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요약
무극이라는 말은 <노자>나 <장자>에도 나오지만, 송나라 때의 주돈이가 <태극도설>에서 ‘무극이면서 태극이다.’라는 학설을 통해 이것을 철학적 문제로 제기했다.
주희와 육구연이 이 무극을 두고 논쟁을 벌였다. 주희는 주돈이가 무극을 통해 태극의 무형상성을 표현하고자 한 것이며, 무극과 태극은 형체는 없되 이치는 있는 궁극자의 2가지 측면을 나타낸 것이라고 이해했다. 반면 육구연은 태극만으로도 우주 변화의 근원을 설명할 수 있으며, 무극은 전혀 필요없는 개념이라고 주자장했다. 조선 성리학자들은 대체로 주희의 견해에 동조했다. 그들은 무극을 무성·무취한 무한·무형상의 뜻으로 이해하였고, 주무극과 태극이 뜻은 같지만 2가지로 표현되었다고 하면서 무극의 무형상성·무궁성을 강조했다.
무극이라는 말은 〈노자〉나 〈장자〉에도 나오지만, 송나라 때의 주돈이(周敦頤)가 〈태극도설 太極圖說〉에서 "무극이면서 태극이다"라는 학설을 통해 이것을 철학적 문제로 제기했다. 그뒤 주희(朱熹)와 육구연(陸九淵)이 이 '무극'을 두고 논쟁을 벌였다. 주희는 주돈이가 "무극이태극"이라고 한 뜻은 태극만 말하면 태극이 곧 구체적인 실물인 것으로 오해될까 염려하여 무극을 통해 태극의 무형상성(無形象性)을 표현하고자 한 것이며, 무극과 태극은 궁극자의 2가지 측면을 나타낸 것이라고 이해했다.
그것은 한마디로 "형체는 없으되 이치는 있다"는 것이다. 반면에 육구연은 태극만으로도 우주 변화의 근원을 설명할 수 있으며, 무극은 "집 위의 집, 상(床) 아래의 상"처럼 전혀 필요없는 개념이라고 했다. 한편 조선 성리학자들은 대체로 주희의 견해에 동조했다. 이언적(李彦迪)은 조한보(曺漢輔)와의 논쟁에서 조한보가 무극의 초월성을 강조하여 노장과 불교에 가까운 견해에 기울어진 데 비해 무극을 무성·무취(無臭)한 무한·무형상의 뜻으로 이해하여 주희의 견해를 따르고 있다.
또한 장현광(張顯光)도 "다시 더할 수 없는 바와 다할 바가 없다는 것은 다른 뜻이 아니다. 스스로 다시 더할 것이 없기 때문에 다할 바가 없는 것이요, 능히 다할 바가 없기 때문에 다시 더할 바가 없는 것이다. 무극이 바로 태극이라는 것은 바로 이 때문이다"라고 하여, 무극과 태극이 뜻은 같지만 2가지로 표현되었다고 하면서 무극의 무형상성·무궁성(無窮性)을 강조했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