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난중일기 대한민국 국보 제76호, 亂中日記
    7책으로 된 필사본이다. 임진왜란이 일어난 1592년 5월 1일부터 전사하기 한 달 전인 1598년 10월 7일까지의 일기를 담고 있다. 1795년 〈이충무공전서〉를 편찬할 때 〈난중일기〉라는 이름이 붙여져서 지금까지 불리고 있다. 엄격한 진중생활, 국정에 대한 솔직한 느낌, 전투 후의 기록, 수군 통제전술, 부하들에 대한...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조선
  • 난중일기 亂中日記
    조선시대 명장 이순신이 임진왜란 중에 작성한 일지. 진중일기.|서지적 사항 7책 205장. 필사본. 1962년 국보로 지정되었다. 편찬/발간 경위 1592년(선조 25) 임진왜란이 일어난 다음 달인 5월 1일부터 전사하기 전 달인 1598년 10월 7일까지의 기록으로, 친필 초고가 충청남도 아산 현충사에 보관되어 있다. 본래 이 ...
    시대 :
    조선
    저작자 :
    이순신
    창작/발표시기 :
    1795년, 1935년(영인)
    성격 :
    일지, 진중일기
    유형 :
    문헌
    권수/책수 :
    7책
    분야 :
    역사/조선시대사
  • 난중일기 Nanjung ilgi, 乱中日記
    다른 뜻세계유산 난중일기(亂中日記)는 조선 중기의 무신(武臣) 이순신(李舜臣)이 임진왜란 7년(1592년 ~ 1598년) 동안 군중에서 쓴 일기이다. 1962년 12월 20일 대한민국의 국보 제76호 이충무공난중일기부서간첩임진장초(李忠武公亂中日記附書簡帖壬辰狀草)으로 지정되었다가, 2010년 8월 25일 이순신 난중일기 및 서...
    도서 위키백과
  • 홍성찬 (관련어 난중일기)
    1929년 서울 출생. 독학으로 미술을 공부하다가 1955년 월간지 〈희망〉에 역사물 일러스트레이션을 발표한 이후 각종 신문과 잡지, 동화, 위인전에 그림을 그렸다. 1992년 〈정배와 아가〉로 어린이문화진흥회 제정 제1회 어린이문화대상 미술 부문 대상을 받았으며, 1996년 〈집짓기〉로 대한출판문화협회 제정 제17회...
  • 난중일기 (1978년 영화) Diary of Korean-Japanese War
    영화 정보 "난중일기"는 한국에서 제작된 장일호 감독의 1978년 전쟁, 드라마 영화이다. 김진규 등이 주연으로 출연하였고 한갑진 등이 제작에 참여하였다. 대종상을 수상했다.웹 인용 김진규 정애란 태현실 장동휘 황해 원작자: 이재현 조명: 손영철 녹음: 김성찬 미술: 조경환 의상: 이해윤 IMDb 제목
    도서 위키백과
  • 난중일기 (1997년 영화)
    영화 정보 "난중일기"(난중일기, 충무공 이순신, Admiral's Diary)는 한국에서 제작된 변강문 감독의 1997년 애니메이션 영화이다. 배경: 김용환 원화: 강신길 채화: 강재욱 동화: 강민수
    도서 위키백과
  • 이순신 난중일기 및 서간첩 임진장초 李舜臣 亂中日記 및 書簡帖 壬辰狀草
    일어난 다음달, 즉 1592년(선조 25) 5월 1일부터 시작되어 그가 전사한 1598년 10월 7일까지의 군중일기이다. 이것이 후세 『충무공전서』에 전하여진 『난중일기』의 친필초본(親筆草本)이다. 『충무공전서』의 『난중일기』보다 내용이 더 상세하여 그의 일상생활과 동료나 친족과의 왕래, 수군통제에 관한 비책(秘策...
