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나혜석 정월, 羅蕙錫
    20세기 한국 최초의 여성 서양화가로 주요 작품은 <농부>와 <자화상>과 <스페인 해수욕장>. 호는 정월이고 서울 경기에서 태어나 오빠의 권유로 미술을 시작했으며 여권신장을 옹호하는 글을 쓰고, 3.1운동에 참가했다가 투옥되는 등 진보적인 성격을 지녔다. 다양한 국가를 여행하면서 야수파 형식의 그림을 그렸고 귀...
    출생 :
    1896년 4월 28일, 경기 수원
    사망 :
    1948년 12월 10일, 서울
  • 시대를 앞서 간 최초의 여성 화가, 나혜석 정월, 羅蕙錫
    여성 계몽 운동에 앞장섰고 대담한 붓질과 생략, 과장을 통해 즉흥적인 감정이나 개성을 드러 내는 작품을 선보였다.|나혜석은 최초의 여류 서양화가로, 근대적 여성 해방 운동의 상징적 인물이자 이를 문학으로 표현한 문학가이기도 하다. 나혜석은 1896년 4월 28일 경기도 수원에서 나기정과 최씨의 사이에서 4남매 ...
    출생 :
    1896년 04월 28일
    사망 :
    1948년 12월 10일
    국적 :
    한국
    대표작 :
    〈무희〉, 〈스페인 국경〉, 〈해인사 석탑〉, 계몽소설 〈경희〉, 〈회생한 손녀에게〉 등
  • 1920년대를 대표하는 한국 문학가, 나혜석 에미는 선각자였느니라
    아아, 나혜석(羅蕙錫, 1896~1949)! 나혜석을 떠올릴 때면 언제나 탄식과 안타까움에서 솟아나는 감탄사를 생략할 수 없다. 우리 나라 최초의 뛰어난 서양 화가요, 진보적 여성 운동가요, 당대의 문필가······. 나혜석은 시립 병원에서 무연고 행려병자로 삶을 마감하고, 지금은 무덤조차 찾을 수 없다. 그의 철저...
    출생 :
    1896년
    사망 :
    1949년
  • 나혜석 정월, 羅蕙錫
    한국 최초의 여성 서양화가로 야수파의 영향을 많이 받았으며, 소설가로도 활약했다. 조선미술전람회 제1회부터 제5회까지 입선했고, 1921년 경성일보사 내청각에서 조선 여성 최초로 개인 전시회를 열었다. 작품으로는 〈스페인 국경〉, 〈스페인 해수욕장〉, 〈무희〉, 〈파리 풍경〉, 〈나부〉 등이 있다.|시대를 ...
    출생 :
    1896년
    사망 :
    1948년
  • 나혜석의 구미 만유 조선의 바깥에서 조선 여성을 바라보다
    구미 만유기(歐米漫遊期) 일 년 팔 개월 간의 나의 생활은 이러하얏다. 단발을 하고 양복을 입고 이나 차를 먹고 침대에서 자고 스켓치 스를 들고 연구소를 다니고(아카데미) 책상에서 불란서 말 단자(單字)를 외우고 로난 사랑의 도 여 보고 장차 그림 대가(大家)가 될 공상도 해보앗다. 흥나면 춤도 추어보고 시간 잇...
  • 나혜석 정월(晶月), 羅蕙錫
    일제강점기 「무희」, 「스페인해수욕장」 등의 작품을 그린 화가.|개설 본관은 나주(羅州). 호는 정월(晶月). 수원 출생. 우리나라 최초의 여성 화가이다. 서울의 진명여자고등보통학교를 졸업하고, 1913년일본으로 건너가 도쿄의 여자미술학교(女子美術學校; 죠시비) 서양화과 선과보통과에서 유학하였다. 생애 및 ...
