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고려사절요 高麗史節要
    세종은 1438년 고려사를 편찬하고자 했다. 기전체로 하자는 의견과 편년체로 하자는 의견으로 나뉘었는데, 세종은 편년체를 수용했다. 이에 김종서 등은 세자를 설득하여 먼저 기전체 사서인 <고려사>를 만들고, 그뒤 5개월 만에 <고려사절요>를 완성했다. <고려사절요>가 <고려사>와 같은 점은 왕도정치와 패도정치의 ...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조선
  • 고려사절요 高麗史節要
    고려사절요는 조선 전기 문신 김종서 외 28인이 고려시대 전반을 편년체로 정리한 역사서이다. 『고려사』가 완성된 지 5개월여 만에 완성하였으며, 대체로 『고려사』를 축약한 것으로 볼 수 있지만, 『고려사』에 없는 내용이 다수 포함되어 있다.|저자 및 편자 1452년(문종 2) 2월 김종서(金宗瑞) 등 모두 28명의 ...
    시대 :
    조선 전기
    유형 :
    문헌/고서
    분야 :
    역사/고려시대사
  • 고려사절요 高麗史節要, 高麗史節要
    고려사》에 없는 많은 자료를 포함하고 있다. 김종서의 감수를 거쳐 1452년에 완성되었다. 제1권 태조 신성대왕 (太祖神聖大王) 제2권 혜종 의공대왕(惠宗義恭大王 정종 문명대왕(定宗文明大王) 광종 대성대왕(光宗大成大王) 경종 헌화대왕(景宗獻和大王) 성종 문의대왕(成宗文懿大王) 목종 선양대왕(穆宗宣讓大王) 제...
    도서 위키백과
  • 고려사절요 (경기도 유형문화재 제245호)
    문화재 정보 고려사절요(갑인자본)는 대한민국 경기도 용인시에 있는 조선시대의 책이다. 2010년 12월 8일 경기도의 유형문화재 제245호로 지정되었다. 고려사절요는 김종서(金宗瑞) 등이 문종의 명을 받아 고려 태조 1년(918)부터 공양왕 4년(1392)까지의 기사가 수록된 총 35권의 책이다. 고려시대 편년체(編年體...
    도서 위키백과
  • 고려사절요(갑인자본) 高麗史節要(甲寅字本)
    75책의 『고려사』를 완성하였다. 그러나 『고려사』의 분량이 너무 방대하고 산만한 부분들이 많아 5개월 뒤인 1452년(문종 2) 2월에 『고려사』를 요약하여 35권 35책의 『고려사절요(高麗史節要)』를 간행하게 되었다. 서지사항 금속활자본(초주갑인자)으로 된 1권1책(권20)이다. 이 책의 크기는 세로 34.0㎝, 가로...
    시대 :
    조선 전기
    유형 :
    문헌
    분야 :
    역사/고려시대사
  • 고려사 高麗史
    완성을 보고, 1454년(단종 2)에 간행했다. 김종서·정인지·이선제 등의 관료들이 편찬에 참여하였다. 책의 구성은 기전체 방식을 따랐으며 세가 46권, 지 39권, 표 2권, 열전 50권, 목록 2권 등 총 139권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 책과 짝하여 편년체로 구성된 고려시대사인 〈고려사절요〉가 1452년(문종 2)에 편찬되었다.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고려
  • 고려사의 구성과 내용
    시대와 마찬가지로 즉위한 해를 원년으로 삼고 있었기 때문에 〈고려사〉의 연대가 당시의 금석문과 1년의 차이가 있다. 같은 유년칭원법을 따르더라도 〈고려사절요〉에서는 칭원을 기준으로 하여 원년부터 각 왕들의 사적이 기록된 데 비해, 〈고려사〉의 세가에서는 국왕을 기준으로 하여 즉위 때부터 기록하였다. 지...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고려
  • 고려사 高麗史
    나머지까지 완성하지 못했다. 그 본기의 내용은 현전하지 않으나, 다만 각 왕의 본기 말미에 써 붙였던 사찬(史贊)이 『익재난고(益齋亂藁)』와 『고려사』 · 『고려사절요』 등에 전하고 있다. 조선이 건국되자 태조 이성계는 1392년(원년) 10월 조준(趙浚) · 정도전(鄭道傳) · 정총(鄭摠) 등에게 고려시대 역사의...
    유형 :
    문헌
    분야 :
    역사/고려시대사
  • 고려사전문 권초, 高麗史全文
    이전의 『고려사』에 폐왕 우(禑) · 창(昌)이라 한 우왕 · 창왕의 기사도, 당시 신하들이 칭한 왕 또는 상(上)을 그대로 쓰게 하였다. 체재는 『고려사』와 『고려사절요』 해제에 기전체(紀傳體)로 편찬되었다고 하였으나, 이는 1438년 3월의 기사를 잘못 해석한 데서 비롯된 오류였다. 즉, 승지 허후가 이제현(李齊...
    시대 :
    고려
    유형 :
    문헌
    분야 :
    역사/고려시대사
  • 삼국사절요 三國史節要
    삼국사와 고려사를 하나의 편년으로 합쳐 편찬하되 여러 책에서 자료를 보완하라고 명하였다. 그 뒤 1463년에 양성지(梁誠之)로 하여금 여러 유생을 데리고 편찬하게 하고, 신숙주(申叔舟)와 권람(權覽)은 이를 감수하고 이파(李坡)는 그 출납을 맡도록 명하였다. 세조의 『동국통감』에 대한 관심은 대단하였으나...
    시대 :
    조선
    유형 :
    문헌
    분야 :
    역사/고대사
  • 세대편년절요 世代編年節要
    것은 알 수 없으나, 『고려사(高麗史)』민지전에 의하면 호경대왕(虎景大王) 이래 원종(元宗)까지를 서술하고 세계도(世系圖)를 첨가한 편년체 사서로 추정된다...교양을 넓히기 위해서인 것 같다. 그러나 여기에서는 고려 전기의 왕과 왕실에 대한 칭호를 격하시켰던 듯하다. 『세대편년절요(世代編年節要)』가 왕명...
    시대 :
    고려
    저작자 :
    민지(閔漬), 권보(權溥)
    창작/발표시기 :
    고려 충렬왕대
    성격 :
    역사서
    유형 :
    문헌
    권수/책수 :
    7권
    분야 :
    역사/고려시대사
  • 고려사 Goryeosa, 高麗史
    세가 46권, 지 39권, 연표 2권, 열전 50권, 목록 2권으로 구성하였다. 1452년(문종 2년)에는 김종서가 《고려사》를 요약하여 만든 《고려사절요》 35권을 만들었고, 1454년(단종 2년) 《고려사》 간행에 착수하였다. 체제는 사마천(司馬遷)의 《사기(史記)》를 본떠 세가(世家) · 지(志) · 표(表) · 열전(列傳)의...
    도서 위키백과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4 5 6 7 8 9 10 다음페이지

멀티미디어10건

더보기