 수상(<잊으려 해도>)
    데뷔 :
    1968년 <내 청춘 황혼에 지다>
  • 적성지 赤城誌
    열녀(烈女) · 유일(遺逸) · 고적(古蹟) · 책판(冊板) · 정대(亭臺) 등으로 되어 있다. 지지(地誌)에 관심이 큰 조병유가 부임한 뒤에 특별히 수찬하였다. 권두에 송병선(宋秉璿)과 민술호(閔述鎬)의 서문이 있으며, 권말에 박상호(朴祥鎬)의 발문과 ‘明倫堂新刊(명륜당신간)’이라 묵서(墨書)되어 있다. 참고문헌
    시대 :
    근대
    유형 :
    문헌
    분야 :
    지리/인문지리
  • 도금봉 정옥순, 都琴峰
    영화제 여우조연상을 수상했다. 〈황진이〉와 김화랑·김기덕 감독의〈천하일색 양귀비〉(1962)를 통해 관능미 넘치는 여배우의 이미지를 심은 도금봉은 박상호 감독의〈또순이〉(1963)에서는 독립적이고 경제력이 강하며 강인하고 타협 없는 주인공의 모습을 연기했다. 김수용 감독의〈산불〉(1967)에서는 비참하게...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배우
  • 삼암유고 三巖遺稿
    편찬/발간 경위 1918년 박이겸의 9세손 박상호(朴祥浩)가 영조와 철종연간에 간행하려다 못한 것을 증보·간행한 것이다. 권두에 방손(傍孫) 박내만(朴來萬)의 서문이 있고, 권말에 김석근(金奭根)의 발문이 있다. 서지적 사항 3권 2책. 목활자본. 규장각 도서와 국립중앙도서관 등에 있다. 내용 권1·2에 시 14수와 벗...
    시대 :
    조선
    저작자 :
    박이겸
    창작/발표시기 :
    1918년
    성격 :
    시문집
    유형 :
    문헌
    권수/책수 :
    3권 2책
    간행/발행 :
    박상호
    분야 :
    종교·철학/유교
    소장/전승 :
    규장각 도서, 국립중앙도서관
  • 안양촬영소 安養撮影所, Anyang Film Studio
    정권에 대한 로비의 결과였다. 하지만 홍찬은 한국 최초의 시네마스코프 영화인 첫 번째 작품 「생명」(1958, 이강천)과 두 번째 작품 「낭만열차」(1959, 박상호)의 흥행 실패로 수십억 원의 부채를 떠안게 되었고, 결국 안양촬영소는 1959년 4월 부도 처리되어 상업은행의 관리로 넘어갔다. 이후 선민영화사(宣珉映畵...
    시대 :
    현대
    위치 :
    경기도 안양시 만안구 석수동
    설립 :
    1957년
    성격 :
    촬영소, 촬영 스튜디오
    유형 :
    단체
    해체 :
    1978년
    설립자 :
    홍찬(洪燦)
    분야 :
    예술·체육/영화
  • 대항전망대
    대항전망대는 부산 강서구 가덕도 천성에서 대항마을로 가는 중간에 있다. 남기남 작곡가의 '내 고향은 가덕도' 노래비와 함께 박상호의 '대항전망대에서 바라본 낙조'라는 시비가 서있다. ‘연대봉 산허리에 실안개 휘감기면 등댓불도 수줍어서 깜빡깜빡 웃고 동백꽃 아름다운 내 고향은 가덕도… 대항포 앞바다에 숭어...
    위치 :
    부산광역시 강서구 대항동 산1-4 (대항동)
  • 비무장지대 (영화)
    영화 정보 비무장지대(非武裝地帶)는 박상호 감독, 변하영 각본의 1965년 한국의 흑백 영화이다. D.M.Z. 155마일. 이것은 한국전쟁이 빚어낸 비극의 상징이기도 했다. 잡초가 우거지고 녹슨 탱크와 기차가 넘어져 있는 그곳 비무장 지대 속에는 엄마를 잃고 헤매는 어린 남매가 있었다. 어린 남매는 분명히 남으로 갔을...
    도서 위키백과
  • 김기술 金己述
    군산경찰서로 압송되던 장태성이 임피경찰관출장소(臨陂警察官出張所)에서 열차 대기 중임을 알고 출장소로 몰려가 장태성을 구출하였다. 그리고 조합 간부 박상호(朴相浩)가 서수경찰주재소에 붙잡혀 있음을 알고 곧바로 박상호를 구출하기 위해 주재소를 습격하였다. 이때 함께 주재소 습격에 적극 참여하였다. 일제...
    출생 :
    1887년 12월 20일, 전라북도 옥구(沃溝)
    사망 :
    1940년 1월 31일
    주요활동 :
    1927년 전북 옥구의 이엽사 서수농장의 소작쟁의 참여
    포상훈격 :
    2004년 건국포장
  • 1950년대 부산 로케이션 영화 1950年代 釜山 로케이션 映畵
    1959년 대한흥업이 「비오는 날의 오후 3시」, 부일영화사가 「철조망」, 「불멸의 성좌」 등의 부산 로케이션 영화를 제작하였다. 그 외 멜로드라마인 박상호 감독의 「낭만 열차」[1959년]가 있다. [1950년대 부산 로케이션 영화] 1950년대 대표적인 부산 로케이션 영화였던 「낙동강」·「춘향전」·「논개...
    분야 :
    문화·교육
    지역 :
    부산광역시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4 다음페이지 없음

멀티미디어2건

비무장지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