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내무부 內務部지방행정·지방재정·지방세, 지방자치단체의 감독, 치안·소방 및 민방위 등에 관한 사무를 관장하던 중앙행정기관. 내용 장관은 국무위원이며, 직속기관으로 지방행정연수원·해양경찰대(지금은 해양경찰청)·경찰대학·경찰종합학교·국립과학수사연구소·경찰병원 및 소방학교 등이 있었다. 내무부는 대한민국 정...
- 시대 :
- 현대
- 성격 :
- 중앙행정기관
- 유형 :
- 제도
- 시행일 :
- 1948년 11월 4일
- 폐지일 :
- 1998년 2월 28일
- 분야 :
- 정치·법제/법제·행정
-
내무부 內務部대한민국임시정부의 내무 행정을 관장하던 중앙행정기관. 내용 내무부의 조직은 1919년 11월 공포된 <대한민국임시관제>에 의해 비서국·지방국·경무국·농상공국 등 4개국으로 구성되었다. 지방국은 헌정 주비(憲政籌備)·국회의원선거 및 지방 자치에 관한 사항, 국적 및 인구 조사에 관한 사항, 징병과 징발에 ...
- 시대 :
- 근대
- 성격 :
- 중앙행정기관
- 유형 :
- 제도
- 시행일 :
- 1919년 11월
- 분야 :
- 역사/근대사
-
내무부 內務府1885년(고종 22) 궁내사무(宮內事務) 등을 관장하던 관청. 내용 1881년 1월에 설치된 통리기무아문(統理機務衙門)을 1882년 통리아문과 통리내무아문으로 분리시켰고, 다시 1883년 통리아문을 통리교섭통상사무아문(統理交涉通商事務衙門)으로, 통리내무아문을 통리군국사무아문(統理軍國事務衙門)으로 개편하였다. 18...
- 시대 :
- 근대
- 성격 :
- 관청
- 유형 :
- 제도
- 시행일 :
- 1885년 5월
- 폐지일 :
- 1894년 7월
- 분야 :
- 역사/근대사
-
내무부공작사지인 內務府工作司之印물품에 불로 달구어 찍는 낙인(烙印) 있다. 각 관청의 인장은 정3품 이상의 당상관이 있는 기관은 당상관이, 그 이하의 관청은 그 기관의 장이 사용하였다. 내무부 소속 공작사의 발급문서에 사용되던 관인의 나무 본이다. 공작사는 내무부의 토목, 건축, 제조 등에 관한 일을 맡아보던 기관으로 《조선왕조실록》에는...
- 분류 :
- 유물 > 조각
- 크기 :
- 세로: 8.2cm, 가로: 8.0cm, 높이: 2.0cm
- 재질 :
- 나무
-
유제 '내무부인' 인장 鍮製 內務府印 印章유물설명 정방형의 인신(印身)과 곧게 직립한 인뉴(印紐)가 결합된 형태의 유제(鍮製) 인장(印章)으로 인면에 '내무부인(內務府印)'이 양각되어 있다. 내무부(內務部, 1885-1894)는 국내외 정세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1880년 설치된 통리기무아문(統理機務衙門)의 군국, 궁내 사무 기능을 승계한 기관이다. 의정부 및...
- 분류 :
- 유물 > 조각
- 크기 :
- 세로: 9.4cm, 가로: 9.6cm, 높이: 10.7cm
- 재질 :
- 금속
-
주영복 周永福대학원을 수료하였다. 활동사항 공군참모차장(1971∼1974), 제13대 공군참모총장(1974. 7∼1979. 4), 제22대 국방부장관(1979.12.14∼1982.5.21) 및 제42대 내무부장관(1983.7∼1985.2)을 역임하였으며, 그 외 공군감찰감, 공군 11전투비행단장, 공군사관학교 교장, 공군 10전투비행단장, 공군군수사령관, 작전사령관 등...
- 시대 :
- 현대
- 출생 :
- 1927년 9월 30일
- 사망 :
- 2005년 3월 14일
- 경력 :
- 공군참모총장, 국방부장관, 내무부장관
- 유형 :
- 인물
- 관련 사건 :
- 12·12사건, 5·18광주민주화운동
- 직업 :
- 관료
- 성별 :
- 남
- 분야 :
- 정치·법제/국방
- 본관 :
- 상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