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마젤란 Magellanic Cloud
    지구가 속한 거대한 항성계인 우리은하의 두 위성은하.|이 동반은하들은 포르투갈의 항해자 마젤란과 최초의 세계일주 항해를 하던 선원들이 발견했으며, 마젤란의 이름을 따서 붙였다. 마젤란운들은 가스포피를 공유하고 있는 불규칙 은하이며, 천구 남극 근처의 하늘에서 약 22。 떨어져 있다. 이 가운데 큰 마젤란...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우주
  • 마젤란 은하 (관련어 마젤란운) Magellanic Clouds, マゼラン雲
    - } 두 마젤란 은하는 우리 은하 주위에 있는 불규칙 왜소 은하로, 국부은하군에 속한다. 마젤란 성운이라고 불리기도 한다. 마젤란 은하는 남쪽 지방에서는 일찍부터 알려져있었을 것이다. 대마젤란 은하에 대한 언급이 처음 나타난 것은 964년, 페르시아의 천문학자 알 수피의 책 《Al Bakr(항성의 책)》에서이다. 아...
    도서 위키백과
  • 이웃 은하
    뜻하는 ‘’이 붙는 이유는 망원경의 성능이 좋지 않았던 과거에 두 은하들을 성운으로 착각했던 것이 오늘날까지 이어지게 되었기 때문이다. 국부은하군에서 우리은하와 안드로메다 다음으로 큰 은하는 대 마젤란운과 나선형 은하 M33이다. 나머지 은하들은 이들 은하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은 은하들로, 대부분이...
    도서 손안의 우주 | 태그 우주
  • 소마젤란 은하 Small Magellanic Cloud, 小マゼラン雲
    은하는 우리 은하 주위를 도는 왜소 은하이다. 우리 은하와 함께 국부은하군에 속하며, 대마젤란 은하와 가까이 있다. 대략 1억 개의 별이 있다.웹 인용 소마젤란, NGC 292라 부르기도 한다. 남천인 큰부리새자리에 있으며, 겉보기 밝기는 +2.7 등급으로 맨 눈으로 볼 수 있다. 이 은하는 우리로부터 약 20만 광년...
    도서 위키백과
  • 섀플리 Harlow Shapley
    중심 근처에 있다고 믿었다. 따라서 처음으로 우리은하의 실제 크기를 계산한 그의 연구는 은하천문학의 이정표라 할 수 있다. 그밖에 다른 은하, 특히 마젤란 에 대해서도 연구하여, 은하들이 은하우주라고 하는 은하단으로 발생하는 경향이 있음을 발견했다. 하버드대학교의 천문학교수, 나중에는 하버드 천문대...
    출생 :
    1885. 11. 2, 미국 미주리 내슈빌
    사망 :
    1972. 10. 20, 콜로라도 볼더
    국적 :
    미국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과학자
  • 은하단의 종류
    10∼50개의 여러 종류의 은하들이 조그맣고 빽빽하게 혼합된 것으로서, 지름은 약 500만 광년이다. 이러한 은하단의 한 예로는 국부은하군이 있는데 우리은하, 마젤란 , 안드로메다 은하 및 다른 18개의 왜소은하가 여기에 속한다. 불규칙 은하단 이 은하단은 약 1,000개 이상의 여러 종류의 은하가 크고 느슨하게...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우주
  • 석탄자루 성운 Coalsack Nebula, コールサック
    한 것이 최초다. 아메리고 베스푸치는 이 성운을 ‘검은 카노푸스’(il Canopo fosco)라고 명명했으며, ‘마젤란의 반점’(Macula Magellani)이나 두 마젤란(Magellanic Clouds)과 비교해 ‘흑마젤란’(Black Magellanic Cloud)이라고 부르기도 했다. 1970년, 칼레비 마틸라가 석탄자루 성운이 아주 검지는 않다는...
    도서 위키백과
  • 은하수 Milky Way (mythology), 天の川
    갖는 대마젤란 이다. 이것은 소 마젤란 과 동지이다. 마젤란 흐름은 이 두 작은 은하를 연결하는 중성 수소 가스의 특이한 띠이다. 이 흐름은 우리 은하와의 조수의 상호작용에 의해 마젤란 으로부터 나온 것으로 생각된다. 우리은하 궤도를 도는 왜소 은하들의 일부는 큰개자리 왜소 은하, 궁수자리 왜소 타원...
    도서 위키백과
  • 대마젤란 은하 Large Magellanic Cloud, 大マゼラン雲
    DEM L 159 및 두 개의 성단, KMHK 840 를 통해 촬영한 사진. 제공: ESO 파일:Large and small magellanic cloud from new zealand.jpg|남반구의 하늘에서 보이는 대마젤란운과 소마젤란. 파일:Large Magellanic Cloud.jpg|적외선으로 본 대마젤란운 은하. 마젤란 은하 소마젤란 은하 우리은하의 위성 은하 목록 전거 통제
    도서 위키백과
  • R85 R85
    시작항성 정보 관측자료항성 정보 위치천문항성 정보 분류항성 정보 끝 R85(또는 Radcliffe Observatory Magellanic Clouds catalog(래드클리프 천문대 마젤란 목록)에서 따온 RMC 85)는 대마젤란 은하의 LH-41 OB 성협에 위치한 밝은 청색변광성 후보다. R85는 약 0.3등급의 진폭으로 밝기가 불규칙하게 변하는 것...
    도서 위키백과
  • R136a3 R136a3
    알려진 가장 무겁고 가장 밝은 별 중 하나다. 이 별의 공식적인 이름은 RMC 136a3이며 이는 Radcliffe observatory(래드클리프 천문대), Magellanic Clouds(마젤란), 136a3을 의미한다. RMC 조사는 대마젤란 은하에서 빛나는 물체를 식별했으며 가장 밝은 것 중 하나가 RMC 136이었다. 현재 이는 일반적으로 R136으로...
    도서 위키백과
  • 페트뤼스 플란시우스 Petrus Plancius, ペトルス・プランシウス
    가졌고, 이 좋게도 최근 포르투갈에서 온 해도를 접할 수 있었으며, 곧 인도로 가는 해로의 전문가로서 인정받게 되었다. 그는 1597년의 빌럼 바런츠의 세 번째 여행으로 그 가능성이 부정되기 전까지 북극해 항로로 북아메리카까지 갈 수 있다고 굳게 믿고 있었다. 1592년, 그는 ‘Nova et exacta Terrarum Tabula...
    도서 위키백과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다음페이지 없음

관련항목

멀티미디어1건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