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1950년대를 대표하는 한국 문학가, 김규동 모더니즘의 난해성을 극복하고자 한 시인
    『나비와 광장』 ‘신시론’에 이어 모더니즘의 중흥을 모색한 ‘후반기’ 동인의 작업은 1950년대 한국 시의 한계와 가능성을 동시에 보여준다. 비판의 여지가 많지만 그들이 우리 시사(詩史)에서 일정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는 것은 마땅히 인정되어야 한다. 1950년대에 후반기 동인으로 활동한 김규동(金奎東, 1925~...
    출생 :
    1925년
    사망 :
    2011년
  • 김규동 문곡(文谷), 金奎東
    김규동은 해방 이후 『나비와 광장』, 『죽음 속의 영웅』, 『느릅나무에게』 등을 저술한 시인이다. 1948년 평양종합대학교를 중퇴하고 월남했다. 1951년 후반기 동인을 결성했다. 그는 후반기 동인으로 생명파와 청록파의 순수서정성을 비판했다. 1959년 『새로운 시론』에서 시에는 현실 반영과 비판, 역사의식이 담...
    시대 :
    근대/일제강점기 , 현대
    유형 :
    인물/근현대 인물
    분야 :
    문학/현대문학
  • 김규동 문곡, 金奎東
    시인. 1948년 <예술조선> 신춘문예에 <강>이 입선하여 등단했다. 1950년대에 <후반기>동인으로 활동했다. 시집 <나비와 광장>·<현대의 신화> 등을 펴냈으며, 초기에는 모더니즘 색채를 띄었다가 1970년대 이후 현실참여로 방향을 바꾸어 <죽음 속의 영웅>·<깨끗한 희망>을 펴냈다. 이밖에 다수의 평론집과 수필집이 있...
    출생 :
    1925. 2. 13, 함북 경성
    사망 :
    2011. 9. 28, 서울
    국적 :
    한국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작가
  • 김규동 (시인)
    시인 정보 김규동(金奎東, 1925년 2월 13일~2011년 9월 28일)은 대한민국의 시인이다. 1925년 함경북도 출신 시인으로 1948년에 스승 김기림 시인을 찾아 단신 월남하여 교사, 언론인, 출판인으로 활동하고 모더니즘 경향의 시를 썼다. 50년대에는 박인환-김차영-조향-이봉래-김경린과 함께 ‘후반기’ 동인을 결성해...
    도서 위키백과
  • 김규동
    김규동은 다음 사람을 가리킨다. 김규동(金奎東, 1925년 ~ 2011년)은 대한민국의 시인이다. 김규동(1967년 ~ )은 대한민국의 작곡가이다. 동명이인
    도서 위키백과
  • 1950년대 한국문학사적 특징, 후반기 동인 동인지 없는 동인'이라는 이채로운 기록을 남기다
    부산에서 동일한 현대시의 이념과 새로운 에스프리의 추구”를 위해 모인다. 전쟁 직전 ‘신시론’을 결성한 바 있던 박인환과 김경린이 이봉래 · 조향 · 김규동 · 김차영 등을 끌어들여 ‘후반기’ 동인을 결성한 것이다. 1950년대를 “20세기 후반기의 시작”이라는 의미로 해석해 동인의 명칭을 후반기라고 붙인...
    시기 :
    1951년
  • 전후 시
    체험은 전쟁 후 문학에 많은 영향을 끼쳤다. 특별히 박목월, 박두진, 서정주 등을 중심으로 전통적인 서정시를 재건하고 계승하려한 경향과 김경린, 박인환, 김규동 등을 중심으로 시적 언어와 형태에 새로운 실험을 감행하려는 경향이 나타났다. 전통파 또는 서정파로 지칭되는 부류는 개인의 정서와 감각을 중시하면서...
  • 후반기 後半期
    植) 등이 부산의 시인 조향과 어울리면서 모더니즘 시 운동을 전개하자고 뜻을 모으자 이에 동조하여 김차영이 가담하였다. 이후 양병식이 빠지고 이봉래, 김규동이 참여하여, 「후반기」의 멤버는 박인환, 김경린, 김규동, 이봉래, 조향, 김차영 등 6명으로 고정되었다. 이들 외에 김춘수(金春洙), 김수영(金洙暎...
    시대 :
    현대
    유형 :
    개념
    분야 :
    문학/현대문학
  • 김기림 인손, 金起林
    영문학을 전공했으며, 1939년 졸업과 함께 귀국해 〈조선일보〉 기자생활을 계속했다. 1942년에는 경성중학교 영어 교사를 지냈는데, 이때 배운 제자가 시인 김규동이다. 1945년 가족과 함께 월남하여 중앙대학교·연세대학교 강사를 거쳐 서울대학교 조교수, 신문화연구소장 등을 역임했다. 1946년 2월 8일에 열린 제...
    출생 :
    함북 학성, 1908. 5. 11
    사망 :
    미상
    국적 :
    한국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작가
  • 한국 애니메이션의 출발점, 신동헌
    김용환, 김성환 등과 함께 해방 이후 한국만화를 개척한 대표적인 ‘1세대 만화가’다. 1927년 함경북도 회령에서 출생한 그는 영화감독 신상옥, 시인 김규동 등과 함께 같은 중학교를 나온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사실에 대해 신상옥은 “만화가 신동헌, 시인 김규동, 정치가 김철 등이 그때 같이 공부하던 벗들...
  • 박인환 朴寅煥
    사귀었고, 서점을 그만두고는 〈자유신문〉·〈경향신문〉 기자로 근무했다. 6·25전쟁이 일어나자 육군 소속 종군작가단에 참여하고 피난지 부산에서 김규동·이봉래 등과 '후반기' 동인으로 활동했다. 1955년 대한해운공사에서 일하면서 미국에 다녀왔으며, 이듬해 심장마비로 30세의 젊은 나이에 죽었다. 1946...
    출생 :
    1926. 8. 15, 강원 인제
    사망 :
    1956. 3. 20
    국적 :
    한국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작가
  • 기호흥학회 畿湖興學會
    설립하여 3년 과정의 본과와 1년 반 과정의 특별과를 두었다. 8월 월간지 〈기호흥학회월보〉를 창간, 1909년 7월까지 통권 12호를 발행했다. 발행인은 김규동(金奎東), 편집인은 이해조(李海朝)였다. 국권회복에 관한 기사가 실렸다 하여 제6, 9~11호를 압수당하기도 했다. 이 학회는 표면상으로는 교육진흥을 강조하고...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교육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4 다음페이지 없음

멀티미디어3건

김규동
〈나비와 광장〉의 시인 김규동
전후 인간의 방황과 고독을 노래한 김규동의 첫 시집 〈나비와 광장〉과 그 본문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