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
6.15 남북공동선언 六一五 南北共同宣言얼굴을 맞댄 순간이었다. 두 정상은 2박 3일간 무려 10시간 가까이 자리를 함께 하며 대화를 나눴고, 두 정상이 직접 서명한 6.15 남북공동선언이라는 성과도 만들어냈다. 6.15 남북공동선언문은 남북이 스스로 평화 통일의 방안을 제시했다는 데 큰 의의가 있다. 남과 북은 1항에서 "통일 문제를 그 주인인 우리 민족...
-
남북기본합의서와 비핵화공동선언 南北基本合意書와 非核化共同宣言열렸다. 여기서 북한은 그동안 주장해 오던 비핵지대화 주장을 접고 우리측의 비핵화 선언에 응하게 되었으며, 1991년 12월 31일에 「한반도 비핵화에 관한 공동선언」을 채택하게 되었다. 합의된 내용을 이듬해 1992년 1월 20일 남한의 정원식 총리와 북한의 연형묵 총리가 서명하고 남북고위급회담 6차 회담에서 2...
- 시대 :
- 현대
- 유형 :
- 문헌
- 분야 :
- 정치·법제/정치
-
6·15 남북 공동 선언한국의 김대중 대통령과 북한의 김정일 국방 위원장이 합의하여 발표한 공동 선언. 2000년 6월 15일 공식 발표되었다. 2000년 6월13일부터 15일까지 평양에서 개최되었던 김대중 대통령과 김정일 국방위원장의 제1차 남북정상회담 후 발표되었으며 총 5개항으로 되어 있다. 자주적 통일 추진의 원칙, 남북한이 각각 제시...
-
한반도의 비핵화에 관한 공동선언 韓半島의 非核化에 關한 共同宣言진척을 보게 되었다. 이후 남북한간에 12월 26일부터 핵협상이 시작되어 1991년 12월 31일 6개항으로 된 '한(조선)반도의 비핵화에 관한 공동선언'을 발표하기에 이르렀다. 공동선언의 내용은 핵무기의 시험·제조·생산·보유·접수·저장·사용 금지, 핵에너지를 오직 평화의 목적에만 이용, 핵재처리시설 및 우라늄...
-
조러 모스크바 선언 북러모스크바공동선언, 朝러 Moscow 宣言접근을 위해 2000년 2월 ‘조러친선,선린및협조에관한조약’을 체결한 데 이어, 같은 해 7월 19∼20일에는 푸틴 러시아대통령이 북한을 방문하여 ‘평양공동선언’을 발표했고, 2001년 7월 26일∼8월 18일에는 김정일 국방위원장이 러시아를 답방하여 ‘조러모스크바선언’을 발표했다. 역사적 배경 ‘조러모스크바선언...
- 시대 :
- 현대
- 유형 :
- 사건
- 분야 :
- 정치·법제/외교
-
1980년대 한국문학에 영향을 준 사건, 남북 청년 학생 공동 선언3국을 거쳐 북한에 들어간 임수경은 한국 청년 학생의 대표 자격으로 평양 축전에 참가하는 한편, 북측 청년 학생 대표인 김창룡과 함께 ‘남북 청년 학생 공동 선언’을 발표한다. 임수경은 천주교정의구현사제단의 문규현 신부와 함께 같은 해 8월 15일 판문점을 통해 돌아온 뒤, 국가 보안법 위반으로 구속되어 2심...
- 시기 :
- 1989년
-
1980년대 한국문학에 영향을 준 사건, 김대중 · 김영삼 8·15 공동 선언단식에 들어가며 ‘5공 체제’에 첫 도전장을 내밀고, 나라 밖에서는 미국에 망명중이던 김대중이 신군부 정권을 비판하고 반대하는 활동에 나선다. 이윽고 양김 진영은 좀더 효율적인 정권 반대 투쟁을 위해 공동 전선을 펼치기로 합의한다. 이에 따라 8·15를 앞두고 서울과 워싱턴에서 두 김씨의 공동 선언이 발표...
- 시기 :
- 1983년
-
육일오남북공동선언 6·15공동선언, 六一五南北共同宣言개설 6·15남북공동선언은 1972년 ‘7·4남북공동선언’ 이후 남북 정상들이 직접 만나 성사시킨 역사적인 사건이다. 역사적 배경 1993년에 불거진 북한의 핵카드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1994년 김영삼대통령과 김일성주석은 당시 방북하고 있었던 전 미국 대통령 카터(Jimmy Carter)의 중개로 남북정상회담을 가질 예정...
- 시대 :
- 현대
- 유형 :
- 사건
- 분야 :
- 정치·법제/정치
-
7·4남북공동성명 남북공동성명, 七四南北共同聲明적극적 전개와 급변하는 주변 정세에 대응할 필요성을 제기했다. 경과 및 결과 1972년 5월 2일부터 5월 5일까지 이후락 중앙정보부장의 평양 방문으로 공동선언의 대략의 틀이 합의되었다. 그 해 5월 29일부터 6월 1일까지 김영주 북한 노동당 조직지도부장을 대신한 박성철(朴成哲) 제2부 수상이 비밀리에 서울을 방문...
- 시대 :
- 현대
- 유형 :
- 사건
- 분야 :
- 정치·법제/정치
-
9·19 남북 군사분야 합의서 역사적인 판문점선언 이행을 위한 군사분야 합의서, 九一九 ..군사분야 책임자가 평화 통일을 위해 군사적으로 실천할 내용을 담은 합의서. 이보다 앞서 한국의 문재인 대통령과 북한의 김정은 국무위원장은 '9월 평양 공동선언'을 발표하였으며, 그 첫번째로 "남과 북은 비무장지대를 비롯한 대치지역에서의 군사적 적대관계 종식을 한반도 전 지역에서의 실질적인 전쟁위험 제거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