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
-
고온 초전도체 高溫超電導體, High Temperature Su..전통적인 초전도체 이론인 BCS이론을 따르지 않는, 흔히 30K 이상의 온도에서도 초전도성을 보이는 물체를 말한다. 최초의 고온 초전도체는 구리 산화물 계열이었고 2008년에는 철 산화물 계열의 고온 초전도체가 발견되었다.
-
초전도체 超傳導體, superconductor부른다. 1987년부터 발견되기 시작한 세라믹 계열 초전도체 역시 제2종 초전도체인데, 합금계보다는 수십도 높은 온도에서 초전도성을 나타내므로 ‘고온 초전도체’라고 부른다. 연원 및 변천 1911년 네덜란드 라이덴 대학의 카멜린 온네스(Heike Kamerlingh-Onnes)가 수은의 전기저항을 측정하는 실험을 하다가 절대...
- 시대 :
- 현대
- 유형 :
- 개념용어
- 분야 :
- 과학/과학기술
-
초전도체 超傳導體, superconductor있다. 현재까지 발견된 초전도 전이 온도의 최고치는 절대 온도 153도(153K)이며 앞으로 273K(=0℃)에 가까운 240K가 달성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고온 초전도체의 개발이 실현되면 전기·전자 분야에서 광범위하게 응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고온 초전도체의 응용을 위한 연구 개발의 예로는 초전도체의 자기 효과...
-
미래에 변전소가 사라지는 이유위해 노력했다. 이른 바 ‘고온초전도체’다. 전기저항이 없다는 점은 매력적이었지만 이를 구현하는 온도가 너무 낮아 실생활에 응용하기 힘들었기 때문이다. 초기에는 주로 금속합금에서 고온초전도체가 발견됐고, 그 뒤로 산화물과 유기물에서도 발견돼 현재 수천 종에 이른다. 이중 산화물 초전도체는 최고 영하 120...
-
고온 초전도 HTS, 高溫超電導사라지는 현상. 초기 초전도 현상은 절대 온도에 가까운 온도에서 일어나 실용화가 지연되었지만 산화물 초전도체가 발견되면서 125°K에서 초전도가 구현되고 있다. 고온 초전도체는 주로 전력 분야 응용이 주종을 이루는 대형 스케일에서부터 미세 소자 응용에 이르기까지 여러 핵심 기술에 요긴하게 적용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