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내무부 內務部
    지방행정·지방재정·지방세, 지방자치단체의 감독, 치안·소방 및 민방위 등에 관한 사무를 관장하던 중앙행정기관.|내용 장관은 국무위원이며, 직속기관으로 지방행정연수원·해양경찰대(지금은 해양경찰청)·경찰대학·경찰종합학교·국립과학수사연구소·경찰병원 및 소방학교 등이 있었다. 내무부는 대한민국 정...
    시대 :
    현대
    성격 :
    중앙행정기관
    유형 :
    제도
    시행일 :
    1948년 11월 4일
    폐지일 :
    1998년 2월 28일
    분야 :
    정치·법제/법제·행정
  • 내무부 內務部
    대한민국임시정부의 내무 행정을 관장하던 중앙행정기관.|내용 내무부의 조직은 1919년 11월 공포된 <대한민국임시관제>에 의해 비서국·지방국·경무국·농상공국 등 4개국으로 구성되었다. 지방국은 헌정 주비(憲政籌備)·국회의원선거 및 지방 자치에 관한 사항, 국적 및 인구 조사에 관한 사항, 징병과 징발에 ...
    시대 :
    근대
    성격 :
    중앙행정기관
    유형 :
    제도
    시행일 :
    1919년 11월
    분야 :
    역사/근대사
  • 내무부 內務府
    1885년(고종 22) 궁내사무(宮內事務) 등을 관장하던 관청.|내용 1881년 1월에 설치된 통리기무아문(統理機務衙門)을 1882년 통리아문과 통리내무아문으로 분리시켰고, 다시 1883년 통리아문을 통리교섭통상사무아문(統理交涉通商事務衙門)으로, 통리내무아문을 통리군국사무아문(統理軍國事務衙門)으로 개편하였다. 18...
    시대 :
    근대
    성격 :
    관청
    유형 :
    제도
    시행일 :
    1885년 5월
    폐지일 :
    1894년 7월
    분야 :
    역사/근대사
  • 내무부 內務部, Neiwufu
    중국 청대에 황제와 관련된 일을 전담했던 특별기구. (병). Neiwufu. (웨). Neiwufu. (영). Office of the Imperial Household.|황궁 안의 예식, 창고 및 저장과 재무·공사·목축·경호·형벌 등은 모두 내무부가 관리했고 외정 행정기구와 섞여 있지 않았다. 내무부총관대신이라고 불리던 내무부의 장관은 왕이나 제...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세계사
  • 내무부 內務部
    1948년 정부수립 당시 정부조직법 법률 제1호로 설치된 중앙행정기관.|지방행정, 지방재정, 지방세, 선거, 국민투표, 지방자치단체의 감독, 치안, 해안경비, 소방 및 민방위에 관한 사무를 관장했다. 1998년 2월 28일 정부조직법 개정에 따라 내무부와 총무처의 기능을 통합해 행정자치부가 신설되면서 폐지되었다. →...
    도서 다음백과 | 태그 행정
  • 내무부 (조선)
    내무부(內務府)는 조선 후기에 궁궐 안내 설치된 정1품 관청이다. 통리군국사무아문(統理軍國事務衙門, 내아문)의 후신으로, 궁궐 내부의 사무와 외교 업무에 관한 기밀 사무를 담당하였다. 1885년(고종 22년) 5월 25일에 고종의 명령으로 설치되었다. 경복궁 근정전 동쪽 행랑에 청사가 마련되었으며, 6월 24...
    도서 위키백과
  • 내무부 Ministry of home affairs, 内務省
    내무부(內務部, 일반적으로 쓰이는 행정부 부처 이름이다. 러시아/소련 러시아 제국 내무부, 1802년–1917년 러시아 공화국 내무부, 1917년 러시아 소비에트 연방 사회주의 공화국 내무인민위원부, 1934년 ~ 1946년 소련 내무부, 1946년 ~ 1991년 내무부, 1991년 ~ 현재 미국 내무부, 1849년 ~ 현재 중국 중화민국 내정...
    도서 위키백과
  • 내부 (관련어 내무부) 內部
    내무행정을 관장하기 위해 1895년 설치한 관청.|1894년 갑오개혁 당시 내무부(內務部)와 이조의 소관업무를 통합하여 내무아문(內務衙門)을 설치하고, 1895년 5월 이를 내부로 개칭했다. 내부에는 1등국인 주현국(州縣局), 2등국인 토목국·판적국, 3등국인 위생국·회계국 등 5개의 국(局)과 광제원·혜민원·경무청 ...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조선 , 행정
  • 내무부공작사지인 內務府工作司之印
    물품에 불로 달구어 찍는 낙인(烙印) 있다. 각 관청의 인장은 정3품 이상의 당상관이 있는 기관은 당상관이, 그 이하의 관청은 그 기관의 장이 사용하였다. 내무부 소속 공작사의 발급문서에 사용되던 관인의 나무 본이다. 공작사는 내무부의 토목, 건축, 제조 등에 관한 일을 맡아보던 기관으로 《조선왕조실록》에는...
    분류 :
    유물 > 조각
    크기 :
    세로: 8.2cm, 가로: 8.0cm, 높이: 2.0cm
    재질 :
    나무
  • 유제 '내무부인' 인장 鍮製 內務府印 印章
    유물설명 정방형의 인신(印身)과 곧게 직립한 인뉴(印紐)가 결합된 형태의 유제(鍮製) 인장(印章)으로 인면에 '내무부인(內務府印)'이 양각되어 있다. 내무부(內務部, 1885-1894)는 국내외 정세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1880년 설치된 통리기무아문(統理機務衙門)의 군국, 궁내 사무 기능을 승계한 기관이다. 의정부 및...
    분류 :
    유물 > 조각
    크기 :
    세로: 9.4cm, 가로: 9.6cm, 높이: 10.7cm
    재질 :
    금속
  • 주영복 周永福
    대학원을 수료하였다. 활동사항 공군참모차장(1971∼1974), 제13대 공군참모총장(1974. 7∼1979. 4), 제22대 국방부장관(1979.12.14∼1982.5.21) 및 제42대 내무부장관(1983.7∼1985.2)을 역임하였으며, 그 외 공군감찰감, 공군 11전투비행단장, 공군사관학교 교장, 공군 10전투비행단장, 공군군수사령관, 작전사령관 등...
    시대 :
    현대
    출생 :
    1927년 9월 30일
    사망 :
    2005년 3월 14일
    경력 :
    공군참모총장, 국방부장관, 내무부장관
    유형 :
    인물
    관련 사건 :
    12·12사건, 5·18광주민주화운동
    직업 :
    관료
    성별 :
    분야 :
    정치·법제/국방
    본관 :
    상주
  • 영국 내무부 Home Office, 内務省 (イギリス)
    영국 내무부는 이민, 안보, 법집행 부문을 관장하는 영국 정부의 중앙부처이다. 잉글랜드와 웨일스 지역의 경찰 부문, 잉글랜드의 화재 응급서비스 부문, 비자와 이민, 정보기관 (MI5) 활동을 책임진다. 마약이나 대테러 활동, 신분증 같은 국가안보에 직결되는 정책도 수립한다. 예전에는 교정과 보호관찰도 관장...
    도서 위키백과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4 5 6 7 8 9 10 다음페이지

멀티미디어5건

내무부 건물
유제 '내무부인' 인장
내무부공작사지인
내무부공작사지인
내무부공작사지인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