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대목왕후

다른 표기 언어 大穆王后 동의어 안정선명의정신경공평정예대목왕후, 安靜宣明懿正信敬恭平靜睿大穆王后
요약 테이블
출생 미상
사망 미상
국적 고려, 한국
종교 불교
본관 황주(黃州, 지금의 황해도 황주군)
시호 안정선명의정신경공평정예대목왕후

요약 고려 제4대 왕 광종의 비이며, 제5대 왕인 경종의 어머니. 광종이 호족세력의 경제적 기반을 박탈하고자 노비안검법을 실시하자 외가였던 황주황보씨를 지키기 위해 호족세력의 이해를 대변해 그 실시를 중지하도록 건의했으나 뜻을 이루지 못했다. 슬하에 경종, 효화태자, 천추전부인, 보화궁부인, 문덕왕후 등을 뒀다.

태조 왕건의 셋째 딸이며, 어머니는 신정왕태후 황보씨(皇甫氏)이다.

956년(광종 7) 광종이 호족세력의 경제적 기반을 박탈하고자 노비안검법을 실시하자 노비들이 그 주인을 멸시, 배반하려는 풍조가 성행한다 하여 이 법의 실시를 중지하도록 건의했으나 뜻을 이루지 못했다.

대목왕후가 노비안검법의 실시를 반대한 것은 고려 초기 호족연합정권의 성격과 관련이 있다. 호족세력이 왕권을 위협했기 때문에 고려왕실은 태조대 이래로 지속적인 왕권강화책을 펴나갈 수밖에 없었으며, 광종대에 이르러 이러한 노력을 본격화했다.

당시 유력한 호족세력으로는 왕실과의 혼인 관계를 통해 세력을 강화하던 황주황보씨(黃州皇甫氏)·충주유씨·정주유씨 세력 등이 있었다. 황보씨를 외가로 하고 있는 대목왕후가 노비안검법의 실시를 반대한 것은 바로 호족세력의 이해를 대변한 것이라 할 수 있다. 슬하에 경종·효화태자·천추전부인·보화궁부인·문덕왕후 등을 두었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다른 백과사전


[Daum백과] 대목왕후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