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리투아니아 대공령 Grand Duchy of Lithuania
    리투아니아 본토와 벨라루스, 우크라이나 서부를 포함한 국가.|14~16세기 동유럽에서 가장 세력이 큰 국가였다. 튜튼·리보니아 기사들의 원정에 위협을 받던 리투아니아의 여러 부족들은 민다우가스(1263 죽음)의 지도로 힘을 합쳤고 게디미나스치세 때(1316~41)에는 강력하고 단합된 대공작을 형성해 북동쪽으로는 ...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유럽
  • 리투아니아 리투아니아 공화국, Lithuania
    후손들이 대공작 신분으로 통일 리투아니아를 통치했으며 이들 가운데 게디미나스가 14~16세기에 동유럽 대부분을 차지하는 제국으로 확장시켰다(→ 리투아니아 대공령). 리투아니아를 지배하던 대공작은 1386년 폴란드도 지배하게 되어 이 두 국가는 400년 동안 아주 밀접한 관계를 맺게 되었다. 그뒤 리투아니아는...
    인구 :
    2,705,058명 (2024년 추계)
    수도 :
    빌뉴스
    면적 :
    65,286㎢ 세계면적순위
    공식명칭 :
    리투아니아 공화국 (Republic of Lithuania)
    기후 :
    대륙성기후, 해양성기후
    민족 구성 :
    리투아니아계(83%), 폴란드계(7%), 러시아계
    언어 :
    리투아니아어
    정부/의회형태 :
    중앙집권공화제 / 다당제&단원제
    국가원수/정부수반 :
    대통령 / 총리
    종교 :
    로마가톨릭(79%), 러시아정교(4%), 개신교
    화폐 :
    유로 (€) 환율계산기
    국화 :
    루 (은총의 풀)
    대륙 :
    유럽
    국가번호 :
    370
    GDP :
    USD 54,352,000,000
    인구밀도 :
    43명/㎢
    전압 :
    220~230V / 50Hz
    도메인 :
    .lt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유럽
  • 리보니아 전쟁 Livonian War
    1579) 프스코프를 포위했다. 1582년 러시아는 얌 자폴스키 평화조약에 합의했는데, 리투아니아 내 모든 점령지역을 반환하고 리보니아에 대한 권리를 포기한다는 내용이었다. 1583년에는 스웨덴과 화해, 유일한 발트해 진입로인 핀란드 만(灣) 도시들을 양보하고 에스토니아에 대한 권리를 포기했다(→ 리투아니아...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세계사
  • 루블린 합병 Union of Lublin
    문제는 서로 협력하며 합동의회를 개최하기로 합의했다. 그러나 폴란드는 그들이 이미 점령한 리투아니아 영토에 대한 소유권을 계속 갖고 있었으므로 합동의회에서 더 많은 의석을 차지하는 우세한 위치에 섰다. 폴란드-리투아니아 연합국은 18세기말 분할될 때까지 정치적으로 중요한 위치를 차지했다(리투아니아...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세계사
  • 튜튼 기사단 Teutonic Order
    매수하고 그 전인 1398년에는 프로이센과 기사단의 리보니아 지부를 갈라놓고 있던 리투아니아의 영토 사모기티아를 점령하는 등 계속 위세를 떨쳤다(리투아니아 대공령). 그러나 발트 해로 진출하려는 시도가 좌절된 폴란드와, 1387년 그리스도교로 개종한 뒤에도 계속해서 기사단으로부터 영토에 대한 위협을 받고...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세계사
  • 리보니아 Livonia
    옐가바(쿠를란트의 주도) 등의 도시를 차지한 후 계속해서 폴란드-리투아니아에게서 북라트비아 지역뿐만 아니라 에스토니아 전역을 쟁취했다(→ 리투아니아 대공령, 모스크바 대공국). 스웨덴은 1654~60년 폴란드와의 전쟁과 1654~61년 러시아와의 전쟁에서 각각 승리한 후, 이 지역들을 거의 1세기 동안 지배했다...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유럽
  • 볼리니아 Volhynia
    10~14세기에는 공국이었으나 리투아니아 대공령의 자치지구가 되어 14세기 후반 이후에는 주로 지역 출신 귀족들의 통치를 받았다. 이 지역은 많은 사람들이 쇠퇴해가던 크이우 공국을 떠나 볼리니아와 서쪽의 갈리치아로 이주해가던 12세기에 유명해졌다. 1199년 볼리니아의 로만 므스티슬라비치공(1205 죽음)이 두...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유럽
  • 카지미에슈 4세 Kazimierz IV
    귀족들은 쿠데타를 일으켜 그를 리투아니아 대공으로 선언했다. 그들은 나이 어린 그를 다루기 쉬운 존재로 기대했던 것이 분명하다(리투아니아 대공령). 쿠데타로 리투아니아와 폴란드의 유대는 사실상 끊어졌지만, 부아디수아프 3세가 투르크와 싸우다가 바르나 전투에서 전사하자(1444. 11. 10) 두 나라의 관계는...
    출생 :
    1427. 11. 30
    사망 :
    1492. 6. 7
    국적 :
    폴란드
    도서 다음백과 | 태그
  • 리투아니아 Lithuania
    조약으로 폴란드와의 긴밀한 결합이, 1569년 루블린 국회에서 폴란드와 리투아니아의 완전한 연합이 성립되었다. 1795년 폴란드의 제3차 분할로 인해 리투아니아의 대부분은 러시아령이 되었으나 소부분은 프로이센령이 되고, 1807년 대공령 바르샤바와 합병, 1814년 러시아령이 되었다. 19세기, 특히 1863년의 반란 후...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다음페이지 없음

멀티미디어1건

리투아니아 대공령(Grand Duchy of Lithuania)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