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무스테리안 공작 Mousterian industry
    제4빙하기(뷔름기) 초기(BC 40000경) 유럽·서아시아·북아프리카 같은 지역에 살던 네안데르탈인과 연관되는 도구문화.|도구류에서 박편제작기술을 엿볼 수 있는데, 이는 클락토니안 문화와 함께 르발루아 문화의 일부 도구류에서 자주 나타나는 박편제작기술과 공통된 것이다(→ 클락토니안 공작). 도구들 가운데는 ...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유물 , 유적
  • 페리고디안 공작 Perigordian industry
    무스테리안 공작에 이어 등장하며, 오리나시안과 부분적으로 동시대로서 솔루트레안으로 이어진다. 페리고디안의 도구로는 이미 무스테리안 전통에 사용된 톱날 석기 및 날카롭고 무딘 날이 각각 한쪽에 있어 현대의 금속칼과 매우 비슷한 돌칼이 있다. 페리고디안 문화에서는 긁개[搔器]·뚜르개·새기개(끌과 비슷한...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유물 , 유적
  • 석기공작
    공작에 이어 나타난 무스테리안 공작은 석기제작에 있어 원돌 덩어리 그 자체보다 거기에서 떼어진 격지를 더 많이 사용했다. 네안데르탈인의 문화로 알려진 무스테리안 공작은 사하라 사막 이북의 아프리카·중동·유럽으로 구성된 지중해 연안지방에서 크게 발달했고, 동쪽으로는 아시아 대륙의 깊숙한 곳에서도 발견...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유물 , 유적
  • 아슐리안 공작 Acheulian industry
    긁개나 새기개 등으로 사용했다. 뼈와 나무 역시 도구로 사용된 듯하지만 남아 있는 증거는 거의 없으며 그 양식에 대해서도 알 수 없다. 아슐리안 공작은 최후 빙하기(뷔름 빙하기)의 시작과 더불어 르발루아 격지떼기 기법, 유럽의 무스테리안 공작, 아프리카의 포레스미스 공작과 상고안 공작으로 점차 대체되었다...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유물 , 유적
  • 스틸베이 공작 Stillbay industry
    동해안을 따라 남부 아프리카에 이르기까지 널리 퍼져 있었으며 다양한 석기들을 생산해냈다. 이 지역에서 출토된 석기들은 북아프리카와 유럽의 무스테리안 공작에 견줄 만한 것으로 최초의 석기와 고도로 발전한 크로마뇽인의 복잡한 석기연장의 중간 단계에 속한다. 돌도구들은 일반적으로 르발루아 기법에 의해...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유물 , 유적
  • 구석기시대 舊石器時代, Paleolithic Age
    발달하였다. 유럽에서 클락토니안 공작(Clactonian industry)은 격지전통의 한 예가 된다. 초기의 격지문화는 네안데르탈인 화석과 관계를 맺고 있는 무스테리안 공작(Mousterian industry)의 중기 구석기시대 격지석기의 발달에 이바지하였던 것 같다. 약 4만 년 전에 시작하는 후기 구석기시대는 지역에 따라 독특한...
  • 아테리안 공작 Aterian industry
    자루에 매달기 쉽도록 창끝·화살촉·긁개 등에 슴배를 만들어 독특한 표시를 했다. 양면가공 창끝은 미세한 눌러떼기[加壓剝離]로 만들었는데, 이 방법은 무스테리안을 비롯한 후대의 석기전통과 기술적 난이도가 같을 정도로 어려운 기법이다. 아테리안인이 제작한 나뭇잎 형태의 돌날[石刀]들은 솔루트레안의 돌날과...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유물 , 유적
  • 르발루아 기법 Levalloisian techniques
    아슐리안 기술을 대체해 최후 빙하기까지 계속되었다. 아프리카에서 준비된 몸돌기법은 아슐리안 공작과 함께 장기간 존속했다. 이 기법은 플라이스토세 말 사하라 사막 이남 아프리카의 다른 공작(예를 들어 스틸베이 공작)에서는 물론, 유럽·서아시아·북아프리카 등지의 무스테리안 공작에서도 격지생산에 널리...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문화 일반
  • 오리나시안 문화 Aurignacian culture
    무스테리안 공작을 이은 것으로 페리고디안과 동시대이며, 솔루트레안이 그뒤를 잇는다. 오리나시안 문화는 많은 예술행위를 가능하게 한 조각용 도구 새기개의 발명을 비롯한 도구의 다양화와 전문화를 이룬 것이 특징이다. 오리나시안은 돌날[石刃]보다는 격지[剝片]를 더 많이 사용했다는 점에서 다른 후기 구석기...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유물 , 유적
  • 이란의 선사시대
    도구제조는 아직 소규모였던 것 같다. 신석기문명의 특징인 동식물의 사육과 정착촌 형성 및 도구를 사용한 흔적이 서부 이란에서 발견되고 있다(→ 신석기시대, 무스테리안 공작). 농경생활은 BC 6000년까지 이란 고원과 후지스탄에 걸쳐 폭넓게 형성되었다. 이 시대에는 아프가니스탄, 발루치스탄, 러시아령 중앙...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세계사
  • 라페라시 화석인골 La Ferasie skeletons
    1909~21년 R. 카피탕과 D. 페로니가 발견했으나 1934년에야 그 전모가 보고되었다. 라페라시 화석의 연대는 약 6만 년 전으로 추정되며, 무스테리안 석기공작과 연관된다고 믿어진다. 화석인골은 모두 6개체분(六個體分)으로, 성인남녀와 10세 안팎의 아이 각 1개체분과 유아 3개체분의 유해로 이루어져 있다. 두개골의...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세계사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다음페이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