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민다우가스 Mindaugas
    리투아니아 국(國)을 세웠다고 여겨지는 리투아니아의 군주. (폴). Mendog/Mindowe. (러). Mendovg.|리투아니아 군주 가운데 최초로 그리스도교도가 되었다. 1236년 자기 형제와 조카들을 포함한 리투아니아 귀족들과 족장들을 제압하여 리투아니아 본토, 사모기티아, 벨라루스의 상당 부분을 다스렸다. 1250(또는 125...
    출생 :
    미상
    사망 :
    1263
    국적 :
    리투아니아
    도서 다음백과 | 태그
  • 민다우가스 Mindaugas, ミンダウガス
    인물 정보 민다우가스는 초대 리투아니아 대공(1236년 ~ 1251년)이었으며 리투아니아 왕국의 왕(1251년 ~ 1263년)이었다. 출생과 성장 등은 잘 알려진 바 없다. 전거 통제
    도서 위키백과
  • 민다우가스 미즈가이티스 Mindaugas Mizgaitis
    레슬링 선수 정보 민다우가스 미즈가이티스는 리투아니아의 전직 레슬링 선수이다. 2008년 하계 올림픽에서 동메달을 획득했으나 은메달리스트 하산 바로예프의 도핑 적발로 은메달로 승격되었다. 카우나스에서 태어났다. 2005년 이즈미르에서 열린 유니버시아드 대회에서 동메달을 획득했다. 2008년 베이징에서 열린...
    도서 위키백과
  • 빌헬름 카를 폰 우라흐 공작 Wilhelm Karl, Duke of Urach, ミンダウ..
    인물 정보 민다우가스 2세 또는 우라흐 후작, 뷔르템베르크 백작, 제2대 우라흐 공작 빌헬름는 독일의 장군, 귀족이자 리투아니아의 국왕이다. 우라흐(Urach) 공작을 역임한 뷔르템베르크(Württemberg) 가 출신의 빌헬름 1세(Wilhelm I)와 그의 2번째 아내인 플로레스틴 드 모나코 공녀(Florestine de Monaco...
    도서 위키백과
  • 리투아니아 대공령 Grand Duchy of Lithuania
    14~16세기 동유럽에서 가장 세력이 큰 국가였다. 튜튼·리보니아 기사들의 원정에 위협을 받던 리투아니아의 여러 부족들은 민다우가스(1263 죽음)의 지도로 힘을 합쳤고 게디미나스치세 때(1316~41)에는 강력하고 단합된 대공작을 형성해 북동쪽으로는 드비나 강 상류 너머, 남동쪽으로는 드네프르 강, 남쪽으로는 프리...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유럽
  • 리투아니아 왕국 Kingdom of Lithuania, リトアニア王国 (1251年-126..
    다른 뜻리투아니아 왕국은 1251년부터 1253년까지 존재했던 리투아니아의 왕국이다. 1251년 7월 17일 리투아니아 민다우가스 대공이 국왕 칭호를 받으면서 왕국으로 격상됐다. 1253년 7월 6일 민다우가스가 리투아니아 국왕으로 즉위했으며 아내 모르타(Morta)는 왕비로 즉위했다. 1255년 민다우가스는 교황 알렉산데르...
    도서 위키백과
  • 크레베 미츠키에비치우스 Vincas KrėvėMickievičius
    공(公) 샤루나스 Šarūnas, Dainavos kunigaikštis〉(1912)·〈스키르가일라 공 Skirgaila〉(1925)·〈운명의 궤도를 따라 Likimo Keliais〉(1926~29)·〈민다우가스 왕의 죽음 Karaliaus Mindaugo mirtis〉(1935) 등은 과거를 낭만적으로 회고한 작품이다. 또한 깊은 통찰력으로 인간 본성을 사실주의적으로 관찰하기도...
    출생 :
    1882. 10. 19, 러시아령 리투아니아 수바르토니스
    사망 :
    1954. 7. 7, 미국 펜실베이니아 브루멀
    국적 :
    리투아니아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작가
  • 2004년 하계 올림픽 육상 남자 마라톤 Athletics at the 2004 Summ..
    올림픽 국기 2:30:19 71 프란클린 테노리오 올림픽 국기 2:31:12 72 호세 팔랄리아 올림픽 국기 2:31:41 73 드리트리 부르마킨 올림픽 국기 2:31:51 74 민다우가스 푸크슈타스 올림픽 국기 2:33:02 75 오치린 세로드 올림픽 국기 2:33:24 76 저롱후아 올림픽 국기 2:34:02 77 알프레도 아레발도 올림픽 국기 2:34:02 78...
    도서 위키백과
  • 긴타우타스 팔루츠카스 Gintautas Paluckas, ギンタウタス・パルツカス
    웹 인용 2015년 유럽 난민 위기의 절정기 동안 난민 수용을 위하여 아랍어 유치원 그룹을 구성하는 것을 고려할 것을 제안한 적이 있다. 2017년 결선 투표에서 민다우가스 싱케비치우스 당시 경제부 장관을 물리치고 리투아니아 사회민주당 대표 선거에서 승리하였으며, 2019년 재선되어 연임에 성공하였다. 2019...
    도서 위키백과
  • 미하일 호로브리트 Mikhail Khorobrit, 米哈伊尔·雅罗斯拉维奇·霍罗布里特
    아들로 태어났으며 알렉산드르 넵스키 대공의 형제이다. 1246년부터 1248년까지 모스크바 대공을 역임했다. 1248년 스뱌토슬라프 3세 대공을 유리예프폴스키로 추방시키고 블라디미르 대공으로 즉위했다. 1248년 1월 15일 리투아니아의 민다우가스(Mindaugas) 국왕과의 프로트바(Protva) 전투에서 전사했다.블라디미르 대공
    도서 위키백과
  • 리투아니아 왕국 (1918년) Kingdom of Lithuania (1918), リトア..
    독일 제국으로부터 주권 국가로 승인받았다. 리투아니아 의회는 1918년 7월 11일에 열린 회의에서 독일 제국의 귀족인 우라흐(Urach)의 빌헬름(Wilhelm, 민다우가스 2세)을 리투아니아의 국왕으로 추대했다. 그렇지만 리투아니아 의회에서는 국왕의 선출 과정을 둘러싼 논란이 벌어졌고 군주제에 반대한 몇몇 의원들이...
    도서 위키백과
  • 루이 2세 (모나코) Louis II, Prince of Monaco, ルイ2世 (モナコ公)
    부인 플로레스틴의 장남인 우라흐 공작 빌헬름이 추정 상속인이 되었다. 그러나 빌헬름은 제1차 세계 대전 당시 독일 제국의 괴뢰국이었던 리투아니아 왕국에서 민다우가스 2세란 왕명으로 군림했었다. 이 때문에 적국이었던 이웃국가 프랑스는 빌헬름의 계승을 반대하였고, 루이 2세 역시 샤를로트가 계승하기를 희망...
    도서 위키백과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다음페이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