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군웅본풀이 군농본풀이, 軍雄本풀이
    군웅본풀이」는 제주도 굿에서 일월조상의 근본이라고 하는 '군웅'을 청하거나 놀릴 때 부르는 무가이다. 석살림 등의 제차에서 조상본풀이를 구연하기 전에 부른다. 대부분은 군웅의 직능과 계보를 구연하는 데 그치는데, 일제 강점기에 박봉춘 심방이 구연했다고 하는 「군농본푸리」는 「거타지 설화」, 「작제건 설화」 등...
    유형 :
    작품/문학
    분야 :
    문학/구비문학
  • 군웅본풀이
    제주도 서사무가.|구농아방 왕장군이 용왕을 도와주고 그의 딸과 혼인한 이야기이다. 〈삼국유사〉의 〈거타지설화〉나 〈고려사〉의 〈작제건설화〉와 내용이 같다. 군웅이란 죽은 장수의 영(靈)으로, 외부에서 들어오는 액을 막아주는 군신 이다. 구농아방 왕장군이 홀아비로 사는데 하루는 동해 용왕의 아들이 초청...
  • 서사무가 무속신화, 敍事巫歌
    는 중국 소설 「서유기」 중 당태종 회생담에서, 함경도의 「문굿」과 제주도의 「세경본풀이」는 중국의 「축영대(祝英臺) 설화」에서, 제주도의 「군웅본풀이」는 「작제건(作帝建) 설화」에서 그 소재를 취하고 있다. 서사무가는 자료에 따라 소재 원천이 다르게 추적되듯이 각개 작품의 내용 또한, 설화와 마찬가지...
    유형 :
    개념
    분야 :
    문학/구비문학
  • 서사무가 본풀이, 敍事巫歌
    그밖에도 문헌신화에는 없는 천지창조신화에 대한 서사무가가 여러 편 있으며, 제주도에는 〈이공(二公)본풀이〉·〈삼공(三公)본풀이〉·〈세경본풀이〉·〈차사본풀이〉·〈칠성본풀이〉·〈군웅본풀이〉 등 특유의 서사무가가 여러 종 채록되었다. 서사무가에 대한 연구는 그 명칭이 보여주듯이 종교적인 측면...
  • 본풀이 Bon-puri
    서적 인용 == 일반신 본풀이 사람의 일반적인 사항을 차지한 신들의 본풀이로 천지왕 본풀이, 삼승할망 본풀이, 마누라 본풀이, 초공 본풀이, 이공 본풀이, 삼공 본풀이, 차사 본풀이, 세경 본풀이, 지장 본풀이, 문전 본풀이, 칠성 본풀이, 군웅 본풀이 등이 있다. 당신 본풀이 각 마을의 당신 본풀이로 송당, 궤눼기당...
    도서 위키백과
  • 신묘한 구슬 설화 神妙한 구슬 說話
    싸움에 개입하여 신비한 주보를 얻고 아내를 얻는 이야기 유형과 관련이 깊은 것으로 추정된다. 대표적인 예로 〈거타지(居陁知)〉 〈작제건(作帝建)〉 〈군웅본풀이〉 등을 들 수 있다. 〈구슬이 변한 여자〉 유형은 단순하지 않다. 구슬이 여성으로 화하여 총각과 그 색시와 함께 살았다. 색시가 구슬색시를 데려가자...
    유형 :
    작품
    분야 :
    문학/구비문학
  • 무가의 종류
    굿거리의 맨 처음에 구연된다. 서사무가는 제향을 받는 대상신에 대한 이야기이기 때문에 대상신에 따라 다양한 서사무가가 전한다. 〈제석본풀이〉·〈바리공주〉·〈군웅본풀이〉·〈성주풀이〉 등이 있다. 희곡무가는 무극(巫劇)에서 구연되는 무가를 말하는 것으로 행동과 대화로 표현되는 특징이 있다. 또한 2...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종교
  • 거타지설화 居陀知說話
    요괴의 제물이 될 뻔한 용녀를 구출하여 혼인한다는 점에서 인신공희설화의 성격을 지닌다. 용왕을 도와주고 용녀와 결혼한 이 설화는 〈고려사〉 세계의 〈작제건설화 作帝建說話〉, 제주도 서사무가인 〈군웅본풀이〉, 조선왕조 건국의 사적을 노래한 〈용비어천가〉, 고전소설 〈심청전〉등에서 전승되고 있다...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신화/전설
  • 빈대절터설화 ─說話
    데서 비롯된 것이다. 이러한 추론은 〈거타지설화(居陁知說話)〉, 〈작제건설화(作帝建說話)〉, 〈도조설화(度祖說話)〉, 그리고 제주도에 전승된 〈군웅본풀이〉와 관련이 깊다. 이들 이야기의 근저에는 용과 중, 용과 용 등의 싸움이 자리하고 있다. 특히 거타지와 작제건은 용과 중의 싸움에 끼어들어 용을 돕고 중을...
    시대 :
    고대/삼국
    성격 :
    설화
    유형 :
    작품
    분야 :
    문학/구비문학
  • 국사당의 무신도 國師堂의 巫神圖
    내리는 데에도 정확한 신통력을 보여주는 것으로 믿어졌다고 한다. 별상님 가로 57㎝, 세로 101㎝. 비단 바탕에 채색. 칼을 짚고 앉아 있는 무장상이다. 군웅대신 또는 최영장군으로 추정되기도 한다. 별상의 신격은 무당들도 분명히 알지 못한다. 그러나 제주도의 무가 삼신본풀이 속에 ‘대별상 큰마누라’와 ‘홍진국...
    시대 :
    조선
    유형 :
    유물
    분야 :
    종교·철학/민간신앙
  • 굿 · 탈춤이 된 고소설
    유형인 ‘군웅’들에게 신나게 놀아 보자는 내용을 근간으로 한다. 잠시 그 내용을 들여다보자. 오늘 오늘 오늘은 오늘이라/ 날도 좋아 오널이라 도 좋아 오널이요/ 내일 양석 어제 오널 성더레 예와 내 지요/ 루 산도 쉬고 넘자 구름산도 쉬고 넘저 앞마당에 남당 놀고/ 뒷마당에 여당이 논다 월매 춘향이는/ 이도령 품...
  • 일월조상 日月祖上
    군웅·군웅일월 등 여러 가지 명칭으로 부른다. 조상이라 하면 조부모·증조부모 등 대대의 혈연조상을 일컬음은 어디서나 같은데, 제주도에서는 같은 ‘조상’이라는 말로 부르면서도 혈연조상으로서의 조상과 집안의 수호신으로서의 조상을 개념적으로 구별한다. 이 두 조상의 혼란을 피할 필요가 있을 때는 집안의...
    유형 :
    개념용어
    분야 :
    종교·철학/민간신앙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다음페이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