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광학렌즈 光學━━, optical lens
    카메라, 안경, 현미경, 망원경 등에 사용되는 광학유리로 만든 렌즈.|광학이란 말은 원래 눈과 시각에 대해서만 사용되었지만, 렌즈 등 시각을 보조하는 기기가 발달하면서 빛을 사용하는 모든 기기를 총괄하는 의미로 확장되었다. 렌즈광학에서 대상물체로부터 나오는 광선을 초점에 모아서 그 물체의 상을 만드는...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물리
  • 광학 렌즈 光學lens, Optical Lens
    두 개의 굴절 곡면을 가진 투명체. 볼록 렌즈 ・ 오목 렌즈 따위가 있으며 망원경, 현미경 따위에 쓴다.
    분야 :
    감시 ・ 정찰
  • 렌즈 (관련어 광학렌즈) Lens, レンズ
    보통 유리를 재료로 만든다. 전자기파를 위해서 만든 비슷한 도구도 렌즈로 불리는데, 예를 들어 파라핀으로 만든 마이크로파 렌즈는 빛에는 적합하지 않지만, 마이크로파를 굴절시켜 렌즈의 역할을 한다. 카메라를 위해 특별히 제작된 렌즈는 카메라 렌즈라고 한다. 기하광학에서의 렌즈는 빛의 직진성과 매질 간의 굴...
    도서 위키백과
  • 현미경 顯微鏡, microscope
    가장 친숙한 현미경에는 렌즈가 하나인 단순 광학현미경과 몇 개의 렌즈가 조합되어 있는 복합 광학현미경이 있다. 단순 광학현미경은 해상능이 약 0.001㎜로 배율을 10×(배)까지 확대할 수 있고, 복합 광학현미경은 배율이 2.5~1,000×이고 해상능(또는 해상력·분해능)이 0.01~0.0002㎜이다. 다른 유형의 현미경은...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물리 , 과학 일반
  • 광학 중력 렌즈 실험 Optical Gravitational L..
    광학 중력 렌즈 실험(Optical Gravitational Lensing Experiment, OGLE, 오글)은 바르샤바 대학교를 기반으로 장기 변동성 하늘 조사(1992~현재)를 실행하는 폴란드 천문학 프로젝트이다. 주요 목표는 변광성(맥동 및 일식)의 감지 및 분류, 미세 렌즈 현상, 왜소 신성의 발견, 은하계와 마젤란 구름의 구조에 대한 연구...
    도서 위키백과
  • 대명광학 大明光學, DAE MYUNG OPTICAL CO., LTD.
    1월 미국 안경 렌즈 제조업체 비전이즈가 대명광학(주) 지분 100%를 인수했다. 비전이즈는 미국 미네소타 주에 본사를 둔 중견 렌즈 제조업체로, 대명광학(주) 인수를 통해 고굴절 렌즈 등으로 제품을 다각화하고 아시아 시장으로 판매처도 다변화했다는 평가를 받았다. 2017년 중국 상해전시회와 이탈리아 밀라노에서...
    설립 :
    1998-10-01
    국가 :
    대한민국
    기업형태 :
    주식회사
    업종 :
    의료, 정밀, 광학기기 및 시계 제조업
    취급품목 :
    안경렌즈, 광학렌즈 제조
    사이트 :
    http://www.dmo.co.kr
    본사 주소 :
    서울 송파구 송파대로 167
    도서 기업사전 | 태그 기업
  • 광학 현미경 光學顯微鏡, light microscope
    모으는 집광기, 빛의 양을 조절하는 조리개 등이 광학 현미경에 사용되는 광학장치들이다. 단순 광학현미경은 해상능이 약 0.001㎜로 배율을 10×(배)까지 확대할 수 있고, 복합 광학현미경은 배율이 2.5~1,000×이고 해상력(또는 분해능)이 0.01~0.0002㎜이다. 광학현미경에서는 각 렌즈들의 초점거리는 일정하며, 대물...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물리 , 기계 , 과학 일반
  • 기하광학 幾何光學, geometrical optics
    보통 물리광학·생리광학·기하광학 등 3가지 분야로 나눌 수 있다. 물리광학은 빛 자체의 본질과 성질을 연구하는 것이고, 생리광학은 시각 메커니즘을 다루는 것이다. 기하광학은 망원경·현미경·사진렌즈·분광기 및 그것들을 구성하고 있는 단일렌즈·거울·프리즘 등 광학기기의 성질을 취급하는 광학의 한 분야다...
    도서 다음백과 | 태그 학문
  • 광학 光學, optics
    physical optics)과 기하광학(geometrical optics)이라는 2개의 주요분야가 있다. 물리광학은 주로 빛 자체의 본성이나 성질을 다룬다. 반면에 기하광학은 거울이나 렌즈, 기타 제반 장치의 결상화(結像化 image-forming) 특성을 지배하는 원리를 다룬다. 또 간섭광학계로 형성된 영상정보 내용의 조작을 포함한 광학...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물리
  • 광학의 발전 암흑에서 벗어나다
    제품을 만들어 자신의 제품을 판매할 수 있었을 뿐 아니라 파두아 대학의 종신 교수직도 확보할 수 있었다. 유리를 통해 보이는 선명한 모습 렌즈는 빛을 굴절시키는 도구로, 광학에서 가장 기본적인 도구이며 그 원리가 알려지기 오래전부터 사용되어온 물건이다. 남아있는 것 중 가장 오래된 렌즈는 3천 년 전...
  • 광학간섭계 optical interferometer
    별들 사이의 거리를 측정하거나 별의 직경을 구하기도 한다. 1881년 미국 물리학자 알버트 A. 마이컬슨은 마이컬슨-몰리 실험에 사용된 간섭계를 만들었다. 광학산업에서는 마이컬슨 간섭계나 그 개량품을 이용해 렌즈나 분광기를 시험하거나 굴절률 측정, 표면의 정밀세부조사 등을 하고 있다. 이 기구는 은으로 반...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물리
  • 카메라와 렌즈
    광선의 빛줄기를 렌즈 뒷면의 한 점(초점)에 모은다. 렌즈로부터 이 초점까지의 거리가 초점거리이며 이는 렌즈면의 곡률과 렌즈 유리의 광학적 특성에 의거한다. 렌즈 앞에서 매우 먼 거리, 광학상 '무한대'에 있는 물체는 초점이 통과하는 면(초점면)에 거꾸로 된 상을 형성한다. 가까운 물체로부터의 광선은 초점면...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취미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4 5 6 7 8 9 10 다음페이지

멀티미디어1건

광학렌즈(optical lens)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