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광복 光復한국광복군 총사령부 정훈처에서 선전활동을 위하여 1941년에 발행한 잡지. 편찬/발간 경위 서안(西安)에서 1941년 2월부터 월간(月刊)으로 발간하였다. 한국광복군은 1940년 9월 17일 중국 사천성(四川省)중경(重慶)에서 임시정부의 국군으로 창설되었는데, 창설 직후 총사령부를 섬서성(陝西省) 서안(西安)으로 이전...
- 시대 :
- 근대
- 창작/발표시기 :
- 1941년 2월
- 성격 :
- 잡지
- 유형 :
- 문헌
- 간행/발행 :
- 한국광복군 총사령부 정훈처
- 분야 :
- 역사/근대사
-
-
광복 光復본 뜻 잃었던 왕권이나 군권(君權)을 회복했다는 뜻이다. 바뀐 뜻 8·15해방 때 이 말을 쓰면서 빼앗긴 주권을 도로 찾았다는 뜻으로 의미가 확대되었다. 보기글 ㆍ1945년의 광복은 왕권 회복은커녕 우리나라에서 왕실이 완전히 없어지는 계기가 되었다.
-
여성 女性여성운동으로 면면히 이어지는 초석이 되었다. 그러므로 여성의 지위향상과 해방은 아직은 대중화되기 어려웠고 이념적인 수준에 머물렀다고 할 수 있다. 광복 후의 여성 광복과 더불어 우리 사회에서는 광범한 근대화가 진행되기 시작하였는데, 그 중 여성의 지위와 역할의 변화도 포함된다. 특히, 미국에서 들어온...
- 유형 :
- 개념용어
- 분야 :
- 사회/사회구조
-
8·15광복 八一五光復개설 광복이라는 말은 글자 그대로 ‘빛을 되찾는다’는 의미이지만 한국인들에게 있어서 그것은 일제에 의해서 나라를 빼앗기고 식민지통치를 받고 있는 상태는 곧 암흑이라는 인식에 대한 대치관념으로 통해왔다. 따라서, 광복은 나라를 되찾고 스스로를 다스리는 국가가 있는 본래의 상태로 되돌아오는 것을 의미한다...
- 시대 :
- 현대
- 유형 :
- 사건
- 분야 :
- 정치·법제/정치
-
8 · 15 광복 마침내 일제의 압제에서 벗어나다배경 1944년 여운형이 조국 광복을 준비하기 위해 비밀결사인 건국동맹을 조직하다. 1945년 조선건국준비위원회가 조선인민공화국 수립을 발표하다. 1946년 한국의 신탁통치와 임시정부 수립 문제에 관해 미소 공동위원회가 열리다. 설명 1945년 4월, 이탈리아의 무솔리니와 독일의 히틀러가 차례로 최후를 맞이하고...
- 시대 :
- 1945년
-
수상신주광복지연의 繡像神州光復志演義구성 및 형식 필사본. 필사자 미상. 중국 근대 역사소설 『수상신주광복지연의』(15권 16책, 120회)를 번역한 책이다. 중화민국 원년(1912) 9월에 상하이[上海]의 신주도서국(神州圖書局)과 광익서국(廣益書局)에서 동시에 출판되었다. 편집자는 청도관(聽濤館) 설암씨(雪菴氏), 교열자는 침수헌(枕漱軒) 일로씨(逸盧氏...
- 시대 :
- 근대/일제강점기
- 유형 :
- 작품
- 분야 :
- 문학/고전산문
도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영화 映畵, movie주식회사에 의하여 제작된 것이고, 나머지 11편은 이 회사가 발족하기 이전에 기존 회사들에 의하여 이미 기획되어 제작된 작품들이다. [7. 광복과 동란, 그리고 전성기] [7.1. 광복영화의 시기] 1945년 일본이 연합군에 패망하자 영화인들은 다시 작품활동을 개시하였다. 1945년 9월 24일 미군정청 보도부(美軍政廳報道...
- 유형 :
- 개념용어
- 분야 :
- 예술·체육/영화
-
한국광복운동단체연합회 韓國光復運動團體聯合會분산적 활동을 청산하고, 이를 통합하여 혁명역량을 결집하려는 데 있었다. 연원 및 변천 당시 공동의 적인 일본과 싸우고 있던 중국 국민당정부는 한국광복운동단체연합회를 후원함으로써 항일연합전선을 펼 수 있었기 때문에 이를 지원하였다. 중국국민정부측은 나아가 항일독립운동을 펴고 있던 의열단계 김원봉의...
- 시대 :
- 근대
- 설립 :
- 1937년 8월
- 성격 :
- 독립운동단체
- 유형 :
- 단체
- 설립자 :
- 대한민국임시정부 외 9개 단체
- 분야 :
- 역사/근대사
-
교육 敎育하겠다. 즉 행복한 민주주의 사회의 시민을 길러주는 것이 교육의 목적이라고 볼 수 있다. 우리나라에 있어서 교육목표가 구체적으로 설정되기 시작한 것은 광복 이후 대한민국이 수립되고 「교육법」이 공포됨에 따라서이다. 그 이전에는 대체로 뚜렷한 교육목적이 문자화되어 있지 않았으나, 고대 삼국시대에는 정복...
- 유형 :
- 개념
- 분야 :
- 교육
-
교육과정 敎育課程3부가 통합(1929년)된 국민부는 행정조직과 군사조직을 갖추고 반일자치활동과 친일세력 소탕에 주력했고, 군사양성의 군정과 자치기관의 민정을 분리하였다. 광복 이후 대한민국의 교육과정 남한은 미군정, 북한은 소군정의 영향을 받아 각각 자유민주주의와 공산주의의 체제에 맞는 교육이 시작되었다. 이념적 좌우...
- 유형 :
- 개념
- 분야 :
- 교육
-
입시제도 入試制度그러나 대체로 보통학교·고등보통학교·사범학교·전문학교 등의 형태를 갖추고 있었으며, 일정한 전형방식을 통하여 상급학교로 진학하였다. 광복 이후의 입시제도 광복 이후 우리나라의 입시제도는 많은 곡절을 거치면서 변천하였다. 이것은 입시제도의 불안정성을 의미하는 것이기도 하며, 입시정책이 사회여론에...
- 시대 :
- 현대
- 유형 :
- 제도
- 분야 :
- 교육/교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