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한반도의 비핵화에 관한 공동선언 韓半島의 非核化에 關한 ..
    남북한이 공동으로 발표한 비핵화 선언. 1991년 발표하고 1992년 발효했으나 1992년 말로 사문화되었다. 공동선언의 내용은 핵무기의 시험·제조·생산·보유·접수·저장·사용 금지, 핵에너지를 오직 평화의 목적에만 이용, 핵재처리시설 및 우라늄 농축시설 보유금지, 비핵화 검증을 위한 동시 상호사찰, 핵통제 공동...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세계사
  • 한반도의 비핵화에 관한 공동선언 (관련어 한반도의비핵..) Joint Declaration of the Denuclearization of the Korean Penins..
    한반도의 비핵화에 관한 공동선언(韓半島의 非核化에 關한 共同宣言)은 1992년 1월 31일 대한민국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간에 체결된 조약이다. 1991년 12월 31일, 제5차 남북고위급회담에서 가서명을 하였다. 1992년 1월 14일 남북은 임동원(林東源)통일원 차관과 최우진(崔宇鎭) 외교부 순회대사가 각각 참석한 가...
    도서 위키백과
  • 한반도비핵화와평화구축을위한선언 韓半島非核化─平和構築..
    중요성에 대해 공통의 인식을 보여주었다. 그 결과 같은 해 12월 18일노태우 대통령은 한반도 비핵화 실현을 위한「핵부재선언」을 발표하였고, 12월 31일에는 남북한이「한반도의 비핵화에 관한 공동선언문안」에 합의한 후「남북공동발표문」을 발표하기에 이르렀다. 의의와 평가 국제적으로 한반도 비핵화를 실현할...
    시대 :
    현대
    발생 :
    1991년 11월 8일
    성격 :
    선언, 대통령 선언
    유형 :
    사건
    분야 :
    역사/현대사
    관련 인물/단체 :
    노태우
  • 남북기본합의서와 비핵화공동선언 南北基本合意書와 非核..
    12월 26일부터 31일까지 판문점에서 열렸다. 여기서 북한은 그동안 주장해 오던 비핵지대화 주장을 접고 우리측의 비핵화 선언에 응하게 되었으며, 1991년 12월 31일에 「한반도 비핵화에 관한 공동선언」을 채택하게 되었다. 합의된 내용을 이듬해 1992년 1월 20일 남한의 정원식 총리와 북한의 연형묵 총리가 서명하고...
    시대 :
    현대
    유형 :
    문헌
    분야 :
    정치·법제/정치
  • 공동선언 共同宣言, Joint Declaration
    공동선언은 어떤 내용인지에 따라 중요도가 달라지는데, 국가 간 합의 내용에 따라 조약과 동일한 효력을 가질 수도 있다. 공동선언의 대표적인 예로 6·15 남북 공동선언, 한반도의 비핵화에 관한 공동선언 등이 있다. 공동선언은 각 국가 수뇌의 회담내용을 기록한 공동성명(共同聲明)보다 격이 높은 것으로 평가된다...
  • 민족의 통일과 평화에 관한 한국기독교회선언 民族의 統一과 平和에..
    있다. 특히 1991년 12월 13일 남북 사이에 채택된 「남북 사이의 화해와 불가침 및 교류, 협력에 관한 합의서」와 그 해 12월 31일의 「한반도의 비핵화에 관한 공동선언」은 이 「선언」의 내용을 거의 담아내고 있다. 그러나 분단 현실을 고착화시킨 이념과 체제를 기독교적인 관점에서 어떻게 지양할 수 있는가에...
    시대 :
    현대
    유형 :
    사건
    분야 :
    종교·철학/개신교
  • 남북통일 Korean reunification, 朝鮮統一問題
    위한 특별 선언과 한민족공동체통일방안을 발표하고, 북방 정책을 추진해 남북한이 UN에 동시에 가입하게 되었다. 그리고 남북 기본 합의서와 한반도의 비핵화에 관한 공동선언을 체결하였다. 김영삼 정부는 민족공동체통일방안을 발표하고, 남북정상회담 추진 등의 적극적인 대북 정책으로 통일을 위해 노력하였으나...
    도서 위키백과
  • 공동선언 Joint Declaration
    공동선언(共同宣言)은 국가 간의 합의의 한 형식이다. 홍콩 반환 협정 마카오 반환 6·15 남북 공동선언 한반도의 비핵화에 관한 공동선언 동음이의
    도서 위키백과
  • 대한민국의 대외관계
    이어서 1992년 2월 19일 제6차 남북고위급회담에서는 위의 기본 합의서 외에 정치, 군사 및 교류, 협력의 '분과위원회 구성·운영에 관한 합의서'와 '한반도의 비핵화에 관한 공동선언'을 발효시킴으로써 남북한 당국은 분단 반세기 만에 처음으로 화해·공존 관계를 제도화해 나갈 수 있는 기본틀을 마련하게 되었다...
    도서 다음백과 | 태그 한국
  • 남북 기본 합의서
    이어서 1992년 2월 19일 제6차 남북 고위급 회담에서는 위의 기본 합의서 외에 정치, 군사 및 교류, 협력의 분과 위원회 구성·운영에 관한 합의서와 한반도의 비핵화에 관한 공동 선언을 발표했다. 합의서는 서문과 남북 화해, 남북 불가침, 남북 교류·협력, 수정 및 발효 등의 4장 25조로 구성되었다. 합의서는 분단...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남북관계
  • 남북총리회담 南北總理會談
    이행과 후속 회담은 더 이상 진전되지 못했다. 의의와 평가 첫 번째 회담의 성과는 남북 사이의 화해와 불가침 및 교류 · 협력에 관한 합의서, 한반도의 비핵화에 관한 공동선언, 남북고위급회담 분과위원회 구성 · 운영에 관한 합의서, 남북교류 · 협력공동위원회 구성 · 운영에 관한 합의서 등에 서명하며 남북...
    시대 :
    현대
    유형 :
    사건
    분야 :
    정치·법제/정치
  • 한국 Korea
    접촉을 가진 이래 다각적인 접촉을 이루어왔다. 1990년에는 남북한이 국제연합에 동시 가입했고, 그해에 이루어진 '남·북고위급회담'에서는 '한반도의 비핵화에 관한 공동선언'을 발효시키는 등 남북한은 화해·공존을 위한 방안을 모색하면서, 통일을 향한 길에 접근하고 있다. 한국의 자연환경·생태·정치·경제...
    도서 다음백과 | 태그 한국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4 다음페이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