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만덕산
    만덕산(762m)은 완주군 소양면 화심에서 진안으로 가는 구도로의 중간쯤 우측에 우뚝 솟아 있다. 이곳은 임진왜란 당시 왜군을 맞이하여 치열한 전투를 벌였던 역사적 전적지요, 6.25전쟁 때 공비의 출몰이 심했던 곳으로 곰티재를 지키고 있는 수문장과 같은 산이다. 만덕산의 유래는 한자로 일만 만(萬), 큰 덕(德)을 ...
    위치 :
    전북특별자치도 완주군 소양면 신촌, 상관면 마치리
  • 백련사 만덕사(萬德寺), 白蓮寺
    백련사에 대한 사적은 1432년(세종 13) 윤회(尹淮)가 저술한 『팔도지리지(八道地理志)』와 정약용(丁若鏞)의 『만덕사지(萬德寺誌)』 등에 나타나 있다. 만덕산에 위치하고 있으므로 만덕사(萬德寺)라고도 하였다. 백련사는 839년(문성왕 1) 무염(無染)이 창건하였으며, 중요한 수도 도량으로 면모를 달리한 것은...
    시대 :
    조선
    유형 :
    유적/건물
    분야 :
    종교·철학/불교
  • 완주 정수사 목조 아미타여래삼존 좌상 完州 淨水寺 木造 阿彌陀如來三尊 坐像
    개설 2015년 보물로 지정되었다. 완주 만덕산(萬德山) 정수사 극락전에 봉안되어 있는 조선 후기의 목조 아미타삼존불좌상이다. 이 불상은 관음보살과 대세지보살을 협시로 한 전형적인 아미타삼존상으로, 중앙에 위치한 아미타불은 사각형의 얼굴과 사각형으로 블록화된 신체 구성을 지니고 있어 조선 후기 불상의 양식...
    시대 :
    조선 후기
    유형 :
    유물
    분야 :
    예술·체육/조각
  • 석문공원
    남도의 소금강이라 불리는 석문공원은 석문(石門)이라는 이름 그대로 긴 세월과 비바람이 조각한 기암괴석들이 병풍처럼 펼쳐져 있으며, 만덕산과 석문산의 단절된 등산로를 연결하는 사랑⁺ 구름다리가 있다. 길이는 111m, 폭 1.5m로 산악현수형 출렁다리인 사랑⁺ 구름다리는 만덕산과 석문산의 단절된 등산로를 연결...
    위치 :
    전라남도 강진군 도암면 백도로 2084
  • 복흥사 없음, 福興寺
    낡은 절골에 있는 옛 사찰 터. 원래는 정수사라 칭하였는데, 조선 말에 복흥사로 개명하였다 한다. 『조선사찰사료』에 기록된 1763년(영조 39)에 편찬한 「만덕산 복흥사 다보탑비서(朝鮮國 咸鏡道 利城縣 萬德山 福興寺 多寶塔碑序)」와 조선 중기 부휴선수의 후손인 백엄청수(柏广清秀)가 1887년(고종 24)에 지은...
    시대 :
    조선
    유형 :
    유적/건물
    분야 :
    종교·철학/불교
  • 정명국사시집 靜明國師詩集
    文獻備考)』 권250에 “『정명국사시집』 3권은 고려 승려 천인이 지었다.[靜明國師詩集三卷 高麗僧天因著]”라고 기술되어 있다. 또 『동문선』 권83에 「만덕산 백련사 정명국사시집 서(萬德山白蓮社靜明國師詩集序)」가 있고, 『해동문헌총록(海東文獻總錄)』에 ‘만덕산 백련사 정명국사시집’이 실려 있어 천인이...
