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농기구

다른 표기 언어 農機具

요약 농업이 시작된 이래로 끊임없이 변천했다. 소농경영에 알맞게 인력과 축력을 고루 결합한 형태로 발달해왔으며, 철기의 생산은 농기구를 비약적으로 발전시켰다. 20세기에 들어서 이런 연장들은 기계로 대체되었으며 농업생산량은 증가해왔다. 농기구는 〈농사직설〉 등의 농업서에 나타나는데 그 쓰임새에 따라 구분하면 밭 등을 가는 연장으로 쟁기·극젱이·따비·가래·쇠스랑, 씨뿌리는 연장인 다래끼·씨앗망태·잿박·부개지 등, 김을 매는 연장인 호미, 물을 대는 연장인 두레, 수확을 위한 낫·전지, 도리깨·벼훑이, 건조를 위한 연장인 멍석·도래방석·발·거적·얼루기 등이 있다. 물레방아·연자매·디딜방아·외다리방아·맷돌 등은 곡식을 빻는데 쓰이는 연장이다. 운방을 위한 연장으로는 길마·발채·지게·광주리·또아리 등이 있다.

농기구는 우리나라에서 농업이 시작된 이래로 끊임없이 변천했다.

호미

ⓒ 2015, All Rights Reserved. | 저작권자의 허가 없이 사용할 수 없습니다.

농기구

삼태기

ⓒ 연합뉴스 | 저작권자의 허가 없이 사용할 수 없습니다.

소농경영에 알맞게 인력과 축력(畜力)을 고루 결합한 형태로 발달해왔으며, 철기의 생산은 농기구를 비약적으로 발전시켰다. 농기구는 우리나라 최초의 농서인 〈농사직설 農事直說〉을 비롯하여 농업서에 나타난다. 그 쓰임새에 따라 다음과 같이 나눌 수 있다.

① 가는 연장:쟁기·극젱이·따비·가래·쇠스랑,

② 삶는 연장:써레·빈지·나래·곰방메·고무래·발고무래·끙게,

③ 씨뿌리는 연장:종다래끼·다래끼·씨앗망태·잿박·부개지·씨앗통·자치통·개지,

④ 거름주는 연장:오줌장군·거름통·똥바가지·귀때동이·소매구뎅이·삼태기·개똥삼태기·소매구시·새갓통,

⑤ 매는 연장:호미,

⑥ 물대는 연장:두레·맞두레·용두레·무자위·두레박,

⑦ 거두는 연장:낫·전지, ⑧ 터는 연장:개상·그네·도리깨·벼훑이(홀태),

⑨ 말리는 연장:멍석·도래방석·발·거적·얼루기,

⑩ 고르는 연장:풍구·바람개비·키·부뚜·채·쳇다리,

⑪ 알곡 및 가루내는 연장:물레방아·물방아·연자매·디딜방아·외다리방아·매통·절구·돌확·맷돌·매판·맷방석·맷돌다리,

⑫ 운반연장:길마·발채·옹구·장군·거지게·지게·쟁기지게·바소쿠리·거름지게·우차·망태기·바구니·광주리·또아리,

⑬ 갈무리연장:섬·가마니·중태·독·두트레방석·채독·통가리·밤우리·나락두지·멱서리·멱둥구미·소쿠리·뒤웅박,

⑭ 축산연장:구유·소죽바가지·작두·손작두·어리·둥우리,

⑮ 농산제조연장:베틀·물레·씨아·돌물레·기름틀·자리틀·섬틀·가마니틀·신틀,

기타 연장:갈퀴·넉가래·도롱이·삿갓·메·되·비·바가지·살포·함지·태·팡개·물풀매. 이외에도 지역과 형태에 따라 다양한 이름의 농기구들이 있다.

농기구는 각 세시별로 농업노동상의 필요에 따라 쓰임새가 다르며, 각각의 부속명칭도 다르다.

농기구를 분류하는 방식은 주로 논농사·밭농사 지대 및 절충지대 등을 기초로 잡는 방식과 유형분류 방식이 있다. 농기구의 일정한 유형이 쟁기·호미·낫의 지역분포와 합치되므로 하나의 유형을 만들 수 있다.

제1유형으로는 호리·곧직이(호미)·반달낫, 제2유형으로는 낫, 제3유형으로는 가대기(쌍멍에가대기·외가대기)·양귀호미·낫·드베를 들 수 있다. 제1유형은 한강 이남지역, 제2유형은 한강 이북의 중부지방과 낭림산맥, 북대봉산맥을 경계선으로 한 서북부지방, 제3유형은 낭림산맥 동북부 전지역에, 그리고 중간형은 황해도 서부와 중부 이남, 강원도 북부와 중부 이북에 분포한다.

농기구는 보통 농민 스스로 만들어 쓰며 나무·대나무·쇠·싸리 등이 주재료이다. 음력 2월경이면 농촌에서는 누구나 농기구를 미리 준비·보수해두었다. 농촌의 소농집약 경영방식은 여전히 재래 농기구에 상당부분 의존할 수밖에 없기에 옛 농기구들이 그대로 사용된다. 그러나 기계화 영농의 대두로 농업에서 기계를 운용하는 양식이 다양해졌다.

농작물 생산에는 이전의 농작물에서 생겨난 찌꺼기 처리, 토양의 1, 2차 경작, 비료 살포, 파종·재배·이식, 개간, 해충방제, 수확, 운송, 저장, 판매전 제조, 배수, 관개와 침식방지, 저수 등이 포함되어 있다.

얼마 전까지 쇠스랑과 삽으로 가축을 길렀으나 지금은 우유와 달걀 생산을 포함한 여러 특수한 기능을 필요로 하는 경우 외에 물과 먹이를 주고 잠자리를 마련하며, 거름을 치울 때도 복잡하고 매우 정교한 여러 가지 기계들을 사용한다. 19세기 초반에는 동물이 농사를 짓는 주요한 동력원이었으나 후반에 접어들어서 증기력이 사용되었다.

제1차 세계대전중에 가솔린(석유)으로 움직이는 트랙터가 일반화되었으며, 그뒤 디젤 기관이 널리 퍼졌다. 20세기에 들어서 선진국의 농업인구는 꾸준히 감소하고 있는 반면, 농업생산량은 기계의 사용으로 증가해왔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물품

물품과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멀티미디어 더보기 18건의 연관 멀티미디어 쇠스랑
다른 백과사전


[Daum백과] 농기구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