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도덕경 道德經
    중국 도가철학의 시조인 노자가 지었다고 전해지는 도가서.|서지적 사항 『노자』 또는 『노자도덕경』이라고도 한다. 약 5,000자, 81장으로 되어 있으며, 상편 37장의 내용을 「도경(道經)」, 하편 44장의 내용을 「덕경(德經)」이라고 한다. 노자가 지었다고 하나 한 사람이 쓴 것이라고는 볼 수 없고, 여러 차례에 ...
    저작자 :
    노자
    창작/발표시기 :
    기원전 4세기경
    성격 :
    도가서
    유형 :
    문헌
    분야 :
    종교·철학/도교
  • 도덕경 道德經, Tao-te Ching
    이전에는 도가의 창시자인 노자가 썼다고 알려져 <노자>라 불렸는데 한대에 이르러 〈도덕경〉이라는 이름이 널리 알려졌다. 〈도덕경〉은 국가의 화합과 평안을 위한 삶의 길을 제시한다. 무절제한 낭비를 비판하고, 추상적 도덕주의와 형식적인 예의에 바탕을 둔 사회적 행동주의를 경멸했다. 〈도덕경〉에서는 도는 ...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종교
  • 도덕경 Tao Te Ching, 老子道徳経
    도덕경》은 노자(老子)가 지은 것으로 알려진 도가의 대표적인 경전으로 《노자(老子)》로도 불린다. 노자는 이 저서에서 전체적으로 자연에 순응하는 무위(無爲)의 삶을 살아갈 것을 역설하였다. '도(道)'는 만물을 생장시키지만, 만물을 자신의 소유로는 하지 않는다. 도는 만물을 형성시키지만, 그 공(功)을 내세우...
    도서 위키백과
  • 노자 (관련어 도덕경) 노이, 老子
    도가의 창시자. 도교 사상은 흔히 노자와 장자의 사상으로 대표되어 ‘노장 사상’이라고도 불린다. 초나라 고현 사람으로 이름은 이, 자는 담이라고 알려져 있으나, 실존 자체가 불분명하다. 《도덕경》을 저술하여 도의 개념을 정의하고, ‘허정’과 ‘무위’ 사상을 설파했다.|삶과 만물의 진리를 풀어내다 도가는 ...
    출생 :
    미상
    사망 :
    미상
  • 노자가 창시하고 장자가 발전시킨 은둔의 철학, <도덕경>의 탄생 노자도덕경
    한 권의 책을 얻고자 거듭 간청하니, 노자는 그곳에 머물면서 도를 설파하고, 단숨에 5천 자에 이르는 책을 써 주었다. 사마천의 《사기》에 기록된 《도덕경(道德經)》이 편찬된 경위이다. 일명 《노자》라고도 하는 《도덕경》에는 도가 사상의 창시자인 노자의 모든 사상이 담겨 있다. 노자는 초나라 고현 출신으로...
    시대 :
    BC 560 ~ BC 530경
  • Tao Te Ching 도덕경, 老子道徳経
    The Tao Te Ching, Daodejing, Dao De Jing, or Daode jing , also simply referred to as the Laozi , is a Chinese classic text. According to tradition, it was written around 6th century BC by the sage Laozi (or Lao Tzu, , literally meaning "Old Master"), a record-keeper at the Zhou dynasty court, by ...
  • 노자주해 신주도덕경, 老子註解
    서지적 사항 2권 1책. 목판본. ‘신주도덕경’이라고도 한다. 간행 연대는 미상이다. 내용 예와 지금의 전주(箋註:본문의 뜻을 해석한 주석)를 참작하여, 삭제할 것을 삭제하고 보충할 것을 보충하면서 저자의 의견과 평을 추가하였다. 권두에 저자의 서문이 있다. 목차와 순서는 『도덕경』에 따라 상권 37장, 하권...
    시대 :
    조선
    저작자 :
    박세당
    성격 :
    주석서
    유형 :
    문헌
    권수/책수 :
    2권 1책
    분야 :
    종교·철학/도교
    소장/전승 :
    규장각 도서, 국립중앙도서관
  • 노자 이, 老子
    개요 성(姓)은 이(李), 이름은 이(耳), 자는 백양(伯陽),또는 담(聃). 노군(老君) 또는 태상노군(太上老君)으로 신성화되었다. 도교경전인 〈도덕경(道德經)〉의 저자로 알려져 있다. 현대 학자들은 〈도덕경〉이 한 사람의 손에 의해 저술되었을 가능성은 받아들이지 않으나, 도교가 불교의 발전에 큰 영향을 미쳤다는...
    출생 :
    미상
    사망 :
    미상
    국적 :
    중국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종교
  • 도가와 경전
    노자와 도덕경 도교의 모든 이론은 노자에 의해 마련되었다. 노자에 대해서는 〈장자〉에서 처음 나온다. 사마천은 〈사기〉에서 당시까지의 전설을 모아 그에 대한 체계적인 최초의 전기를 썼다. 이들에 따르면 노자의 성은 이(李), 이름은 이(耳)이고, 주(周) 조정에서 장서를 관리하는 사관을 지냈다. 공자가 그에게...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종교
  • 지지지지 知止止止
    “그칠 곳을 알고, 그칠 곳에서 그치다"라는 뜻으로 알려진 사자성어. 흔히 노자의 <도덕경> 32장 "처음 지으면 이름이 있고, 이름이 나면 그칠 줄 알아야 하며, 그침을 알면 위태롭지 않다(始制有名, 名亦旣有, 夫亦將知止. 知止所以不殆)"라는 말과 44장 "족함을 알면 욕이 되지 않고, 그침을 알면 위태롭지 않아 오래...
  • 지지지지 知止止止
    지지지지(知止止止)란 노자 『도덕경』 44장에서 유래한 말로 ‘그침을 알고 그칠 데에서 그친다’는 말이다. 원문은 ‘만족함을 알면 욕됨이 없고 멈춤을 알면 위태함이 없어 가히 오래갈 수 있다’[知足不辱 知止不殆 可以長久(지족불욕 지지불태 가이장구)]로 풀이된다. 고구려 을지문덕 장군이 수나라 장수 우중문...
    도서 에듀윌 시사상식 | 태그 서적
  • 道, Tao
    영역을 초월한 형이상학적 의미를 지닌 근본적인 개념으로 설명한다. 작가와 저작연대(BC 8~3세기 사이의 어느 시기)에 대해 논란이 많은 도가의 고전 〈도덕경〉은 이렇게 시작된다. "말로 표현할 수 있는 도는 본래의 도가 아니다". 따라서 본래의 도는 분명한 언어로 정의할 수 없지만, 언어를 통해 암시된 직관 또는...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동양철학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4 5 6 7 8 9 10 다음페이지 없음

멀티미디어7건

도덕경
도덕경
도덕경
도덕경
도덕경(Tao-te Ching)
《도덕경》
도교 스승들이 황제에게 《도덕경》을 바치는 모습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