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
농기구 農器具농사를 짓는 데 사용하는 연장. 선사시대의 농기구 우리 나라에서 농경이 시작된 시대를 지금까지는 중동이나 유럽지역보다 조금 늦은 신석기시대 후기로 보아왔으나, 최근 신석기 전기 유적지에서 농사에 썼을 것으로 여겨지는 여러 가지 유물이 나와 신석기 중기 이전에 이미 농경이 시작되었으리라는 추측을 불러일...
- 유형 :
- 개념
- 분야 :
- 경제·산업/산업
-
쟁기가라.”로 새겼고, 윤선도(尹善道)의 시조에도 “잠기연장 다스려라.”라는 구절이 있다. 잠기는 본디 무기를 가리키는 ‘잠개’의 바뀐 말로, 예전에는 농기구를 무기로도 썼기 때문에 두 가지를 같은 말로 적었던 것이다. 잠기는 19세기 초 장기로 바뀌었으며, 오늘날의 쟁기가 된 것은 20세기에 들어와서이다. 쟁기의...
- 성격 :
- 생활용품, 농기구
- 유형 :
- 물품
- 용도 :
- 논밭갈이
- 분야 :
- 경제·산업/산업
-
-
-
보습 이선(犁先)개설 이선(犁先)이라고도 한다. 땅을 갈아서 흙덩이를 일으키는 일을 하는데 사용한다. 연원 재질은 대부분이 철제이지만 선사시대에는 돌로 만든 것이 있었다. 그리고 서기전 3000년경 메소포타미아에서는 청동제의 원통형 보습이 출토된 경우도 있다. 아프가니스탄의 재래 쟁기 중 긴술쟁기[長底犁]에는 나무로 만든...
- 유형 :
- 유물
- 분야 :
- 역사/선사문화
-
물레방아내용 물레방아에는 물이 떨어지는 힘을 이용하는 것과 흘러가는 힘을 이용하는 것의 두 가지가 있다. 앞의 것을 충청북도 음성에서는 ‘동채방아’, 뒤의 것을 ‘밀채물레방아’라고 하며, 같은 것을 경상북도 청도에서는 ‘밀방아’로 부른다. 동채방아의 바퀴는 방앗간 밖에 설치하나 밀채물레방아의 바퀴는 집안에...
- 문화재 지정 :
- 강원도 시도민속문화재 제6-1호
- 성격 :
- 생활용품, 농기구
- 유형 :
- 물품
- 분야 :
- 경제·산업/산업
-
따비그림이 있어 우리나라에서 따비 사용이 매우 오래되었음을 알려 준다. 따라서 따비는 이 땅에 농업이 시작된 당시부터 거의 전국적으로 사용되다가 농경술과 농기구의 발전에 따라 내륙지방에서는 20세기에 들어와 자취를 감추게 되나, 일부 해안이나 도서지역에서는 1960년대까지도 사용되었다. 우리나라에서 쓰였던...
- 유형 :
- 물품
- 분야 :
- 경제·산업/산업
-
홀태 벼를 훑어내는 농기구옛사람은 벼를 일일이 낫으로 베어 알갱이를 홀태로 훑었다 지금이야 벼를 거둘 때 트랙터가 다 해내지만 예전엔 사람이 일일이 낫으로 베어 '홀태'라는 기구로 훑어서 벼 알갱이를 털었습니다. 홀태는 길고 두툼한 나무 앞뒤 쪽에 다리 네 개를 달아 팔자(八字)모양으로 떠받치게 하고 빗살처럼 날이 촘촘한 쇠로 된 틀...
-
가래 가내(可乃)내용 『훈민정음해례』에는 ‘래[鍬]’로, 『천일록(千一錄)』에서는 ‘가내(可乃)’로, 『해동농서(海東農書)』에는 ‘험(杴)’으로 표기되었다. 끝에 쇠날이 달려 있어 ‘가래’, 넓적하다 하여 ‘넙가래’라고도 하였다. 생나무를 자루와 몸이 하나가 되도록 깎고 둥글넓적한 몸 끝에 말굽쇠 모양의 쇠날을...
- 성격 :
- 농기구
- 유형 :
- 물품
- 분야 :
- 경제·산업/산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