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노동권 근로권, 勞動權
    노동할 의사와 능력을 가진 사람이 사회 또는 국가에 노동의 기회를 요구하고 그 기회를 얻을 때까지 생존의 보호를 요구할 수 있는 공법상의 권리. right to labour라고도 함.|자본주의체제는 구조적 결함으로 인해 실업을 발생시키기 때문에 그 피해를 개인의 책임만으로 돌리기는 어렵다. 따라서 노동자들은 실업문...
    도서 다음백과 | 태그
  • 노동권 勞動權, right of labor
    노동권이란 노동자가 가지는 노동할 권리다. 일하고, 일하기 위해 배울 권리다. 노동은 인간의 경제적 욕구충족을 위한 행위임과 동시에 자아완성의 행위이며, 하느님으로부터 인간에게 이양된 과업, 즉 세계창조에의 참여 행위다. 그러므로 인간은 누구나 일할 권리를 가지며, 노동을 하기 위해 필요한 교육을 받을 권...
  • 노동권 Labor rights, 労働基本権
    노동 노동권(勞動權, 거의 대부분의 국가들이 헌법에서 보장한 기본권 중 하나이다. 보통 실업해소, 고용증진, 직업훈련 등등에 관한 것을 정부가 해결해야 한다는 것을 전제로, 위와 관련된 법률에 관해서 인민이 정부에게 청구, 요구 할 권리를 의미한다. 대한민국 헌법 제32조 1항에는 노동권을 보장하는 내용이 명시...
    도서 위키백과
  • Right to work 노동권, 勤労権
    The right to work is the concept that people have a human right to work, or engage in productive employment, and may not be prevented from doing so. The right to work is enshrined in the Universal Declaration of Human Rights and recognized in international human rights law through its inclusion i...
  • 노동기본권 勞動基本權
    근로자의 인간다운 생활을 보장하기 위해 헌법에서 정한 노동권(32조1항)과, 단결권 ・ 단체교섭권 ・ 단체행동권(33조1항)을 통틀어 일컫는 말이다. 노동권이란 근로능력과 의욕을 지닌 사람이 사회적으로 근로할 기회의 보장을 요구할 수 있는 권리를 의미한다. 단결권이란 근로자가 근로조건을 유지 ・ 개선하기 위해...
  • 노동기본권
    근로자의 인간다운 생활을 보장하기 위해 헌법에서 정한 노동권(32조1항)과, 단결권 ・ 단체교섭권 ・ 단체행동권(33조1항)을 통틀어 일컫는 말이다. 노동권이란 근로능력과 의욕을 지닌 사람이 사회적으로 근로할 기회의 보장을 요구할 수 있는 권리를 의미한다. 단결권이란 근로자가 근로조건을 유지, 개선하기 위해...
  • 외국인노동자 外國人勞動者, migrant worker
    그러나 외국인노동자의 재고용과 국내 체류 연장 결정권은 사용자에게 거의 배타적으로 부여되어, 외국인노동자의 직업 선택과 거주의 자유 등 인권과 노동권이 침해될 여지를 남겼다. 외국인노동자에 포함되는 국내 체류 동포 중에는 중국 동포(조선족)가 대다수를 차지한다. 중국 동포는 88서울올림픽을 앞두고 방영된...
    시대 :
    현대
    유형 :
    개념용어
    분야 :
    사회/사회구조
  • 세계인권선언 世界人權宣言, Universal Declaration of Human Rig..
    재판소에서 공정하고 공개적인 재판을 받을 권리, 사상과 양심 및 종교의 자유, 평화적인 집회·결사의 자유 등이 포함된다. 이 선언에서 채택된 새로운 권리 항목에는 사회보장권, 즉 노동권, 교육권, 공동체의 문화생활에 참여할 권리, 예술을 향유할 권리, 그리고 과학의 발전과 그 혜택을 함께 누릴 권리 등이 있다...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세계사
  • 자유무역협정 FTA, 自由貿易協定
    장벽(TBT, Technical Barriers to Trade), 위생 및 식물검역(SPS, Sanitary and Phytosanitary Measures), 지식재산권, 정부조달, 전자상거래, 경쟁정책, 노동권, 환경보호, 경제협력, 분쟁해결 등의 내용으로도 협정범위가 점차 확대되었다. 다자간 무역협상 등을 통하여 전반적인 관세수준이 낮아지면서 다른 분야로...
  • 공포 정치 恐怖政治, reign of terror
    시민과 수동적 시민으로 인간을 구별한 것을 타파하는 평등한 민주주의 헌법이었고, 사회의 구성이 공공의 행복을 보장하기 위한 것이라고 주장하며 생존권, 노동권, 사회복지 등을 담았다. 이 헌법으로 즐거워할 사람들은 물론 상 퀼로트이었다. 나아가 로베스피에르는 물가안정을 위하여 최고 가격제를 실시하였고...
    도서 이야기세계사2 | 태그 세계사
  • 기본적 인권의 발전과정
    인식은 법제상으로 표현되기에 이르렀다. 바이마르 헌법은 처음으로 국민의 생활권을 기본적 인권으로 선언했으며 경제활동의 자유를 제한적으로 규정하고 노동자의 단결권이나 노동권·생존권 등을 새로운 기본권으로 받아들였다. 이른바 수정자본주의적인 복지국가의 이념은 오늘날 대부분의 헌법에 그대로 반영되어...
    도서 다음백과 | 태그
  • 국제인권규약 國際人權規約, International Covenant on Civil an..
    권고하고 있다. A규약은 주로 국가가 법률상으로 보장해야 할 의무를 규정하고 있고, B규약은 주로 개인이 가질 수 있는 권리를 규정하고 있다. A규약은 노동권, 안전하고 건강한 노동환경에 관한 권리, 사회보장권, 기초생활 향상권, 교육권, 문화생활을 누릴 권리 등을 포함하고 있다. B규약은 생명권, 인도적으로...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국제사회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4 5 6 다음페이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