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명과 , , 名과 字, 號, 諡
    본 뜻 옛날에는 이름을 귀중하게 여겨 함부로 부르거나 쓰지 않았다. 그래서 용도에 따라 여러 가지 이름을 갖는 풍습이 있었다. (名) - 태어나서 부모가 지어주는 이름이다. 비난할 때 주로 쓴다. (字) - 옛날에는 남의 이름〔名〕을 함부로 부르지 않았기 때문에 장가를 가거나 시집간 후에 새로 이름〔字〕을 지...
  • 권율 행주대첩으로 조선 육군의 위용을 세우다
    彦愼), 는 만취당(晩翠堂)이다. 아버지는 명종 때 우의정을 지내고 선조 초에 영의정을 지낸 권철(權轍)로 명문가 출신이었다. 권율은 임진왜란 때 병조판서를 지내고 후에 영의정에 오른 이항복(李恒福)의 장인이기도 하다. 권철은 성균관에서 공부하는 이항복을 보고 자기 아들 권율을 깨우쳐 주기 위해 집으로...
    시대 :
    조선
    출생 :
    1537년(중종 32)
    사망 :
    1599년(선조 32)
    본관 :
    안동(安東)
    도서 명장열전 | 태그 역사인물 , 한국사
  • 곽재우 홍의장군, 의병을 일으키다
    한가로이 를 읊고 술과 낚시로 세월을 보내던 시골 선비였다. 학문을 하지 않은 것은 아니었다. 조식(曺植)의 문하에서 공부했고, 그 인연으로 조식의 외손녀와 혼인했다. 1585년(선조 18)에는 34세의 나이로 정시문과에 응시해 뽑히기도 했다. 그러나 얼마 후 글의 내용이 선조의 마음에 들지 않는다고 해서 합격이...
    시대 :
    조선
    출생 :
    1552년(명종 7)
    사망 :
    1617년(광해 9)
    본관 :
    현풍(玄風)
    도서 명장열전 | 태그 역사인물 , 한국사
  • 남이흥 정묘호란을 맞아 순절하다
    士豪), 는 성은(城隱), 본관은 의령(宜寧)이며, 아버지는 나주목사를 지낸 남유(南瑜)이다. 남이흥은 본래 문관이 되려고 했다. 그런데 그가 23세 되던 1598년(선조 31) 정유재란 당시 아버지가 노량 앞바다에서 이순신과 함께 왜적과 싸우다가 전사하면서 마음을 바꾸었다. 무관이 되어 아버지의 원수를 갚으리라는...
    시대 :
    조선
    출생 :
    1576년(선조 9) 07월 27일
    사망 :
    1627년(인조 5)
    본관 :
    의령(宜寧)
    도서 명장열전 | 태그 역사인물 , 한국사
  • 변안열 고려에 대한 충절을 지키다
    忠可), 는 대은(大隱)이다. 1268년(원종 9)에 변안열의 할아버지 변순(邊順)이 원의 사신 탈타아(脫朶兒)를 수행해 원나라에 갔다. 변순은 원 세조를 알현하고 심양에 머물다가 심양후(瀋陽侯)의 봉작을 받으면서 그곳에 정착했다. 변안열의 아버지 변량(邊諒) 역시 심양후를 지냈다. 변안열은 1351년(공민왕 즉위...
    시대 :
    고려
    출생 :
    미상
    사망 :
    1390년(공양왕 2) 01월 16일
    본관 :
    원주(原州)
    도서 명장열전 | 태그 역사인물 , 한국사
  • 장만 과도기 조선의 병권을 잡다
    好古), 는 낙서(洛西)이다. 할아버지 장계문(張季文)이 권율의 아버지 권철과 가까이 지내 권철의 집에서 9세 때 이항복을 만났다. 장만보다 10살 많았던 이항복을 통해 신흠(申欽)과 교유하고 정충신(鄭忠信)을 만나 휘하에 거느리게 되었다. 또한 이항복의 문하에 들어온 인조반정 1등 공신 최명길을 사위로 두었다...
