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명암법 음영법(陰影法), 明暗法광선에 의해 나타나는 묘사 대상의 밝고 어두운 관계를 화면 위에 표현하는 기법. 음영법·키아로스쿠로. 개설 음영법(陰影法)이라고도 한다. 3차원의 입체적 물상을 평면의 화면에 빛과 그늘의 밝고 어두운 차이를 이용하여 실물에 가깝도록 그리는 화법이다. 서양화에서 발달된 조형 요소의 하나이다. 내용 묘사 대...
- 유형 :
- 개념
- 분야 :
- 예술·체육/회화
-
달 月그 속의 월궁 항아를 이야기하면서 우리들은 신비주의의 여운으로 감싸인 달의 미학을 이루어왔던 것이다. 미술의 기본적인 의장(意匠)으로 누구나 원근법과 명암법을 손꼽는다. 동양화는 다행스럽게도 이 두 가지 기법에 걸쳐 서구와는 다른 강한 개성을 가꾸어왔다. 산영(山影)들과 물이 어울린 원(遠) · 중(中...
- 유형 :
- 개념
- 분야 :
- 종교·철학/민간신앙
-
심환지초상 沈煥之肖像초상화 기법이 적용되었음을 말해준다. 특히 손잡이의 나무 질감을 살린 표현이라든지, 두 발 아래 음영이 처리된 점, 원근법이 적용된 족좌대와 화문석, 명암법으로 옷주름의 자연스런 굴곡을 표현한 의복 등은 18세기 후반에서 19세기 초 초상화의 사실적인 극치를 보여준다고 하겠다. 이러한 사실적인 기법이 가장...
- 시대 :
- 조선
- 문화재 지정 :
- 보물 제1480호
- 창작/발표시기 :
- 19세기
- 성격 :
- 초상화
- 유형 :
- 작품
- 크기 :
- 전체(세로 213.5㎝, 가로 103㎝), 화면(세로 149㎝, 가로 89.2㎝)
- 권수/책수 :
- 1점
- 분야 :
- 예술·체육/회화
- 소장/전승 :
- 경기도
-
교부 철학 시대의 중세 미술 중세 초기 미술빛이야말로 가장 순수한 아름다움이므로 미술은 영혼을 소재로 다룰 때 제 역할을 한다. 빛이 아름다움이기에 어둠은 추하다. 그러므로 어둠을 사용하는 명암법은 부적절한 기법이다. 인간의 눈은 불완전하기 때문에 시각 조건의 변화를 반영하는 원근법 역시 부적절한 미술 기법이다. 균일하고 선명한 빛과 색을 중심...
-
-
-
원근법 투시법, 遠近法南懷仁), 건륭황제의 궁정화가였던 이탈리아인 카스틸리오네(Giuseppe Castiglione, 郎世寧) 등의 선교사들을 통해 서양화법이 수용되어 회화에 구도나 명암법, 새로운 시점을 도입시켰다. 이러한 중국의 서양화법은 17 · 18세기경 중국을 왕래했던 홍대용(洪大容), 이기지(李器之), 이덕무(李德懋), 박지원(朴趾源) 등...
- 유형 :
- 개념
- 분야 :
- 예술·체육/회화
-
양산 내원사 아미타삼존탱 梁山 內院寺 阿彌陀三尊幀▽삼존은 원형 두광을 지녔으나 신광은 마치 병풍을 펼쳐놓은 듯 삼존을 한 번에 감싸고 있다. 또한 옷자락 등에 동일계열의 색채를 연이어 칠함으로써 마치 명암법과 같은 음영효과를 주고 있다. 적색과 녹색 등이 강렬한 색채의 대비를 이루고 있으며, 이를 완화시키는 분홍색이 대두되어 색채의 화려함을 강조하고 있다...
- 시대 :
- 조선 후기
- 유형 :
- 유물
- 분야 :
- 예술·체육/회화
-
스푸마토 Sfumato안개처럼 색을 미묘하게 변화시켜 윤곽선을 자연스럽게 번지듯 그리는 명암법 연기라는 의미의 이탈리아어 ‘스푸마레(Sfumare’)에서 나온 말로, 색을 미묘하게 연속적으로 변화시켜서 형태의 윤곽선을 번지듯이 하여 차차 없어지게 하는 명암법이다. 15세기 초 레오나르도 다빈치에 의해 처음 도입된 방법이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