    시대 :
    근대
    출생 :
    1896년 4월 28일
    사망 :
    1948년 12월 10일
    유형 :
    인물
    직업 :
    화가
    대표작 :
    무희, 화령전 작약, 선죽교
    성별 :
    분야 :
    예술·체육/회화
    본관 :
    나주(羅州)
  • 나혜석 Na Hye-sŏk, 羅蕙錫
    예술가 정보 나혜석(羅蕙錫, 1896년 4월 28일~1948년 12월 10일)은 일제강점기에 활동한 대한민국의 화가이자 작가, 시인, 조각가, 여성운동가, 사회운동가, 언론인이다. 수원 삼일여자고등보통학교 수료 경성 진명여자고등보통학교 졸 일본 도쿄 여자미술학교 유화과 전문학사 본관은 나주(羅州)이고 아명(兒名)은 나아...
    도서 위키백과
  • 나혜석 羅蕙錫
    부산 출신의 행정가 김우영(金宇英)과 결혼한 근대 여류 미술인.|[개설] 본관은 나주. 호는 정월(晶月). 아버지는 나기정(羅基貞)이다. [활동 사항] 나혜석(羅蕙錫)[1896~1948]은 1896년 경기도 수원시 팔달구 신풍동에서 5남매 중 넷째로 태어났다. 아버지 나기정은 대한제국에서 경기관찰부 주사를 지냈고, 시흥 군...
    분야 :
    문화·교육
    지역 :
    부산광역시
  • 나혜석의 작품세계
    나혜석의 작품은 크게 1918년 도쿄 여자미술전문학교 졸업 때부터 1927년 무렵 만주 봉천 시기까지, 유럽 체류에서 1930년대 초반까지 그리고 미술활동을 거의 중단한 이후의 3시기로 나눌 수 있다. 초기에는 사실주의적 경향의 작품을 그렸다. 1924년 판넬에 제작한 〈만주 봉천 풍경〉은 안정된 구도에 색채의 표현이...
  • 나혜석거리
    나혜석 거리는 수원 태생인 최초의 한국 여성 서양화가 정월 나혜석 여사의 업적을 기리기 위해 조성된 약 300m가량의 문화 거리로 문화예술회관, 효원공원, 야외 음악당 등을 연결하는 공간으로 이루어져 있다. 도로 내 분수대, 음악이 흐르는 화장실, 조경수가 잘 조성되어 있는 보행자 전용 도로로서 거리 공연과...
    위치 :
    경기도 수원시 팔달구 권광로188번길 25-2 (인계동)
  • 자화상 여인초상, 自畵像
    자의식이 잘 드러난 자화상이다. 화면 오른편 아래에 ‘H. R.’이라는 사인(sign)이, 왼편 아래에도 한글 세로로 ‘혜석’이라고 쓴 사인이 있다. 내용 나혜석의 ‘자화상’으로 알려진 이 그림은 화면 가득 여성의 모습을 담은 초상화이다. 짙은 색의 배경과 옷, 그리고 검은 머리색이 전체적으로 어둡고 무거운 분위기...
    시대 :
    근대/일제강점기
    유형 :
    작품
    분야 :
    예술·체육/회화
  • 홍라드 인계나혜석
    빨간 이국적 카페트가 예쁜 카페! 붉은 갈색 계열의 나무 웨인스코팅 반벽으로 프라이빗하게 공간을 구분해 놓은 점과 비슷한 붉은 갈색 계열의 가죽 질감 소파와 다양한 형태의 의자를 매치한 이 카페는 50년대 미국감성의 매장이다.
    위치 :
    경기도 수원시 팔달구 효원로291번길 49-7 (인계동) 4층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4 5 6 7 8 9 10 다음페이지

멀티미디어16건

나혜석
나혜석
무희 / 나혜석
나혜석 판화,
나혜석의 자화상
나혜석과 네 자녀
김일엽이 창간한 여성 잡지 〈신여자〉에 실린 나혜석의 판화
진보적 여성 운동가이며 최초의 여성 서양화가로도 이름을 날린 나혜석
나혜석작 자화상
나혜석의 여행 경로
파리에서의 나혜석의 모습
세계 일주 떠나기 전 나혜석 부부의 모습
프리다 칼로와 나혜석, 그리고 까미유 끌로델
나혜석 부부가 대서양을 건널 때 탄 영미 마제스틱 호
「무희(舞姬)」, 나혜석, 41×33cm, 국립현대미술관
「자화상」, 나혜석, 캔버스에 유채, 62×50cm, 1928년경 추정, 개인소장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