    시대 :
    조선
    출생 :
    1566년(명종 21)
    사망 :
    1629년(인조 7)
    본관 :
    인동(仁同)
    도서 명장열전 | 태그 역사인물 , 한국사
  • 김종서 호방한 기개로 북방 6진을 개척하다
    國卿), 는 절재(節齋)다. 체구는 5척 단신으로 작았지만 아버지의 무인 기질을 물려받아 기개가 호방하고 성격이 강직해 '대호(大虎)'라 불렸다. 흔히 김종서를 무관으로 알고 있지만, 사실 그는 문관 출신이다. 1405년(태종 5년)에 문과에 급제하고 1415년(태종 15)에 상서원직장을 지냈다. 1419년(세종 1)에 사간원...
    시대 :
    조선
    출생 :
    1390년(공양왕 2)
    사망 :
    1453년(단종 1)
    본관 :
    순천
    도서 명장열전 | 태그 역사인물 , 한국사
  • 몽심재 한옥 정원, 신선을 꿈꾸다
    인 박문수의 후손인데, 위의 글귀는 박문수가 지은 (詩)다. 몽환적인 어감과 달리 당호에는 두 왕을 섬길 수 없던 선비의 비장함이 서려 있다. 주나라 무왕이 은나라 주왕을 토벌하자 무왕의 행위가 인의(仁義)에 맞지 않는다고 하여 수양산에 몸을 숨기고, 주나라의 곡식을 거부하고 고사리만 캐 먹다 굶어 죽은...
    소재지 :
    전라북도 남원시 수지면 호곡리 796-3(내호곡 2길 19)
    이용 시간 :
    09:00~18:00
  • 비격진천뢰 飛擊震天雷
    이 책에서는 비격진천뢰에 대해, "이는 예전에 없었다. 군기의 화기장 이장손이란 가 있어 처음으로 진천뢰를 만들어 대완구(大碗口)로써 그것을 쏘았다...특징을 알 수 있다. 특징 비격진천뢰와 비슷한 성격을 지닌 화기는 중국의 금·에도 있었지만, 이들의 발화장치는 모두 비격진천뢰와 달랐다. 즉 약선(藥線...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조선
  • 유정 사명(四溟), 惟政
    惟政), 는 사명(四溟) 또는 송운(松雲), 별호는 종봉(鍾峯)이고 자는 이환(離幻)이다. 경상도 밀양 출신으로 본관은 풍천 임(任), 속명은 응규(應奎)이며, 아버지는 수성(守成)이다. 주요 활동 7세를 전후하여 『사략』을 배우고 13세 때 황여헌(黃汝獻)에게 『맹자』를 배웠다. 1558년(명종 13)에 어머니가...
    시대 :
    조선
    유형 :
    인물/전통 인물
    분야 :
    종교·철학/불교
  • 존함과 휘 尊銜과 諱
    뜻 어른이나 직급이 높은 사람의 이름을 가리키는 말이었으나 요즘에는 예의를 갖춰 상대의 이름을 물을 때 ‘존함’이란 말을 쓴다. 보기글 ㆍ선생님, 존함을 여쭤도 되겠습니까? ㆍ선생님 존함이 이자 승자 만자가 맞습니까? ㆍ(돌아가신) 우리 아버님 휘는 상자 범자입니다. 〈참조어〉 명과 , , (名과 字, 號...
  • 개천 价川市
    2000여 (1996년 추정)이다. 명칭 유래 개천은 조선 초기에 생긴 지명이다. 개천의 ‘개’는 대동강과 청천강 사이에 끼어 있는 고장이라는 의미에서 끼일 ‘개...따라 강을 끼고 있는 고을이라는 의미에서 ‘천(川)’를 붙였다. 자연환경 개천는 청천강 하류 남안에 발달한 하나의 큰 분지로 이루어져 있다. 동부...
    시대 :
    현대/대한민국
    유형 :
    지명
    분야 :
    지리/인문지리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4 5 6 7 8 9 10 다음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