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농암문집 聾巖文集조선전기 문신·학자 이현보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665년에 간행한 시문집. 편찬/발간 경위 본집은 1665년(현종 6), 속집은 1912년에 후손들이 편집·간행하였다. 권두에 조경(趙絅)의 서문이 있다. 서지적 사항 본집 6권 2책, 속집 4권 2책, 합 10권 4책. 목판본. 규장각 도서·장서각 도서·고려대학교 도서관 등에...
- 시대 :
- 조선
- 저작자 :
- 이현보(李賢輔)
- 창작/발표시기 :
- 1665년(본집), 1912년(속집)
- 성격 :
- 시문집
- 유형 :
- 문헌
- 권수/책수 :
- 10권 4책
- 간행/발행 :
- 후손
- 분야 :
- 종교·철학/유교
- 소장/전승 :
- 규장각 도서, 장서각 도서, 고려대학교 도서관
-
농암집 농암전집(農巖全集), 農巖集著述)에서 저자 관련 기사를 뽑아 모아 놓은 것이다. 1980년 경문사에서 『농암전집(農巖全集)』으로 영인(影印) · 간행하였다. 의의 및 평가 김창협의 문집인 『농암집』은 저자가 세상을 떠난 직후에 바로 간행되고 또 이후로 두세 차례 증보하여 간행될 만큼 당대는 물론이고 후대에 많은 영향을 끼친 인물이었다...
- 시대 :
- 조선 후기
- 유형 :
- 문헌/고서
- 분야 :
- 문학/한문학
-
농암잡지 農岩雜識개설 4권. 목활자본. 저자의 문집인 『농암집(農巖集)』 제31권에서 제34권까지에 수록되어 있다. 그의 아우 창흡(昌翕)이 1710년(숙종 36)에 여러 문인들과 함께 편집하여 목활자로 간행하였다. 그 뒤에 다시 판각하여 경상북도 안동 봉정사(鳳停寺)에 장판(藏板)하였다. 내용 및 평가 서(序)와 발은 없고 내편 3...
- 시대 :
- 조선
- 저작자 :
- 김창협
- 창작/발표시기 :
- 1710년(숙종 36)
- 성격 :
- 평론서
- 유형 :
- 문헌
- 권수/책수 :
- 4권
- 간행/발행 :
- 김창흡
- 분야 :
- 문학/한문학
- 소장/전승 :
- 봉정사
-
농암선생사단칠정변 農巖先生四端七精辨초고를 감춰두는 우여곡절을 겪게 되었다. 권상하 등이 김창협의 학설은 이이의 종지에 어긋난다는 이유를 들어 강력히 삭제할 것을 요청하였기 때문에 문집편찬 과정에서 누락되었던 것이다. 서지적 사항 간행자와 간행연도가 미상인 필사본이다. 「사단칠정변」과 「농암선생어록」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전자는...
- 시대 :
- 조선
- 성격 :
- 유학서
- 유형 :
- 문헌
- 분야 :
- 종교·철학/유교
-
침산문집 침산집(砧山集), 砧山文集중앙도서관에서 누구나 열람이 가능하도록 온라인으로 이미지 서비스를 하고 있다. 의의 및 평가 저자는 학문 탐구와 집안 선조의 선양에 한평생을 바친 인물로, 문집에 수록된 작품도 집안 선조의 행적과 관련된 것이 많다. 저자의 9대조인 농암(聾巖) 이현보(李賢輔)와 관련된 기록을 비롯하여 여타 집안 선조의 행적...
- 시대 :
- 조선
- 유형 :
- 문헌/고서
- 분야 :
- 종교·철학/유교
-
침산문집 枕山文集국립대학교 도서관 등에 소장되어 있다. 경인문화사에서 1999년에 『한국역대문집총서』 2706번으로 영인하였다.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에서 온라인으로...열람이 가능하도록 원문 서비스를 하고 있다. 의의 및 평가 저자의 가문은 농암 이현보(李賢輔)를 비롯하여 대대로 영남에서 학문 연마에 힘쓴 사림 집안...
- 시대 :
- 조선
- 유형 :
- 문헌/고서
- 분야 :
- 종교·철학/유교
-
정애문집 鼎厓文集感懷) 차운(次韻)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시어가 다양하며 또 우아한 것이 특징이다. 그 가운데 「울산십경운(蔚山十景韻)」은 칠언절구로 팔공청설(八空晴雪)·농암농가(籠巖農歌)·용동심춘(龍洞尋春)·송현모연(松峴暮烟)·태항낙조(太恒落照)·곡담수조(曲潭垂釣) 등 울산의 경치를 묘사한 것이다. 저자의 시재(詩才...
- 시대 :
- 조선
- 저작자 :
- 홍승
- 성격 :
- 시문집
- 유형 :
- 문헌
- 권수/책수 :
- 5권 2책
- 간행/발행 :
- 홍순혁, 홍순도, 홍순덕
- 분야 :
- 종교·철학/유교
- 소장/전승 :
- 국립중앙도서관
-
농암가 聾巖歌구성 및 형식 1665년(현종 6)에 간행된 그의 문집 『농암문집(聾巖文集)』 권3에 수록되어 있다. 이현보는 영남사림(嶺南士林)으로 중앙 정계에 진출한 첫 세대였다. 그는 관직에 있으면서도 늘 강호(江湖)로 돌아가고자 마음먹었다. 그래서 만년에 벼슬을 그만두고 그의 향리인 예안(禮安)에 돌아가, 집 주위에 명농당...
- 시대 :
- 조선
- 저작자 :
- 이현보
- 창작/발표시기 :
- 조선 중기
- 성격 :
- 시조
- 유형 :
- 작품
- 분야 :
- 문학/고전시가
-
-
효빈가 效嚬歌구성 및 형식 작자의 문집인 『농암문집(聾巖文集)』에 수록되어 있다. 작자가 오랫동안의 관직에서 은퇴하여 그의 향리인 예안(禮安)에 돌아가 집 옆에 명농당(明農堂)을 짓고 벽상에는 도연명(陶淵明)의 ‘귀거래도’를 걸고 강호로 돌아가기를 도모하며 ‘귀전록(歸田錄)’ 3수를 지었는데 그 중 1수가 「효빈가...
- 시대 :
- 조선
- 저작자 :
- 이현보
- 창작/발표시기 :
- 조선 중기
- 성격 :
- 시조
- 유형 :
- 작품
- 분야 :
- 문학/고전시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