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무극 無極
    무극이라는 말은 <노자>나 <장자>에도 나오지만, 송나라 때의 주돈이가 <태극도설>에서 ‘무극이면서 태극이다.’라는 학설을 통해 이것을 철학적 문제로 제기했다. 주희와 육구연이 이 무극을 두고 논쟁을 벌였다. 주희는 주돈이가 무극을 통해 태극의 무형상성을 표현하고자 한 것이며, 무극과 태극은 형체는 없되 이...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동양철학
  • 무극 無極
    성리학에서 궁극자의 무형적 측면을 가리키는 유교용어. 성리학용어|내용 ≪관자 管子≫ 내업편(內業篇)에 무극의 관념이 나타나지만 무극이라는 말로써 표현된 것은 ≪노자 老子≫이다. ≪춘추좌씨전≫이나 ≪장자 莊子≫·≪열자 列子≫ 등에도 이 말이 보인다. 무극이 중국 사상의 중요 문제로 대두된 것은 주돈이(...
    유형 :
    개념용어
    분야 :
    종교·철학/유교
  • 무극 婺劇, Chinhua opera
    중국 희곡의 일종. (병). Zhinhua. (웨). Chinhua opera.|속칭 진화 희[金華戱]라고 한다. 저장 성[浙江省]과 장시 성[江西省] 동북부에서 유행했다. 다성강극(多聲腔劇)으로서 고강·곤강(崑腔)·난탄(亂彈)·휘희(徽戱)·탄황(灘簧)·시조의 6종류 곡조로 겸창한다. 고강조의 연극제목은 대부분 명대 전기 남희(南戱...
    도서 다음백과 | 태그 희곡
  • 희곡무가 굿놀이, 戱曲巫歌
    희곡무가는 무당굿에서 2인 이상의 무당이 대화와 다양한 행위로 연행하는 연극적인 무가이다. 연행을 전제로 하는 종합 예술로, 노래, 몸짓, 손짓, 대화 등 다양한 요소가 결합된다. 대부분의 무당굿은 신과 소통하여 연행하므로 극이라 할 수 있지만, 희곡무가는 무당 2인 이상이 배역을 나누어 진행하는 점에서 일반...
    시대 :
    현대
    유형 :
    개념
    분야 :
    문학/구비문학
  • 무극 (비디오 게임)
    비디오 게임 정보 《무극》은 간드로메다에서 서비스 중인 대규모 다중 사용자 온라인 롤플레잉 게임이다.뉴스 인용뉴스 인용 《무극》은 어도비 플래시 플레이어를 구동 가능한 모든 웹 브라우저에서 플레이 가능한 웹게임이다. 봉신연의, 수호전, 금병매 등 중국 고전소설의 시나리오와 등장인물이 바탕이 된 세계관을...
    도서 위키백과
  • 무극 (영화) The Promise (2005 film), PROMISE (..
    영화 정보 "무극"(無極, llang)은 2005년의 중국 · 미국 · 한국 합작에 의한 고대 판타지 영화. 일본에서는 2006년 2월 11일에 개봉되었다. 골든 글로브 외국어 영화상에 노미네이트 되었다. 중국에서 촬영 당시, 환경 파괴나 패러디 작품이 나도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 (후술). 무대는 "3000년 이전의 미래" 전쟁으로...
    도서 위키백과
  • 무극 Wuji (philosophy), 無極
    이런 경우는 허베이성의 우지현(무극현)이라는 이름에도 사용된다. 브라흐만 단자 (철학)
    도서 위키백과
  • Wuji 무극, Wuji (philosophy)
    Wújí 無極 (literally "without ridgepole") originally meant "ultimate; boundless; infinite" in Warring States period (476-221 BCE) Taoist classics, but came to mean the "primordial universe" prior to the Taiji 太極 "Supreme Ultimate" in Song Dynasty (960-1279 CE) Neo-Confucianist cosmology. Wuji...
  • 6바라밀 6바라밀다, 六波羅蜜
    6바라밀다(六波羅蜜多)·6도(六度)·6도피안(六到彼岸)이라고도 한다. 6바라밀은 보시바라밀(布施波羅蜜)·지계바라밀(持戒波羅蜜)·인욕바라밀(忍辱波羅蜜)·정진바라밀(精進波羅蜜)·선정바라밀(禪定波羅蜜)·지혜바라밀(智慧波羅蜜)로 이루어져 있다. 바라밀 또는 바라밀다는 산스크리트 '파라미타'(pāramitā)를...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불교 , 종교
  • 무극중학교 無極中學校, Mugeuk Middle School
    연원 및 변천 1946년 7월 9일에 3년제인 무극공립농업초급중학교로 설립 인가를 받았고, 같은 해 9월 15일에 개교하였다. 1951년 9월 1일에 무극중학교로 개편하였다. 1974년 3월 1일에 무극중고등학교로 변경·인가를 받았고, 1975년 2월 28일에 금왕여자중고등학교로 분리·이전하였다. 1986년 2월 28일에 금왕고등...
    시대 :
    현대
    위치 :
    충청북도 음성군 금왕읍 무극리 23·2
    설립 :
    1946년 9월 15일
    성격 :
    중학교, 공립중학교
    유형 :
    단체
    분야 :
    교육/교육
  • 무극 無極集
    感聖恩歌)」와 「감은곡(感恩曲)」은 각기 5곡씩으로, 정조의 성은에 대한 감사를 표명한 가곡이다. 모두 한문과 한글 두 가지로 된 것이 특색이다. 시에는 무극(無極)·태극(太極)·팔괘(八卦) 등의 이학적(理學的)인 내용을 주제로 한 것이 많다. 소(疏) 가운데 「뇌이응지일극일치소(雷異應旨一極一治疏)」는 당시의...
    시대 :
    조선
    저작자 :
    양주익
    성격 :
    시문집
    유형 :
    문헌
    권수/책수 :
    16권 9책
    분야 :
    종교·철학/유교
    소장/전승 :
    규장각 도서
  • 무극초등학교 無極初等學校, Muguk Elementary School
    연원 및 변천 1906년 4월 5일 무극사립보통학교로 창설되어 1907년 6월 1일 사립통명학교로 개설되어 오다가 1917년 10월 1일 교사를 감미면 공산리에서 현 위치로 이전하여 무극공립보통학교로 인가되어 4년제로 개교하였다. 1923년 5월 1일 6년제로 승격, 5학급을 편성하였다. 1935년 4월 1일에는 본대리 간이학교 1...
    시대 :
    현대
    위치 :
    충청북도 음성군 금왕읍 무극리 86
    설립 :
    1917년 10월 1일
    성격 :
    초등학교, 공립초등학교
    유형 :
    단체
    설립자 :
    이필영(李弼榮)
    분야 :
    교육/교육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4 5 6 7 8 9 10 다음페이지

멀티미디어9건

주희(Chu Hsi)
육구연
무극저수지
무극집
무극집
무극중학교
무극전적 관광지 충혼탑
무극전적 국민관광지
무극초등학교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