    시대 :
    고려
    유형 :
    문헌/고서
    분야 :
    종교·철학/불교
  • 백련사 만덕사, 白蓮社
    요세는 천태종의 승려로 조계종의 승려 보조국사 지눌과 함께 백련사결사 운동을 전개하였다. 강진의 토호 최표와 최홍, 이인천 등은 1211년부터 1232년까지 만덕산에 80여 칸의 전각을 지었다. 여기서 보현 도량을 개설하고 실천 중심의 결사를 전개하였다. 그 이후 백련사의 결사를 전개하여 국사로 추봉이 되어...
    시대 :
    고대/삼국
    유형 :
    유적/건물
    분야 :
    종교·철학/불교
  • 강진 정약용 유적 康津 丁若鏞 遺蹟
    개설 전라남도 강진군 도암면 귤동 마을 만덕산 중턱에 위치한다. 일명 ‘다산초당’으로 알려진 이곳은 11년간 유배되어 많은 책을 저술한 곳이며, 1963년 1월 21일에 사적으로 지정되었다. 내용 정약용(丁若鏞, 1762~1836)이 신유박해(辛酉迫害) 당시 황사영 백서사건(黃嗣永帛書事件)에 연루, 유배되어 18년간의 유배...
    유형 :
    유적
    분야 :
    역사/조선시대사
  • 공덕산 미면사 백련사(白蓮社), 功德山 米麵寺
    神淸橋) 등 60여 칸을 완성하고, 조계산인(曹溪山人) 탁연(卓然)을 청하여 각 건물의 액제(額題)와 동백련사(東白蓮社)라는 사호(寺號)를 쓰게 하여 호남의 만덕산(萬德山) 백련사(白蓮社)와 구별하게 하였다. 1244년(고종 31) 최자의 품신으로 이 절의 주맹법사(主盟法師)가 된 천책(天頙)은 「유사불산기(遊四佛山記...
    시대 :
    고대/삼국
    유형 :
    유적
    분야 :
    종교·철학/불교
  • 호남정맥 湖南正脈
    고개는 웅치(熊峙) · 사자산(獅子山) · 운주산(雲住山) · 칠보산(七寶山) · 내장산(內藏山) · 백암산(白岩山) · 추월치(秋月峙) · 금성산(金城山) · 만덕산(萬德山) · 무등산(無等山) · 천운산(天雲山) · 화악산(華岳山) · 가야산(伽倻山) · 금화산(金華山) · 금전산(金錢山) · 조계산(曹溪山) · 동리산...
    유형 :
    지명/자연지명
    분야 :
    지리/자연지리
  • 삼대부절요 三大部節要
    서지사항 고려 후기 불교계의 천태종과 그 수행을 진작시켰던 원묘요세의 저술이다. 권수가 알려져 있지 않으며, 현재 전하지 않는다. 내용 최자가 찬술한 「만덕산 백련사 원묘국사 비명 병서(萬德山白蓮社圓妙國師碑銘幷序)」에 의하면 요세는 휘(諱)이고, 자는 안빈(安貧)이다. 12세에 합천의 천락사(天樂寺)의 승려...
    시대 :
    고려
    유형 :
    문헌/고서
    분야 :
    종교·철학/불교
  • 큰눈물버섯
    크기는 9-11.5×6-7.5㎛이고 레몬 형이며 사마귀 점으로 덮여 있다. 식용한다. 시기는 여름에서 가을 사이에 숲속, 길가 등에 군생한다. 분포는 한국의 변산반도국립공원, 지리산, 만덕산, 다도해해상국립공원, 만덕산, 방태산, 속리산, 남산, 모악산, 완주(송광사) 등과 일본, 중국, 시베리아, 북반구 일대에 자생한다...
    분류 :
    먹물버섯과(COPRINACEAE) > 눈물버섯속(Psathyrella(=Hypholoma))
    서식지 :
    숲속, 길가
    학명 :
    Psthyrella velutina
    국내분포 :
    가야산, 다도해해상국립공원, 두륜산, 방태산
    발생시기 :
    여름부터 가을까지
    이용 :
    식용
    군락형태 :
    군생
    도서 버섯사전 | 태그 균류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4 5 6 7 8 9 10 다음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