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공관 공재, 空館조선시대 성균관의 유생들이 감행한 집단시위. 공재·권당 내용 성균관의 유생들에게는 여러가지 자치활동이 허용되었다. 유생들의 사기를 진작시키는 것이 국가의 원기(元氣)를 기르는 것이라고 본 역대 왕들은 정당한 사유이면 이들의 행동을 묵인하였다. 유생들은 자치활동을 위해서 기숙사인 동·서재(東西齋)에서...
- 시대 :
- 조선
- 유형 :
- 개념용어
- 분야 :
- 교육/교육
-
공관 工官고려 초기 산택(山澤)·공장(工匠)·영조(營造)를 관장하던 관청. 내용 장관으로 어사(御事)를 두고 그 아래 시랑(侍郎)·낭중(郎中)·원외랑(員外郎)을 두었으며, 그 예속기관으로 우조(虞曹)와 수조(水曹)를 두었다. 995년(성종 14)상서공부(尙書工部)로 고쳐져 산택·공장(工匠)·영조(營造)에 관한 일을 관장하였...
- 시대 :
- 고려
- 성격 :
- 관청
- 유형 :
- 제도
- 시행일 :
- 고려 초기
- 폐지일 :
- 995년(성종 14)
- 분야 :
- 역사/고려시대사
-
재외공관 在外公館내용 유럽에서는 13세기에 어느 정도 현행과 비슷한 재외공관제도가 이탈리아를 중심으로 발전하였다. 물론, 우리나라에서도 예로부터 중국 등 이웃나라와 교류를 하고 사신을 파견하였으나, 외국에 상주하기 위한 공관을 두지는 않았는데, 1895년 3월 칙령 제44호 「공사관·영사관직원령」을 제정하여 공사관...
- 유형 :
- 제도
- 분야 :
- 정치·법제/법제·행정
-
재외공관용 재산의 취득·관리 등에 관한 특례법 在外公館用財産-取得·管理-關-..부동산의 처분(제2조), 부동산 임차료의 선지급(제4조) 등 전문 7조와 부칙으로 이루어져 있다. 1963년 4월 11일 '재외공관부동산 등 관리에 관한 특례법'으로 제정되었다가 1970년 8월 7일 일부 내용이 개정되며 '재외공관용 재산의 취득ㆍ관리 등에 관한 특례법'으로 바뀌었다. 2012년 1월 17일 전부 개정되었다. 외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