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기유약조 己酉約條
    기유약조는 1609년(광해군 1) 일본과 통교를 위해 대마도주와 맺은 강화조약이다. 도쿠가와 이에야스는 에도막부를 세우고 여러차례 대마도주를 조선에 보내어 통교 허용을 요청하였다. 일본의 계속된 요청에 조선은 국서를 정식으로 먼저 보내올 것, 왜란 중 왕릉을 발굴한 범릉적을 압송해올 것, 피로인을 송환할 것 ...
    유형 :
    사건
    분야 :
    역사/조선시대사
  • 기유약조 己酉約條
    조선 광해군 때 정부가 일본에 통교를 허용하려고 대마도주와 맺은 조약.|임진왜란 뒤에 일본은 조선의 사정에 밝은 대마도주를 통해서 조선과 국교를 정상화하려고 3차례(1599~1600)나 조선정부에 통교 허용을 간곡히 요청해 왔다. 이에 조선정부는 통교 허용의 전제조건으로, ① 국서를 정식으로 보낼 것, ② 왜란중...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조선
  • 기유약조 己酉約條
    1609년 임진왜란 이후 단절되었던 국교를 재개하는 과정에서 동래 왜관 체류를 비롯한 조선과 일본 간의 기본 약조.|[체결 경위] 임진왜란과 정유재란이 끝난 후 일본의 국교 재개 요청에 따라 조선은 일본의 진의를 파악하고, 군민(君民)의 정서를 고려한 명분에 입각한 국교 교섭을 위해 ① 막부장군의 국서를 정식...
    분야 :
    역사
    지역 :
    부산광역시
  • 기유약조 己酉約条
    기유약조는 1609년(광해군 1)에 조선이 에도 막부와 맺은 전문 13조의 송사조약(送使條約)이다. 조약 내용은 주로 쓰시마 후추번주의 세견선의 왕래 조건에 관한 것이다. 이 조약을 체결함으로 임진왜란 이후 10년간 단절되었던 조선과 일본간에 국교가 정상화되었다. 도요토미 히데요시가 1598년(선조 31)에 죽은후 정...
    도서 위키백과
  • 기유약조 체결 일본과 국교를 재개하다
    행위를 일본 스스로 시인하게 했다. 이어 조선은 일본과의 통교 및 무역에 대한 기본 틀을 마련하기 위해 광해군 1년인 1609년에 조약을 맺는다. 13조의 기유약조(己酉約條)가 그것으로, 송사약조(送使約條)라고도 한다. 기유약조의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대마도주에게 내리는 세사미두는 모두 100석으로 한다...
    시대 :
    1609년
  • 유교 국가 조선
    기묘사화 – 1559년 임꺽정의 난 – 1575년 동서 분당 – 1589년 정여립 옥사 – 1592년 한산도대첩 – 1593년 행주대첩 – 1597년 정유재란 – 1609년 기유약조 체결 – 1623년 인조반정 – 1624년 이괄의 난 – 1627년 정묘호란 – 1636년 병자호란 – 1658년 제2차 나선 정벌 – 1680년 경신환국 – 1696년 안용복...
  • 세견선 歲遣船
    일어나자 1512년에 임신약조를 맺어 대마도주에게 주는 세사미와 세견선의 수를 반감했다. 임진왜란 후에는 한동안 단절되었으나, 1609년(광해군 1)에 기유약조에 의해 일본과의 통상을 대마도주에게 한정시키고 세견선을 20척으로 축소하는 등 규제를 가했다. 세견선의 왕래는 무역을 목적으로 했지만, 모든 선박에...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조선
  • 특송선 特送船
    같이 했다. 이들이 상경할 때는 향통사(鄕通事)가 인솔하고 조관(朝官)이 호송하도록 했고, 특송사(特送使)는 3인이었고 별도의 예로 맞이했다. 1609년 기유약조(己酉約條)에는 쓰시마도주 세견선은 20척으로 하되, 도주특송선(島主特送船)은 3척으로 하되, 세견선내에 포함시키도록 했다. 1637년 겸대(兼帶)의 제도에...
    시대 :
    조선후기
    유형 :
    개념용어
    분야 :
    정치·법제/외교
  • 세견선 歲遣船
    1512년(중종 7)에 다시 임신약조를 맺어 대마도주의 세견선을 25척으로 감하기도 하였다. 그 뒤 임진왜란으로 통교가 단절되었다가 1609년(광해군 1)에 기유약조에 의해 재개되면서 일본과의 통교를 대마도주에게 일원화시켰다. 이 때 세견선은 대마도주에게 20척(특송선 3척 포함)으로 한정했으며, 그밖에는 수직인선...
    시대 :
    조선
    성격 :
    무역선
    유형 :
    제도
    시행일 :
    조선시대
    분야 :
    역사/조선시대사
  • 해행록 海行錄
    따른 예물 내역을 실은 별단, 통교와 관련된 내용의 상소 등이 수록되었다. 이 때는 임진왜란과 정유재란으로 조선과 일본의 외교 관계가 단절된 뒤 1609년 기유약조를 체결, 국교가 재개되기 이전의 시기여서 단절된 외교 관계를 다시 맺는 것이 공통 관심사였다. 따라서, 일본의 강화 요구, 여기에 대한 조선 정부의...
    시대 :
    조선
    저작자 :
    예조
    성격 :
    외교서, 관찬서
    유형 :
    문헌
    권수/책수 :
    2책
    분야 :
    역사/조선시대사
    소장/전승 :
    국립중앙도서관, 규장각 도서
  • 조일전쟁의 영향과 대외관계
    단절된 조선과의 관계 회복을 추진하기 위해 1604년 3천여 명의 조선 포로들을 귀환시켰다. 조선 역시 북방의 정세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1609년 일본과 기유약조를 체결하여 양국간의 관계를 정상화했다. 일본은 조선으로부터 약탈해간 그림과 서적 및 포로로 데려간 우수한 활자 인쇄공을 통해 성리학을 비롯한 인쇄...
    시대 :
    16세기 말~17세기
  • 차왜 差倭
    사절이라면, 차왜는 외교적인 현안 문제가 있을 때마다 임시로 파견된 외교사절이었다. 이 사절의 제도는 조선 전기에는 없었던 것으로 1609년(광해군 1) 기유약조(己酉約條)의 체결 당시, 상경을 요청한 대마사절에게 ‘도주차왜(島主差倭)’라는 명칭을 붙인 데서 시작되었다. 차왜의 역할이 정착되고 응접 기준이...
    시대 :
    조선
    성격 :
    관직
    유형 :
    제도
    시행일 :
    1609년(광해군 1)
    분야 :
    역사/조선시대사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다음페이지 없음

멀티미디어4건

기유약조
통문관지 / 기유약조
통문관지 / 기유약조
통문관지 / 기유약조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