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고온초전도체 高溫超傳導體, high-T c ..
    1986년 IBM 취리히 연구소의 베드노르츠와 뮐러가 발견한 초전도체.|이전의 초전도물질들이 금속원소나 금속의 합금인 반면, 새로운 고온초전도물질들은 대부분 산소 화합물의 세라믹인 점이 특이하다. 초전도현상이 일어나는 임계온도가 이전까지는 1973년에 보고된 Nb3Ge의 23.3K(약 -250℃)가 가장 높은 온도였으...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물리
  • 고온 초전도체 高溫超電導體, High Temperature Su..
    1911년 오네스에 의한 임계온도 4K의 수은 초전도체 발견 이후 1986년까지 가장 높은 임계온도는 1975년에 발견된 Nb3Ge에 의한 23K 였다. 그러나 1986년 J. 게오르크 베드노르츠와 카를 알렉스 뮐러에 의한 금속 산화물 초전도체의 발견으로 초전도체의 임계온도에 급격한 변화가 일어났다. 그 이후 임계온도 약 40K의 ...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물리
  • 고온 초전도체 (관련어 고온초전도체) High-temperature s..
    고온 초전도체(高溫超傳導體, 영하 243도) 이상의 온도에서도 초전도성을 보이는 물체를 말한다. 최초의 고온 초전도체는 구리산화물계열이었고 2008년에는 철산화물계열의 고온초전도체가 발견되어 귀추가 주목되고있다 1986년까지 물리학자들은 BCS 이론에 의하면 30 K 이상에서 초전도성을 보이는 것이 불가능하다고 ...
    도서 위키백과
  • 저온현상 (관련어 고온 초전도체) 低溫現狀, low temperature phenomena
    상온보다 현저히 낮은, 절대영도(-273.15℃) 근처에서 일어나는 물질들의 행동.|이같이 낮은 온도에서는 많은 물질들의 열 및 전자기적 특성들에 큰 변화가 일어나고, 상온에서와는 다른 기이한 현상을 보여주기도 한다. 많은 화학원소, 화합물 및 다양한 금속합금들에서 나타나는 전기저항이 사라지는 현상인 초전도...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물리
  • 고온 초전도체 高溫超電導體, High Temperature Su..
    전통적인 초전도체 이론인 BCS이론을 따르지 않는, 흔히 30K 이상의 온도에서도 초전도성을 보이는 물체를 말한다. 최초의 고온 초전도체는 구리 산화물 계열이었고 2008년에는 철 산화물 계열의 고온 초전도체가 발견되었다.
  • 초전도 현상 超傳導現像, superconductivity
    알려져 있다. 1986년과 1987년에 98K의 높은 온도와 수십 만 Oe(에르스텟)에 이르는 자기장 안에서도 초전도성이 유지되는 몇몇 Ⅱ형 초전도체가 발견되었다. 이와 같은 고온초전도체에서는 구리나 산소 원자가 면이나 사슬의 형태로 배열되어 있는 공통점이 있다. 이들의 특성은 비등방적이어서 원자의 면이나 사슬의...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물리
  • 초전도체 超傳導體, superconductor
    부른다. 1987년부터 발견되기 시작한 세라믹 계열 초전도체 역시 제2종 초전도체인데, 합금계보다는 수십도 높은 온도에서 초전도성을 나타내므로 ‘고온 초전도체’라고 부른다. 연원 및 변천 1911년 네덜란드 라이덴 대학의 카멜린 온네스(Heike Kamerlingh-Onnes)가 수은의 전기저항을 측정하는 실험을 하다가 절대...
    시대 :
    현대
    유형 :
    개념용어
    분야 :
    과학/과학기술
  • 초전도체 超傳導體, superconductor
    있다. 현재까지 발견된 초전도 전이 온도의 최고치는 절대 온도 153도(153K)이며 앞으로 273K(=0℃)에 가까운 240K가 달성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고온 초전도체의 개발이 실현되면 전기·전자 분야에서 광범위하게 응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고온 초전도체의 응용을 위한 연구 개발의 예로는 초전도체의 자기 효과...
  • 미래에 변전소가 사라지는 이유
    위해 노력했다. 이른 바 ‘고온초전도체’다. 전기저항이 없다는 점은 매력적이었지만 이를 구현하는 온도가 너무 낮아 실생활에 응용하기 힘들었기 때문이다. 초기에는 주로 금속합금에서 고온초전도체가 발견됐고, 그 뒤로 산화물과 유기물에서도 발견돼 현재 수천 종에 이른다. 이중 산화물 초전도체는 최고 영하 120...
    도서 과학향기 | 태그 전기/전자
  • 상온 초전도체 Room-temperature superconductor, 室..
    컴퓨터가 나올 수 있으며, 새로운 메모리 장치를 개발하고 초고감도 센서를 개발하는 등 다양한 분야에서 넓은 가능성을 보여줄 수 있다. 1986년 고온 초전도체(여기서 '고온'이란 액체 질소의 끓는점인 convert 이상의 온도를 의미)의 발견 이후 여러 물질이 상온 초전도체라고 보고되었지만 이 중 실제로 상온...
    도서 위키백과
  • 고온 초전도 HTS, 高溫超電導
    사라지는 현상. 초기 초전도 현상은 절대 온도에 가까운 온도에서 일어나 실용화가 지연되었지만 산화물 초전도체가 발견되면서 125°K에서 초전도가 구현되고 있다. 고온 초전도체는 주로 전력 분야 응용이 주종을 이루는 대형 스케일에서부터 미세 소자 응용에 이르기까지 여러 핵심 기술에 요긴하게 적용되고 있다.
  • 초전도 현상 Superconductivity, 超伝導
    금속에서도 나타나지 않는다. 1986년에는 구리-페로브스카이트(perovskite) 계 세라믹 물질에서 임계 온도가 90 K(켈빈)을 넘는 고온 초전도체가 발견되었는데, 이 때문에 초전도체 연구가 다시 활성화되는 계기가 되었다. 순수한 연구 주제로서, 이런 물질들은 초전도체를 설명하는 기존 이론으로는 설명되지 않고 있다...
    도서 위키백과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4 5 다음페이지 없음

멀티미디어1건

SQUID(Superconducting Quantum Interference Device)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