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공관 공재, 空館
    조선시대 성균관의 유생들이 감행한 집단시위. 공재·권당|내용 성균관의 유생들에게는 여러가지 자치활동이 허용되었다. 유생들의 사기를 진작시키는 것이 국가의 원기(元氣)를 기르는 것이라고 본 역대 왕들은 정당한 사유이면 이들의 행동을 묵인하였다. 유생들은 자치활동을 위해서 기숙사인 동·서재(東西齋)에서...
    시대 :
    조선
    유형 :
    개념용어
    분야 :
    교육/교육
  • 공관 空館
    정부의 고위 관리 등이 공적으로 쓰는 저택을 말한다. 공관은 「건축법」에 의한 용도별 건축물의 종류상 단독주택에 해당한다. 공관 중 우리나라와 외교관계를 수립한 나라의 외교업무수행을 위하여 정부가 설치하여 주한외교관에게 빌려주는 공관은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에 의한 기반시설 중 공공 ・ ...
    유형 :
    건축물용도, 도시 ・ 군계획시설
    관련법령 :
    「도시계획시설의 결정·구조 및 설치기준에 관한 규칙」 제94조
  • 공관 工官
    고려 초기 산택(山澤)·공장(工匠)·영조(營造)를 관장하던 관청.|내용 장관으로 어사(御事)를 두고 그 아래 시랑(侍郎)·낭중(郎中)·원외랑(員外郎)을 두었으며, 그 예속기관으로 우조(虞曹)와 수조(水曹)를 두었다. 995년(성종 14)상서공부(尙書工部)로 고쳐져 산택·공장(工匠)·영조(營造)에 관한 일을 관장하였...
    시대 :
    고려
    성격 :
    관청
    유형 :
    제도
    시행일 :
    고려 초기
    폐지일 :
    995년(성종 14)
    분야 :
    역사/고려시대사
  • 공관 公館
    외교 및 영사사무를 수행하기 위해 해외에 설치된 외교통상부 장관 소속의 기관.|일반적으로 대사관·공사관·대표부·총영사관·영사관 등을 말한다. 1965년 당시 해외공관은 상설대사관 21개, 겸임대사관 39개, 대표부 3개, 총영사관 9개에 지나지 않았으나 1970년대에 들어 공관의 숫자는 정부의 비동맹국가에 대한...
    도서 다음백과 | 태그 행정
  • 권당 (동의어 공관) 공관, 捲堂
    조선시대 성균관 유생들의 집단시위의 하나.|공관이라고도 한다. 성균관 유생들은 국가의 정책이나 당시의 시무(時務)에 대한 자신들의 집단의사 표시로서 유소를 올리게 되는데, 이에 대한 왕의 회신인 비답이 만족스럽지 못하거나, 유소의 방법으로 소기의 목적을 달성하지 못할 경우 식사거부의 표시로 학교식당에 ...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조선
  • 공부 (동의어 공관) 工部
    고려시대 상서성 아래에 있던 6부 가운데 하나.|산택의 보수, 공장 및 각종 시설의 영조를 관장했다. 본래 982년(성종 1)에 공관으로 설치되었으며, 그 아래에 우조와 수조를 두었다. 995년(성종 14)에 이르러 중국의 3성6부제를 도입하면서 공관을 상서공부로 고쳤으며, 우조와 수조도 각각 상서우조와 상서수조로 고...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고려
  • 공관 Gongguan
    공관은 다음을 가리킨다. 공관(公館)은 재외 공관을 뜻한다. 국무총리공관 공관복음서 지리지라오 공관 궁관 (동음이의) 동음이의
    도서 위키백과
  • 재외공관 在外公館
    내용 유럽에서는 13세기에 어느 정도 현행과 비슷한 재외공관제도가 이탈리아를 중심으로 발전하였다. 물론, 우리나라에서도 예로부터 중국 등 이웃나라와 교류를 하고 사신을 파견하였으나, 외국에 상주하기 위한 공관을 두지는 않았는데, 1895년 3월 칙령 제44호 「공사관·영사관직원령」을 제정하여 공사관...
    유형 :
    제도
    분야 :
    정치·법제/법제·행정
  • 공관의 의의
    자기 자신에 대한 비판이기도 하다. 이 때문에 중관학파 학자에게는 자기 주장으로서 정언이 있을 수가 없다. 공에 대한 자기 주장은 '공견'일 수는 있어도 '공관'은 아니다. 공의 변증론은 '공이 있음을 주장한 것'이 아니라, 그런 정언을 내세우기 이전에 본래 공임을 세간의 논리로 알릴 뿐이다. 그러므로 공관의...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불교
  • 재외공관용 재산의 취득·관리 등에 관한 특례법 在外公館用財産-取得·管理-關-..
    부동산의 처분(제2조), 부동산 임차료의 선지급(제4조) 등 전문 7조와 부칙으로 이루어져 있다. 1963년 4월 11일 '재외공관부동산 등 관리에 관한 특례법'으로 제정되었다가 1970년 8월 7일 일부 내용이 개정되며 '재외공관용 재산의 취득ㆍ관리 등에 관한 특례법'으로 바뀌었다. 2012년 1월 17일 전부 개정되었다. 외교...
    도서 다음백과 | 태그 , 부동산
  • 아관파천 고종 러시아공관 망명, 俄館播遷
    정의 1896년 2월 11일부터 1897년 2월 20일까지 조선 고종과 세자가 거처를 러시아제국 공사관으로 옮겼던 사건. 이를 계기로 1894년 갑오개혁 이후 계속된 친일 개화파 정권이 무너지고 친러파가 정권을 장악했다. 배경 일본은 청일전쟁에서 승리함으로써 조선에 대한 우월권을 확보하고, 중국으로부터 랴오둥[遼東...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조선 , 역사 일반
  • 4극진공관 四極眞空管, tetrode
    3극진공관에 있는 음극, 양극, 제어 그리드에 또다른 그리드인 차폐 그리드가 제어 그리드와 극판 사이에 놓여 있다. 이 차폐 그리드는 극판의 전압이 변할 때 일어나는 극판의 영향으로부터 제어 그리드를 보호해주는 정전기적인 방패 역할을 한다. 진공관 기능이 필요한 대부분의 장치에서 5극진공관을 4극진공관 대신...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물리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4 5 6 7 8 9 10 다음페이지

멀티미디어6건

충남도지사공관
민국 홍공관(民国红公馆)
외교공관용 석유류 판매통보서
동인도 회사의 무역공관
말레이시아 총리 공관(Malaysia Prime Minister’s Offices)
부산 동구 초량 일본 공관 앞의 일본선박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