    시대 :
    조선
    유형 :
    문헌
    분야 :
    역사/조선시대사
  • 이순신 난중일기 및 서간첩 임진장초 李舜臣亂中日記─書簡帖壬辰狀草
    7책. 1795년(정조 19)에 간행한 〈이충무공전서〉에 수록되어 널리 알려진 〈난중일기〉의 친필 초본이다(→ 난중일기). 현재 충청남도 아산시 현충사에 소장되어 있으며 서간첩 1책, 〈임진장초(壬辰狀草)〉1책과 함께 국보로 일괄 지정되어 있다. 임진왜란이 일어난 다음날인 1592년 5월 1일부터 시작하여 이순신이...
    문화재 지정 :
    국보(1962.12.20 지정)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조선
  • 이순신 여해, 李舜臣
    그는 삶의 터전을 잃고 방황하던 백성들의 안위를 살폈던 의인이었고, 심지어 어린 왜군 포로에게까지 온정을 베풀었던 인도주의자였다. 오늘날 우리는 《난중일기》를 통해 성웅이 아닌 인간 이순신을 만날 수 있다. 일례로 그는 전장의 최고 지휘관이었던 도원수 권율의 그릇된 일처리를 비난하고, 경상 좌병사 김응서...
    시호 :
    충무공(忠武公)
    자 :
    여해(汝諧)
  • 이순신 조선 중기의 명장
    之才 補天浴日之功) 고 했으며, 명나라 황제에게 이순신의 공적을 자세히 보고하여 명나라 조정에서 도독인(都督印)을 비롯한 팔사품(八賜品)을 내렸다. 〈난중일기 亂中日記〉에 따르면 그는 찾아오는 막하 장령들과 공사를 논의하며 새벽 닭 우는 소리를 들었고, 출전하지 않는 날에는 동헌에 나가 집무했으며, 틈을...
    출생 :
    1545(인종 1) 4월 28일(음 3월 8일)
    사망 :
    1598(선조 31)
    국적 :
    조선, 한국
    본관 :
    덕수(德水, 지금의 황해도 개풍군 덕수리)
    시호 :
    충무공(忠武公)
    자 :
    여해(汝諧)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역사인물 , 조선
  • 이순신 여해(汝諧), 李舜臣
    전사한 데 대하여는 후대인들의 많은 의문을 자아내고 있지만, 그것은 어디까지나 추리에 불과한 것이며 확실한 근거는 없다. 이순신은 글에도 능하여 『난중일기(亂中日記)』 · 시조(時調) 등의 뛰어난 작품을 남겼으며, 특히 진중(陣中)에서 읊은 시조들은 우국충정이 담긴 걸작품으로 꼽히고 있다. 이순신이 전사...
    유형 :
    인물/전통 인물
    관련 사건 :
    임진왜란, 옥포대첩, 한산대첩, 명량해전, 노량해전
    분야 :
    역사/조선시대사
  • 난중일기 도난 사건
    난중일기 도난 사건은, 1967년 12월 31일에 당시 아산의 현충사에서 보관하고 있던 이순신의 《난중일기》가 도난당한 것이 확인되고, 당국의 추적 끝에 사건 발생 10일 만인 1968년 1월 10일에 부산에서 《난중일기》가 회수되기까지의 일련의 소동들을 총칭한다. 1967년 12월 31일 아침 현충사의 숙직인에 의해 아산...
    도서 위키백과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4 5 6 7 8 9 10 다음페이지

멀티미디어23건

이순신 난중일기 및 서간첩 임진장초 / 이순신 난중일기
이순신 난중일기 및 서간첩 임진장초
이순신 난중일기 및 서간첩 임진장초 / 속정유일기
이순신 난중일기 및 서간첩 임진장초 / 임진일기
이순신 난중일기 및 서간첩 임진장초 / 임진일기
이순신 난중일기 및 서간첩 임진장초 / 무술일기
이순신 난중일기 및 서간첩 임진장초 / 병신일기
이순신 난중일기 및 서간첩 임진장초 / 갑오일기
이순신 난중일기 및 서간첩 임진장초 / 계사일기
이순신 난중일기 및 서간첩 임진장초 / 정유일기
이순신 난중일기 및 서간첩 임진장초 / 난중일기
이순신 난중일기 및 서간첩 임진장초 / 난중일기 표지
《난중일기》
이충무공전서 / 난중일기
난중일기(乱中日記)
난중일기 중 일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